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굴장으로 - 제139회 나오키상 수상작
이노우에 아레노 지음, 권남희 옮김 / 시공사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도서 / 채굴장으로

작가 / 이노우에 아레노

출판 / 시공사 

 

 
 

 '채굴장'은 갱도의 맨 끝을 가리키는 말로,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장소를 의미한다고 한다

터널을 파 나갈 때 제일 끝의 지점을 채굴장이라고 하는데 터널을  파고 있을때는 그 마지막이 언제나 채굴장이지만

터널이 완전히 뚫리고 나면 채굴장은 없어지는 것 , 계속 파는 동안은 언제나 그 끝이 채굴징이라는 것.

 

 

아마 채굴장을 설명한 대목을 읽으면 우리는 모두 이 소설의 참의미를 이해하게 된다

사랑의 막바지, 사랑의 절박함과 끝이 보이는 그러나 계속될 것 같은 그 애절한 그리움의 허망한 마지막을 말이다

 

 

 

 

일본소설문학의 여러 코드를 접해봤지만  이처럼 잔잔하고 섬세한 소설을 읽은 기억이 있을까

팔이나 얼굴의 귓가로 내려오는 턱선에 가지런한 잔털들이 오소소 보이는 적나라한 그림처럼

실핏줄까지 보여질듯 ...가늘게 그러면서도 분명히 울림이 있는 그 마음의 흔들림들이 참으로 가슴 조이게 아름답다

남자와 여자의 만남들이 모두 한 사람의 경험처럼 같은 것이 아니듯

사랑이란 참으로 여러 얼굴을 하여 도무지 한숨밖에나지 않았던 소설이다 

숨 죽이고 그녀의 마음을,눈짓을, 말과 마음의 행로를 고민하고

말 이전에... 말 이후의 행간에 ....혹은 눈빛 하나하나를   음미하여야 할 만큼

울림이 있는 말들이 참으로 매력적인 그녀만의 언어로 이 소설을 만나게 된다

스토리는 어쩌면 단순하여 외딴 섬에 살고있는 초등학교 양호교사 세이앞에 도쿄에서 새로운 음악선생 이사와가 등장한다

남편을 정말 사랑하지만 세이는 낯선 이사와에게 한없이 끌리게 되는데....

그 시선의 이끌림이 작고 조심스럽고 어느 순간에는 자신도 잘 모르고 어느 순간에는 흔들리고 ....

남편과의 사이에 차곡차곡 쌓아놓은 견고하지만 조용한 그들만의 사랑을 지키면서도

흔들리는 그녀의 마음의 결이 너무 심약하고 솔직하게  여리고  소극적인 주인공 세이..

그리고 그녀와는 반대되는 성격의 연애사건으로 섬 동네를 떠들석하게 만드는 동료교사 쓰키에.

은근히 웃음을 유발하게 되는 아흔이 넘은 할머니의 음담과 음몽으로 수근거리는 소문들도 떠드는 섬.

흔들리지만 자신의 가슴에 묻고 끝내 제 자리를 지키는 세이를 보면서

한편으로는 답답한 그러나 애절하고 아픈 ...

연애의 한 장면을 독자들의 영원히 가슴에 묻게 될 것이다

상상할수도 없는 그런 사랑이 갑자기 찾아온 남편있는 여자의 사랑.

그 사랑을 몰래 떠나보내면서 스스로 묻어버리는 사랑.

유부녀의 사랑이라 애절한 것이 아니고 그 한 가닥의 가녀린 바람처럼 힐끗 스쳐가는

절제하고 소심하여 말 못하고 ,그러면서도 무조건 마음이 가고,

흔들리는 아무도 손가락질 못할 유혹이 너무 애절했다

 

 



 

그녀의 글은 숨을 죽이고 그녀가 이끄는 대로 우리들은 한번 발을 내디딘 후

한없이 걸어가는...어쩌면  채굴장의 끝을 향해 가는 사랑의 행로처럼 그렇게 막무내간으로 작가에게 매료되었다

고급스런 어른의 소설이란 아마도 그런 의미가 아닐까싶다

사랑하여 결혼하고, 사랑하여 키스를 하고, 사랑하여 그 무엇을 해도 사랑으로 귀결되는 강력한 사랑의 파워

때로는 먼저 찾아온 사랑에게 익숙해져서 형제애나 가족애처럼 심심해진 일상같은 사랑에게 충실한 우리들 역시

절대 끝을 모르는 그 채굴장으로 걸어가기를 거부하는 어른의 가슴아픈 단념의 사랑을 바라보는 심정이 너무 힘들었을뿐....

덜 사랑해서가 아니라 여기까지라고 믿는 그 심성이 이해되는 ....나는 그런 나이가 되었나보다

세상에 사랑이 부족해서 헤어지는 것은 아닐 것이다

우리들은 때때로 그 무엇때문에 그 무엇을 버려야하는데 그  기준이 사랑이라고만 한다면

오래 되어 묵어버린 빛바랜 사랑과 새로 찾아온 사랑의 열정과 어떻게 비교를 할 것인가 생각해보라..

 

 

 

 

그 뒤로 남편은 줄곧 나를 당신 이라고 부른다. 아버지도 엄마를 당신 이라고 불렀다. 장난스러움과 친밀함을 섞어서.

그런 말은 어디서 한 쌍의 남녀에게로 찾아오는걸까?

 

나는 다시 남편의 숨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그것은 언제나 나를 안심시킨다.

하지만 그날 밤, 나는 슬펐다. 남편의 규칙적인 숨소리가 왠지 그가 나를 버리고 떠나가는 발소리처럼 들려서.

 

그날, 폐허에서 혼자 시즈카 씨네 집으로 돌아올때의 일을 떠올렸다. 그때 남편은 바닥에 주저앉아서 우리가 버려놓고 간 작업을

묵묵히 계속하고 있었다. 한 개씩 신문지에  싼 그릇이 남편 주위에 버섯처럼 산을 이루고 있었다

너무나도 꼼꼼하게 붙여서 마치 장석처럼 보이는 셀로판테이프가 반짝거렸다.두꺼운 스웨터를 입은 남편의 동그란 등도 거대한 버섯 같았다

  


 

이 소설에서는 남편이 얼만큼 아내의 흔들림을 아는지 언급하지않았지만 남편의 신뢰가 주인공의 마음마냥 깊고 아름답다

만약 세이가 돌아오지않았다면 저렇게 자신의 자리에서 묵묵히 기다리고 있을 남편의 뒷모습을 보지못했을 것이다

돌아서서 다른 사랑에게로 가는 이를 비난할 수 없지만 아직 둘 사랑이 끝나지않아 버려져 기다리고 있을

상대방의 그 허전한 모습이란 또 다른 사랑의 다른 모습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채굴장으로 걸어가는 사람들과 채굴장이란 내가 걸어가면 이미 길이 없는 막다른 길 임을 아는 사람과는

어쩌면 큰 차이가 없는 아주 사소한 선택인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우리 모두 사람이기에 흔들리기도 하고 사람이기에 채굴장으로 발길을 돌리는 ..... 지도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