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의 공간 - 남자는 가끔 행복한 혼자를 꿈꾼다
이문희.박정민 지음 / 21세기북스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남자의 공간 

 

 

 

이문희 .& 박정민 지음 / 21세기북스

 

 

 

남자는 가끔 행복한 혼자를 꿈 꾼다

아니 남자만 그러냐? 여자도 가끔 아니 자주 혼자만의 행복한 공간을 꾸...꿈 꾼다 구....

아마도 한국사회에서 제일 불쌍한 이들  이라고 말해도 된다싶은 남자의 이야기

아파도 아프다고 말 못하고,힘들어도 힘들다고 말 할 수 없다

소주 한 잔으로도 해결할 수 없는 외로움이 밀려오는 시간,

그대만의 행복한 골방으로 들어가라!!

남자와 여자는 한 공간에서 한 시절을 보내지만

그 두 종족간의 타협되지않는 불협화음은 정말 지루하도록 계속되는

절대 결말이 나지않는 히스토리가 아닐까 생각한다

 

우리들에게는 설명이 필요없는 그 시절에 어울리는  

아내의 상,남편의 가장 좋은 모습 들이 이미 만들어져 있는지도 모르겠다

현실적으로 이조시대의 아내를 지금 원할 수 없듯

남편들의 모습 또한 오래 전 시대의 모습을 그대로  가지고 살 수는 없다

이 시대의 남편,남자의 모습이란 사실적 힘들고 어려운 것에 비해

초라하고 대우받지 못하는 모습임에는 분명하다

불과 몇 십년전 남아선호사상으로 아들을 낳기 위해 몇 명을 딸을 낳던 어머니들의 모습을 기억해보라

이 시대 환영받는 딸들의 자리는 어렵고 고통받는 여자의 자리에서 힘들지만 묵묵히 그 자리를 이겨나간

앞서의 여자들이 있었기에 빛나는 지금의 여성의 자리가 만들어진 것처럼

사냥이 주류이던 시절,남자는 강하고 힘센 유목민의 모습으로 강해야 살아남았으니

이제는 강함보다는 부드러움이 ...남자가 수직적인 자리매김이 익숙한데 비해

이 시절 남성의 자리는 윗자리가 아닌 평균적인 옆자리에 앉기를 바라는 여자들의 많아지고 있다

여자들은 변하고 사회는 변했는데 남성들만 변하지 않는다면 그들이 살아가는데 점점 어려운 일들이 벌어질 수 밖에 없다 

남성의 위치,남성의 힘,남자로서의 자질감 상실,허약해지고 부실해진 남자의 파워...

본능적으로 승부근성이 강하고 사냥하면서 책임지고 더 먼 거리를 볼 수있던 그 시절의 남성상과

지금의 현실속에서 우리들에게 보여지는 허약한 남성상은 언바란스하여

변해버린 사회를 살아가는 남성들의 어려움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오래전 많은 사람들이 권해서 읽어본 화성에서 온 남자,금성에서 온 여자에서

남자는 고민해야 할 문제가 발생하거나 무엇인가 생각해야 할 순간에

남자는 자신만의 동굴에 들어가 혼자 생각하고 치유하는데 비해

여자는 그와 달리 누군가에게 이야기하면서 스스로의 문제를 풀어간다고 한다

남자와 여자의 생각과 말과 견해는 서로 달라 ,말과 ,이해와 ,공감이 서로 일치하지 않음을 말해주었다

서로가 서로 다른 성 임을 인지하고 이해하면서 나의 본능적 성 정체성을 바로 설명하고 오픈할때

남녀는 서로가 서로를 어떤 틀에 매이지않고 객관적인 모습으로 서로를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남자의 본능대로 자신만의 동굴로 들어가 혼자의 시간을 지내며 스스로를 치유할때

여자는 쓸데없는 오해나 버림받은 것 같은 기분을 느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는 당신을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만의 방법으로 스스로를 치유하는 것 일뿐.....

더욱 복잡해지고 힘든 성취욕없는 고독하고 외로운 이 시대의 남성들에게

그들이 모든 것들 거부하고 틀어박혀 나름의 해결을 얻고 행복해질 수 있도록 그들의 공간을 허락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