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지 않아도 괜찮다 -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는 희망의 메시지
피트 윌슨 지음, 이지혜 옮김 / 아드폰테스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  피트 윌슨  저자 / 아드폰테스 출판

 

 

 

 

문득 지난밤에 보았던 영화중에 위급한 상황에 처해 극도로 불안한 공포의 시간

무심하게 지나치던 여성 두명이 남자 한명과 함께있는 공포에 질린듯 미스테리한 느낌의 여성에게 묻는다

당신,괜찮아요? 내가 도와줄 수있어요 라고....

영화속에서는 느낌상 범죄적이면서 공포스러운 장면이였는데  묘하게 그 순간 안도의 한숨을 쉬게 되었다

그 시간이 지나 다른 상황으로 치닫더라도 그 순간만큼은  편안함과 인간에 대한 믿음으로  안도의 한숨이 흘러나왔다

믿지않는 이들에게도 종교적인 바램이나 시선은 마치 본능처럼 내제해 있는가보다 

저자 피트 윌슨은 짐작한바대로 개신교 목사인데, 누가 책을 냈는가보다는

 이 책에서 말하는 여러가지 종교적인 자세에서부터 인간에 대한 사랑에 바탕을 둔 상처치유의 메세지를 주목하길 바란다

 

당신은 현재의 모습에 만족하는가

당신은 어떤 사람으로 성장하고 있는가

 

종교를 가졌던 신앙심이 없던 있던 우리들은 자주 묻고 자주 대답한다

또한 자신만이 아는 크거나 사소한   죄를 짓고 죄를 후회하고 스스로의 죄에 대해 침묵한다

그러다보면 우리는 자신을 속이고 아무렇지도 않은듯 살아가는 사람이 되고 만다

즉 죄를 고백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사실 필요한 것은 나는 괜찮지않습니다,나는 문제가 있습니다 라고 말하는 용기있는 고백일 것이다 

신앙서를 보편적인 자기 발전의 계기로 삼는다던가 어쩌면 치유적인 책으로 읽어도 좋을 것이다

물론 그 중심에 어떤 종교인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도 많겠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포괄적으로의 신이라는 개념에 대해 폭넓게 생각하면

믿음이라고 칭하는 것에 꼭 종교적인 입장에서 해석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철저하게 개인적인 시각으로  이 책을 읽었으면 한다

죄에 대한 수치심과  반드시 동반되는 후회를 성경속의 적절한 예로 들려준다

종교적이지만 보편적인 시각으로 대하기 쉬운 주체, 그 속에 담겨있는 희망의 메세지가 참으로 감사한 마음을 만들어준다

믿고 신뢰하고 용서를 구하고 더욱 우리의 현실을 받아들이는 올바른 자세를 알려주는 저자의 마음은 따뜻하다

저자의 메세지를 함축하여 말하자면

 

 

내 삶에 희망을 가져오는 네 가지 결심

 

 

1.지금 당장 변화를 결심하라

과거에서 배우는 법을 찾지 못했다면 반드시 그 과거를 되풀이하게 될 것이다

 

2/ 상처받았음을 인정하라

낫기 원하는 사람은 하나님께,자신에게,다른 사람들에게 정직해야 한다

 

3/ 어던 상황에서든 하나님을 신뢰하라

하나님을 신뢰해야 하나님이 말씀하신 모습대로 살아가는데 집중할 수 있다

 

4 / 상처 준 사람을 용서하라

용서는 상처가 당신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끊고 과거를 과거로만 남게 해준다

나는 교회에 다니니 않으니까,종교서적은 별로야 하는 편견을 버리고

목회자가 슨 책이라는 생각도 잠시 접어두고 이 책을 읽기를 권하고싶다

결국 책 안에서 내가 찾는 것이 무엇이든 그것을 찾아내고 내 삶이 행복할 수있다면

당신을 정말 괜찮은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