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 캔델 작가 / 이 한음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 출판
 

 

 


과학이 예술에 미치는 영향,아니 뇌과학이 밝혀내는 예술과 무의식의 비밀
천재 신경과학자 에릭 캔델이 에술,과학,인문학에 무의식이 미치는 영향을 냉철하게 파헤친 책이다
캔델 평생의 연구대상이였던 모든 것들을 총망라하였다고해도 과언이 아닌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속에서
예술의 영역은 어떤 형태로 영향을 받으며 그것이 과학에서는 어떤 형태로 반영되는지 연구하였다
이 책에서는 1900년 세기말 빈으로 시작되는데 당시 오스트리아의 빈은
 자유롭고 풍족한 문화를 향유하던 유럽의 수도였는데
 열린 문화속에서 과학과 예술이 서로 자유롭게 진보를 이루었다
당시 예술에서는 표현주의가, 심리학에서는 정신분석이,
과학과 의학에서는 실험과 관찰을 토대로 한 접근법이 자리를 잡았다
즉 여기서 논하는 모든 실험적인 사항들은 과학과 예술이 어떻게 대화를 주고 받으며 그것들이 인간의
무의식에 어떤 형태로 나타나고 그것은 다시 다른 예술가에게 어떤  형태로 어떻게 표현되는가 하는 것들을 파헤친 것이다
지금도 유명한 당대의 세 화가 구스타프 클림프,에곤 실레,오스카어 코코슈카 가 그린 초상화를 중심으로
과학과 예술의 심층분석 및 교류,영향,정신 분석이론과 첨단 뇌하학의 연구를 치밀하게 구성하여 발표한 것이다
관능미가 담긴 클림트의 그림,불쾌하고 불안을 주는 실레와 코코슈카의 그림를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 이론과 첨단 뇌과학의 연구 결과는 독자로 하여금 감탄이 절로 나오게 만드는
명쾌하고도 치밀한 분석은 재미도 있지만 또 다른 면으로는 엄청난 지식적인  즐거움도 준다


책제목에서 시사하는 바 이 책이 쉽게 읽혀지는 책은 아닐 것이다
무의식이 어떻게 예술에 매혹되는가 하고 묻는다면 무엇이라도 대답하겠는가
그것은 반드시 과학적인 정신분석을 바탕으로 어떤 근거가 있는 답을 말해야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일반인들이 이 분야에 입을 연다면 어불성설일 것이고 책을 읽은 나 역시 장님 코끼리 다리 만지기 식으로
더듬더듬 글자만 읽기에 급급하였음을 밝히기싶다
그러나 전문용어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캔델이 말하고자 한 그 내용의 큰 줄기만은 어찌어찌 이해하게는 되었다
부족한 나로서는 책 자체를 다 읽기에도 버거웠으며 용어를 찾다가는 지치기 다반사여서
나중에는 모르는 과학용어나 미술학적 용어들은 슬쩍 건너뛰는 .....일도 있었다
당대의 서로 극단적인 미술가들이 작품만으로도 그들이 서로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사실이
그들의 작품속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바로 그 점들이 재미있기도 하다) 그것들을
정신분석학적인 관점에서 세심하게 접근하는 과학적인 시선을 독자들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미술가의 자화상 하나를 보면서 우리들이 그의 붓터치하나,
그림자 하나에 묘하게 불편하고 불쾌한 기분을 느낀다고 할 때
혹의 그 그림속의 행동이나 동작을 의식하거나 무의식적으로 따라했을 때
아니면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작품속의 동작을 흉내 낼 때,
작가의 감정이라는 사적 세계로 들어가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이런  감정이입을 통해 관람자의 몸이 작가의 감정 묘사가 펼쳐지는 무대가 된다
즉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작가는 관람자의 감정이입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예민한 관람자로서는 예술가의 초상화를 보는 것이 지각 행위만이 아니라 강력한 정서적 경험도 된다는 것이다
뇌과학과 미술은 마음을 보는 서로 다른 두 관점을 대변한다
과학을 통해 우리는 모든 정신활동이 뇌의 활동에서 나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뇌과학과 미술은 마음을 보는 서로 다른 두 관점을 대변한다. 과학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모든 정신생활이 뇌의 활동에서 나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활동을 관찰함으로써 우리는 미술 작품에 대한 우리 반응의 토대가 되는 과정들을 이해하는 일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미술은 마음의 더 덧없고 경험적인 특성들, 특정한 경험이 어떤 느낌인지에 대한 깨달음을 제공한다. 뇌영상은 우울증의 신경 징후들을 밝혀낼 수 있겠지만, 베토벤의 교향곡은 우울하다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를 드러낸다. 마음의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두 관점이 다 필요하지만, 둘은 결합되는 일이 거의 없다. (본문 10~11쪽)

물론 이 책을 읽음으로 우리가 이 책에서 말하는 모든 사실을 다 이해하고 다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대략적이나마 저자의 저의를 알 수있다면 부족한 독자이지만 만족한다고 말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문외한이던 화가들의 자화상을 보면서 화법 차이에 따라 전달하는 정서적 내용의 차이를 생각한다던가
화가는 어떻게 얼굴,몸,색갈로 감정을 묘사하는가 정도의 지식을 갖게되었다
과학자들은 얼굴 표정과 마찬가지로 손의 움직임과 그 밖의 몸짓이 사회적 정보를 전달한다고 말한다
구스타프 클림트,오스카어 코코슈카,에곤 실레는 인물의 감정 상태를 전달하는 새로운 방식을 모색할 때
얼굴뿐 아니라 손과 몸에도 초점을 맞추어 신체적 특징을 과정하거나 왜곡했다
자화상안에서 작가가 누구와 사귀는 동안에 불안을 느꼈다는 점을 강조한다던가
나체 자화상안에서 어색하긴 해도 당당하고 자신만만해 보였던
근거는 자신들의 화법을 고스란히 노출해 관람자의 주의를 사로잡은 것이다
이 책이야 말로 저자가 1980년부터 1918년까지의 빈의 지성사에 푹 빠져 지낸 매혹의 산물이며
저자 평생에 걸쳐 연구한 뇌과학을 종합한 결과물이기도 하다
한 과학자의 평생을 걸친 통찰의 여정을 내가 어떻게 한 순간에 이해하겠는가
다만 그 근처를 서성이며 지성인의 그림자를 멀리서 보았을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