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말해줘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요시다 슈이치

이광미 옮김

은행나무 /2009년1월

 








  

다큐멘터리 작자로 세상의 많은 이들을 인터뷰하고 (즉 사람의 말,목소리,혹은 사건 )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정리하여 전달하는 남자 하야카와 슌페이

그리고 듣지못하는 청각장애자 교코와의 사랑이야기이다

우연한 만남이후 차차 만남이 진행되면서

서로의 세계에 대한 이해부족과 생각하지 못햇던 사고나 오해등이 잔잔하게 펼쳐져

청각장애자를  이해하게되고 차츰 그들 연애의 진행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가 있었다

불편한 당혹감이나  들을수 없어서 생기는 

 사건이나 사고속에서 때로는 주인공은 교쿄가 안되보이기도 하고

사랑스럽기도 하고 가끔은 무섭기도 하며 암담해지기도 하는

청각을 상실한 사람을 사랑하는 이의  섬세한 감정의 표현들이 이 소설속의 알찬 건질 것들이다

물론 그는 연인에게서 위선적이면서 때로는 어리석어 보이기까지 하는

사소하지만 많은 일들에 대한 갈등을 극복하고 

한걸음 한걸음 마음을 열어 가깝게 다가가지만

결국은 조금씩 힘들어하고,암담한 막막함이랄까

그런 지침으로 연인에게 소홀히 하게 되고

결정적으로 그녀가 잠적함으로 그는 나름의 혼란과 깊은 애정의 깨달음을 겪게  된다

 

 

 

사랑을 말해줘 의 원제는 조용한 폭탄이라고 한다

아무튼 작가는 소리와 정적에 대해 대립적 구조를 말하고(그것은 소설의 첫부분에서 많이 드러나있다)

귀가 불편한 교코와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슌페이

즉 소리속에서 살아가는 사람으로서의 극단적대립이  돋보인다

슌페이에게 교쿄의 세계는 낯설고 경이롭고 때로는 두렵기도 한 것이다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고 살았던 소리나 말,언어의 중량감을 깨닫게된다

둘은 필담으로 이야기를 나눌 수 밖에 없는데

필담을 하면서  정신적 육체적인 여과과정을 거치게 되고

삭제된 언어, 혹은 지나친 삭제로 인해 (참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사소함) 서로의 소통에 한계를 느끼고 

 그로인해 당황하고 힘들어하면서도 자기자신에게 두려움까지 느끼게 된다

자신의 일로 익숙햇던 말에 대해 아주 다른 시각으로 다가가야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를 겪게되는 것이다

이 소설의 특징은 교쿄와의 연애담과 병행하여 바미안 대불  폭파사건을 함께 다루고 있는데

자칫 이 이야기에서 지루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혼선이 생겨

달콤한 연애사를 기대했던 독자를 실망시킨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의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이야기를 다 이해해야 할것같다

바미안 대불 폭파사건을 다루면서 복잡하게 뒤얽힌 사실과 의도된 오해

그리고 그 혼돈이 야기되는 과정속에서 원인과 진상을 깨닫는 순간 슌페이는

자기 자신이 연인인 교쿄를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했다는 자괴감을 깨닫게된다

커다란 세상을 뒤흔들 사건이나 소리없이 살아가는 연인에게 모두

진실하게... 진지하게 닿지않는 말은 상대의 마음에 닿지않는다는 간단하면서도 신중한 메세지를 우리에게 말한다

작가는 대불  폭파사건이나 연인의 사랑이야기나 세상에서 사라진다는 극단적인 허망한 부재를 통해

때로는 언어가 무서운 괴력으로 작용하여 

남에게 내 뜻이 아닌데도  악의적인 파괴력으로 작용하게 되는 일종의 책임같은 무게감을 말하고자 한다

 

 

 

사실을 말하자면 나는 소설이나 시, 즉  문학작품속에서

지나치게 드러내놓은 문제제시를 좋아하지 않는다

그것은 이미 소설이나 시의 문학적 가치보다는

정치적,도덕적 가치를 논쟁함으로해서 얻는 이익을 얻고자 하는 것 이고

다만 표현만 문학의 옷을 입었을뿐...이라 생각한다

문학이란 무엇일까

참여문학,정치적인 의도의 문학이나 영화도 있고 한 시절 유행처럼 시류를 탔었지만

그냥 개인적 생각으로는 그저 문학안에서 자연스럽게 녹아내려

굳이 말하지 않아도 이미 작품안에 안에 녹아있는

그러한 작품이 정말 문학적인 작품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정말 하고픈말을 감추고 그 안에 뿌리속에 고요히 자리잡는

언어 이전에 마음에 터를 잡는 문학을 문학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혹시 작가는 악인 이후 무엇인가 좋은 작품을 써야한다는 긴장감 같은 것은 없었을까

이 주제를 작가가 더 나이들어 이십년쯤후에 다루었다면 그는 어떤 소설을 썼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