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한 월급 관리의 법칙 - 월급만으로 부자가 된 평범한 직장인들의 30일 재정 관리 프로젝트
김경필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마트한 월급관리의 법칙



지은이 / 김경필 & 비지니스북스 /출판



◆*◆*◆*◆*◆*◆*◆*◆*◆*◆*◆*◆*◆*◆*◆*◆*◆*◆*◆

월급만으로 부자가 된 평범한 직장인들의 30일 재정 관리 프로젝트

1년의 직장생활,12번의 월급,당신은 몇 달치나 모았습니다?


유행어처럼 카드인생 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우리 사회는 빚내기를 두려워하지않는

겁없이 돈 많이 쓰는 시대에 살고있다

한 때 가계부를 많이 썼던 시절에는 본 받을만한 가계부를 상을 주기도 하였는데

요즘은 가계부 쓰면 뭐하나 월세내고 카드값내고나면 통장은 빈털털인데....

힘껏 노력해봤자 카드값이나 좀 줄어들까 ...근본적인 가계 부채들은 해결이 나지않고 있다 

즉 이미 누구나 버는 것보다는 헐씬 씀씀이가 커져서 돈을 줄인다는 현실이 만만치 않다는 이야기다

그런 중에 만난 이 책은 월급관리의 법칙이라는 다소 모호한 제목이였는데 내용은  헐씬 스마트하게 조목별로 분류가 잘 되어있다

우리가 힘들어하는 문제들을 조목별로 해결해주었고 앞으로 진전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정보가 엄청 유용하다

물론 원칙대로 된다면 참으로 좋겠지만 알기만해도 지식이 되고 가정경제에 큰 보탬이 될 것 같다


월급은 액수가 문제가 아니라 돈을 관리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우리는 돈 쓰는 법을  제대로 알고있었던걸까?

그냥 아껴써라,저축이 먼저이고 나머지 돈에서 나누어서 품목을 정하고 써라

사실 우리 어릴 때 받은 금전 교육은 그 정도 였다

뭐, 도둑질을 하지말라 하는 수준의 교육이고 사실 돈쓰기의 기본은 가정교육 즉

부모님이 생활하시는 방법에 따라 은연중에 배웠다고 보여진다

무분별한 과소비는 현사회에 대책도 없는 사회문제가 되었다

남의 돈을 무서워하지않고 부채를 만들고 재테크보다는 집장만으로 시작하여 로또같은 벼락부자를 꿈꾼다

자신의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 한 달에 한번 나오는 급여가 전부인데 말이다

수명은 길어지고 소득은 줄어든다,과잉소비를 체크해보고 힘이 들어도 소비를 줄이는 일이 가장 시급하다

그러나 마음만 그렇지 아,다음달에 명절인데,발렌타인데이인데...뭘 사야하는데 ...하고

이미 길들여놓은 지름의 신이 우리들을 손짓하면서 부르는 것 같다

작년, 집안에 큰 일을 겪고 나서  나 역시 카드를 모두 없애고 지금까지는 잘 견디고 있다

그러나 마음은 참으로 알 수없어서 잘 견디다가도 한 순간에 무엇인가 지름의 봇물이 터지면

연달아 미친듯이 지갑을 열게 되어있다

한순간,이것쯤은 하는 마음을 버려야 할 것인데 그게 정말로 잘 되지않는다

그러나 오늘 읽은 독자 중 한 분이 저자의 트레이닝에 맞춰 월급관리를 하자 비로서 미래가 보였다는 글을 읽고

세상에 아무리 좋은 말을 해도 스스로 듣고 스스로 이해하여 몸소  해보지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사실을 공감하게 된다

이 책은 한마디로 월급관리의 노하우를 알려주며 아주 사소한 팁까지 꼼꼼하게 체크해준다


머니트레이너와 함께 하는 30일간의 월급관리 프로그램

어찌보면 인생전체의 흐름을 하나의 사이클로 정리하여 각 시기마다 써야 할 금액과 합당한 계획을 세우는 일은 중요하다

계획을 세워도 변수가 있을터인데 아무 준비도 없이 살아간다는 것은 막막한 미래,불안한 노후를 상상하게 한다

예를 들어 1단계로 나의 월급관리현황을 파악하고 2단계에서는 내 월급의 현황을 정확하게 들여다본다

3단계는 월급관리의 새판을 만들어보고 나만의 재무목표를 세운다

그리고 꿈을 현실로 만드는 세부 계획을 점검하고나면  스스로 만들어보는 스마트한 월급 관리가 완성된다

가족들과 함께 큰 계획들을 점검하기도 하면서  가족을 위한 총인생플랜을 짜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누구나 야무지게 월급관리를 한다고 볼 수는 없다

자신에게 부족함이 보이는 분야라면 학습으로 보총해 나가면 되는 일이다

구체적이고 우리 현실에 맞는 월급관리프로그램,미래는 그 사람의 것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