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구려 행복 - 제44회 페미나상 수상작
가브리엘 루아 지음, 이세진 옮김 / 이상북스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싸구려 행복

 사브리엘 루아  장편소설  / 이세진옮김 / 출판사 이상북스

 
 

 
열아홉살 플로랑틴은 가난한 집의 장녀이며
가족의 생계를 책임진 소녀이며 15센트라는 카페에서 일하고 있다
 

........  이 북새통같은 가게에서도 언젠가는 잠시 멈춰 서서
인생의 목표를 발견할 때가 올 거라는 모호한 기분이 들었다
플로랑틴은 이 가게가 아닌 다른 곳에서 운명을 만날 거라는
생각은 단 한 번도 해보지 않았다
.......이 공간은 플로랑틴에게 그녀가 생 탕리에서 보낸 조급하고 번잡하며
초라한 생애를 축약해서 보여주었다

 

소녀는 진정한 사랑을 만난다면 자신도 분명 행복해질 수 있다는 믿음으로 열심히 살아가는데 

 그 집의 손님인  출세만이 행복을 보장받을 수 있다고 믿는 청년 장 레베스크
 

........  그의 방은 언제나 이삿짐을 싸기 일보 직전 같았다
하지만 그래서 장은 흡족했다
그는 자신의 거처를 잠시 머물다 떠날 곳으로 생각하고 싶었다
가난뱅이로 살려고 태어난게 아니라고,
절대로 가난과 타협하지 않을 거라고 스스로 일깨우기 위해서였다

 

또한 부유한 집안의 아들이면서 자신의 현재에 만족하며  안주하지않고

군입대마저 마다하지 않는  순수한 청년 에마뉘엘

평생을 놀고 먹는 플로랑틴의 아버지, 아자리우스와

그의 아내이며 플로랑틴의 어머니 로즈 안나

그들 모두가 꿈 꾸는 행복은 모두 다르지만

모든 사람들은 나름의 행복을 찾기 위해  전쟁의 소용돌이속에서 허우적거리며 살아나간다 

 현실은 언제나 거짓말처럼 사람들을 속이고 희망은 너무 멀리 있다

그들은  줄기차게 , 어떻게 보면 절망적인 몸부림속에서 행복을 꿈꾸며

사랑을 바라고 절망의 끝에서 회생하듯

인생의 마지막순간 행복이라는 이름으로 구원될 것임을 믿는다

어쩌면 그것이 순수한 인간의 모습일지도 모른다

전쟁으로 인해 사람들의 인생은 변화하고

급변하는 현실속에서 사람들은 하나둘 그들 본성을  적나라하게 내보인다

 

 

끌리는 상대방에게서 자신이 경멸하는 가난의 그늘을 발견하고 사랑을 멀리하는 장과

플로랑틴 역시 마찬가지, 끝없이 끌리는 상대이면서 그에게 풍기는 성공에의 확신을 가늠하며

서로 상처를 주고 받는 저울질로 냉철하게 바라보는 입장이 된다

글쎄 무엇이 옳다 그르다 말 할 수 없는

그저 쓸쓸한 공감만이 책을 읽는 내내 가슴에 머무른다

 가난의 구렁텅이를 헤어나기 위해

부를 향한 비루하지만 안스런 몸부림들

몬트리올 시 외곽의 소도시 생 탕리, 세계 2차대전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지만

현실과  다를 것없는  진지한 캐릭터 설정과

절망적으로 매달리는 행복에 대한 소망은  안스럽기조차하다

어쩌면  우리 모두 본질적으로  같은 그런 싸구려행복을 잡으려 애쓰는

그런 인간들이기에 깊이 공감이 가는 것일까

저자 가브이엘 루아는  특히 여자의 섬세한 감성과

주인공들의 미묘한 심리상태와 함께 표출되는 갈등 역시 아주 매끄럽게 엮어나간다

빈곤이라는 말의 상대적인 가치를 생각해보면

현실  역시 빈곤이라고 밖에 할 수 없는  삶이 그대로 존재하고

소망을 품고 인생 단 한방을 꿈 꾸는 이들 역시 수 도 없다

결국 지금도 수많은 플로랑틴과 장이 존재한다는 것

누가 그들을 향해 싸구려행복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그 누구도 타인이 추구하는 행복에 대한 바램을   싸구려라고 말 할 자격은 없다

또한 싸구려행복이라고해도 본인이 가치를 둔다면

그 사람에게는 싸구려가 아닌 인생의 목적이 될 것이고

삶의 활력이 될 것이며 삶의 목표가 되는 것이니까 말이다

그것은  우리 내부에 부끄럽게 존재하는 보편적인 행복에의 결론이 아닐까 작가는 묻는다

더 문학적인 표현을 쓰고 더 철학을 더한다해도 그 내부가  부실한 행복의 조건들은

이미 이 책에서 보여진 그 것들이 아니라고 누가 말할 수 있을 것인가 

 

 

 희망을 갖되 그것이 자신의 신분상승의 목적만 중요시되어  

여타의 삶의 즐거움들이 배재되어 버린다면.....

행복이 근본적으로 더 나은 삶으로의 상승이라고

말 할수는 있지만 그것이 자신의 인생의 전부라면......

행복해지고자 하는 이유가 결국 부 하나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자신이 쫓는 행복을 위해 진실로 원하는 것들을 버려야한다면.....

우리들이  행복을 향한 노력이나 안타까움을 이해는 하지만

동조할 수 없는 그 무엇인가가 거기에 있다

통속적이며 허접스럽다해도  동조할 수없는 그 무엇

그 답을 찾는 이는 바로 독자 자신의 몫일 것이다

 

 싸구려라고 말 할 수 밖에 없는 다급한 순간의 선택들

스스로 행복의 수치를 혹은 행복에 대한 냉철한 평가를 내려보길 바라는 마음이 들었다

어떤 순간 , 말과 마음이 다른  이율적인 행복의 가치기준

결국 행복이란 자신의 문제이며 적어도 싸구려로 보이는 행복에 매달려

단 한번의 인생을 낭비하는 일은 없었으면 한다

 현실과 이상과의 괴리

다다를 수 없는 것에 대한 욕망

그리고 쓸쓸한 욕망의 마지막에서 보는 사람의 삶에 대한 허무함

행복하다고 느끼는 아주 작은 순간들을 묶어보자면

그것은 아주 사소하고 작고 보잘것없는 그런 것들이 아닌가

 마음에 얻어지는 평화로운 충족감이 아니였던가

행복의 질을 진실로 논한다면

행복을 목적으로 하는 이유만으로 이미 그것은 싸구려가 되는 것은 아닐지.....

우리 모두 행복하기를 원하지만 정작 무엇이 나를 위한 행복인지 알지 못하고 

그릇된 행복을 쫓다가 명을 다하는 것이 아닌지 문득 그 허허로움이 가슴을 찌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