인구 쇼크 - 과잉 인구 시대, 지구와 인류를 위한 최선의 선택
앨런 와이즈먼 지음, 이한음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구 쇼크


 

앨런 와이즈면 /지음  이한음 / 옮김  알에이치코리아 / 출판


 



 

아마도 이 책이 우리들에게 생소한 느낌으로 다가온 까닭은 우리나라의 출산감소와 상반된 내용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지금 우리나라는 저출산국가로서 경제적인구의 감소와 고령화문제와 비례하여 급격히 노령화되는 사회에 살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않고 아이를 더 많이 출산해야 한다는 싯점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개개인의 문제들이 곳바로 국민전체의 문제이기도 한데 일 할 사람은 점점 줄어들고 그들이 벌어 세금으로 부양해야할

노인의 인구는 줄어들지않음으로해서 복지의 어려움과 청년층과 노년층과의 갈등이 심화될 것이다

사실 노년에 정년을 맞고 은퇴하여 연금으로 살아가야하는 노인층의 입장에서보면 내가 얼마를 벌었는가 사회에 기여했는가

하는 점보다는 연금생활을 하는 바로 그 싯점의  청년층의 노동인구와 노동력,즉 그들의 경제활동의 숫자에 따라

복지의 질과 양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지금의 청년층들이 그들이 일하고 내는 세금들이 왜 자신들의 미래를 위해서가 아니라 현시대의 노인층을 위해서 사용되는가 묻는다면

바로 그것이 우리가 미래를 위해 투자하고 지금의 현실적인 삶의 질보다 지구의 미래를 걱정하는 이들이 시선도 비슷한 것이라고 보겠다

사실 근거없는 이야기지만 장난처럼 하는 말들이 세계의 인구가 너무 늘면 전쟁이나 기근,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대량의 인구감소가

일어난다는 것, 그것은 남녀의 성비를 맞추지않아도 자연스럽게 남자와 여자의 출산비율의 유동적으로 흐르면서 그 균형을 깨트리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저자는 더 넓은 의미의 지구에 대한 미래를 걱정하고 있다고 본다

이 세상의 모든 환경문제, 지구온난화,자원의 고갈 등등은 결국 지나치게 많은 인구로 인한 자연의 반란이라는 말이다

지구라는 한정된 공간안에서 비대해질대로 비대해진 폭발적인 증가를 보이는

 인구로 앞이 보이지않는 지구와 인간의 미래를 그 역시 고민하고 있다

오히려 저출산으로 자원을 지키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구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적절한 개체수를 조절하는 일이 지구 멸망을 막는 길이라는 말이다


세계 인구를 자발적으로 줄이지 않는다면 자연이 우리를 위해 하지만 야만적으로 그 일을 할 것이다 


4.5일마다 100만 명씩 증가하는 인류,우리의 머릿속의 그림으로는 상상하기 어렵다

즉 그것은 위험하다,무슨 일인가 생길 것이다 라는 말을 할 뿐 실제로 큰 그림을 그려 어떤 비젼을 보여주기는 쉬운일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나는 판다가 사라지고,호랑이가 사라지면, 그 다음에는 어류가 사라질 것이라고 말하죠.이어서 작물이 사라지고,

다른 생물들도 사라지고, 결국 우리도 사라질 것이라고요

 

 

인구정책은 각 나라마다 시행하는 이유와 그 후의 성공과 실패 여부, 그럼으로 발생하는 사태까지 다 다르다

우리나라 역시 그런 그림속에서 찾아보면 우리나라에서의 인구정책이란 경제력,국방력,창의력의 ​원천이다

세계의 인구가 어찌되던 우리나라의 저출산만은 막아야는가?

사실 이 지구가 이 엄청난 인류의 숫자를 지켜주고 먹여주고 공존할 수 있는가

저자는 이 문제를 정말 전 세계를 뛰어다니며 그들의 생각을 직접 묻는다

민족 갈등과 물 자원문제,국제 정세, 기아에 허덕이면서 자식을 많이 낳은 것이 이기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들

가난한 사람들의 이야기,정책자들의 목소리,즉 인구과잉에 대한 한 문제의 해결하기 위해 인구 억제 활동에 매진하는 학자

늘어난 인구의 식량을 위해 식량을 생산량을 늘이는 연구에 매진하는 연구자,여성 교육만이 인구 억제 정책이라고 믿는 활동가

등등의 각나라의 어떤 이도 마다하지않고 순수한 마음으로 그들을 인터뷰 한다

이 책에는  그 과정을 낱낱히  밝히고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혹은 경험적인 체험을 듣고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인구조절의 중요성을 역설적으로 말하고 있다

각국에 각자 다른 상황들이 있지만 앞날이 어떻게 될 것이며 인구문제가 그들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깨닽는 순간

그 누구나 이 지구에서 살아가는 하나의 생물학적 개체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인구억제 정책에 참여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을....

과잉 인구 시대

지구와 인류를 위한 최선의 선택은 과연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