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을 다시 쓴다
샘 파르니아 & 조쉬 영 지음, 박수철 옮김 / 페퍼민트(숨비소리)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죽음을 다시 쓴다
샘 파르니아 ,조쉬 영 공저 / 박수철 옮김 / 페파민트
■■■■■■■■■■■■■■■■■■■■■■■■■■■■■■■■■■■■■■■■■
한 여름 공포영화를 볼 때 자주 등장하는 씬 중 하나인데
수술 중 자신의 영혼이 공중에 떠서 수술하는 자신의 모습을 본다던가 교통사고 현장에서
끔찍하게 죽은 자신의 모습을 군중들 속에서 함께 들여다보는 그런 장면들이 기억 날 것이다
간혹은 믿기 어려운 그런 순간들을 유체이탈이라고 들었는데 이 책은 죽음에서 돌아온 사람들을 증언을 바탕으로
보다 과학적인 관점에서 죽음이후를 연구하였고 우리에게 과학적으로 설명해준다
우리가 죽을 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걸까
죽음에 문턱에는 무엇이 있는 걸까
의학적인 죽음이란 일단 심장박동이 멈춰지고 시작되는 그 후의 과정을 말한다
그 때 소생의학에 의해 다시 깨어날 수 있다는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저자 파르니아는 죽음 이후에도 의식이 지속되고 있다는 현상을 입증하였고(많은 임상의 예)
죽음을 심장박동이 멈춤으로 인식하는 일을 다시 생각해야 한다고 말한다
즉 철학이나 종교적인 소생에서 벗어나 과학적인 소생술의 발달로 생명을 구한다는 라는 말이다
우리들이 죽었다고 생각하는 순간에도 그들의 영적인 존재는 존재하고 그것은 종교적인 영역이전
어쩌면 과학적인 증거의 일부분이라고 보아도 좋을 것같다
나는 오래 전 책자에서 여러현상 중 하나로 죽음에서 돌아온 이들의 이야기를 읽은 적이 있다
대개의 경우 각자의 종교적인 어떤 존재감과 함께 빛이나 따뜻한 존재를 느꼈던 사람이 많았고
간혹은 추웠다,추락하는 기분이였다 등등 여러가지의 이야기를 들었다
그 때 생각에는 아마도 죽음의 순간 우리들은 종교적인 각자의 신앙이나 마음으로 위안받는것이 아닐까 생각을 했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종교적인 문제보다는 정확한 임사(실제 사망체험)체험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육체적인 죽음 이후에도 의식의 지속현상이 있다면 사실 통상적인 죽음의 단계를 재정립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많은 과학적인 설명이 분분하여 다소 어려운 감이 없지 않으나
생명을 구하는 새로운 방법으로서의 소생의학은 나름의 공감대를 형성한다고 본다
인간이 가장 두려워하는 일, 바로 죽음의 공포일 것이다
그런 면으로 볼 때 죽음을 관할하는 이는 오로지 신 만이 할 수 있다고 믿었던 분야에서
죽음 이 후 아직 존재하는 영적인 살아있음의 순간을 깨닫고 다시 소생시키는 일이야말로
우리들에게 새로운 삶에 대한 정비와 종교적인 다른 해석및 새로운 삶을 다시 살 수있는 기회가 될 지도 모를 일이다
신학적인 문제나 철학,과학을 떠나 개인의 삶의 대한 태도 역시 변화할 것이다
우리가 알고있는 죽음은 끝이다 라는 말과는 달리 과학적인 연구 결과를 보면
사람이 죽은 후에도 뇌와 세포는 여러시간 생존할 수 있다고 한다
사망이 후 산소공급과 혈액공급 없이 얼마나 더 살 수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는데
피부세포는 24시간 뇌세포는 대략 8시간정도 생존할 수 있다고 한다
결국 소생의학이란 세포의 죽음을 늦출 수 있는 방법 즉 냉각요법과 소생술을 적절하게 행하면
환자는 뇌손상없이 살아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대로 된 냉각요법을 제대로 된 시술받고 있는 환자들은 아주 극소수라고 한다
우리들은 일반적인 죽음이 아닌 좀 더 새로운 과학적인 방법으로 죽음을 늦출 수 있는 미래를 기대해본다
아마도 저자의 이런 연구들은 통상 심장박동의 정지를 죽음으로 여겨
우리들이 살릴 수있는 많은 이들을 방치하고 있지않은가 하는 생각이 든다
한편으로는 소생술이라는 말 자체가 이미 죽음을 접하는 있는 상태에서 행하여 지는 일임으로
어쩌면 죽음의 마지막 단계가 아닐까 생각도 해본다
마지막 일초까지 살려보려는 의학의 연구는 어쩌면 어떤 드라마보다 더 애절한
따뜻한 인간애가 느껴진다
그것은 종교나 과학,철학을 떠나 사람의 생명을 중요시 하는 깊은 애정이 바탕이 되고
뇌손상없이 장애자가 아닌 건강한 사람으로 다시 살아가는 이들을 볼 때
정말 과학이 미치는 여러가지 일들에 대해 놀라지 않을 수없는 일 인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