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고 있다고, 하루키가 고백했다 - 말의 권위자 다카시가 들여다본 일본 소설 속 사랑 언어
사이토 다카시 지음, 이윤정 옮김 / 글담출판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사랑하고 있다고 , 하루키가 고백했다

글담출판사

사이토 다카시 지음 /이은정 옮김

 

 



 

  

하루키의 속삭임, 나쁜 남자의 속상임, 보통 사람의 속삭임으로  우선 분류하고,그 다음

아래  소설속의  각각의 대목들을 인용하면서

작가의 생각과 감동,그리고 연애로의 연결 혹은 그 안에 담긴 이야기로 엮여졌습니다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다 상실의 시대

드라이하면서도 쿨하게 사랑하다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짧은 사랑을 한 후 떠나다 1973년의 핀볼

나쁜 남자가 사랑을 하다 금각사

머뭇거리다 되돌아서는 사랑이 있다 산시로

그 사랑이 이 사랑이 아니지만 그래도 사랑하다 겐지 이야기

처음처럼,다시 사랑하다 지금 만나러 갑니다

투명할 정도로 푸르른 사랑 한 조각을 먹다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제가 감히 당신을 사랑해도 될까요 선생님의 가방

스텝 바이 스텝으로 사랑하다 전차남

 

 

 

 

소설속에서 다시 기억만 해도 가슴이 싸아해지는

소설속의 사랑의 말이나 사랑의 장면을 회상해보는 일

그것도 문학부 교수이자 말의 권위자인 사이토 다카시의 소설속의 멋진 장면을 통해

사랑을 배우고 주인공을 분석하면서,

이미 읽은 소설속에 녹아있는 연애의 잔재를 뒤적이는 재미가 만만치않습니다

사랑에 서투른 자를 위한 따뜻한 어드바이스라고 해야 할까요

솔직히 읽는내내 작가의 이미지나 그 소설속의 장면이 기억이 나지 않는 부분도 있었고 

왠지 혼란스러워서 ..다시 책을 찾아보고싶은 마음이 들었어요

그러면서 오래된 기억의 파일이 깨지는 그런 기분..

 소설속에 남성상이나 연애과정에 대한 분석은

사실 연애에 대한 담론에 약해서  그런가  일목요연하게 요약되지가 않았어요

소설속의 아련했던 장면이나 분위기 혹은 말투, 대화내용들을 분석하여 공감하였다하여

내 자신이 연애에  활용한다거나  연애에 대해 능력에 일조한다는   생각은  하기 어렵다고 봐요

이미 연령대가 누구를 사랑하는 테크닉이 필요한 때가 아니라서 그런걸까요

아울러 소설을 이미 읽고 가슴에 남아있던 그 푸르른 이미지나

때로는 강력한 사랑의 테크닉이 하나하나 지적되어 분석되어지니까

그 때 내가 놓쳤던 대목에 대한 아쉬움이 크게 남더군요

그리고 그 책을 읽었을 때의 나와,  지금의 나 사이에

무척이나 많은 시간이 지난듯 조금은 생소해진 기분이 들더라구요

어,그런 대목이 있었던가

그 대목에서 그런 느낌을 받은거야,이 사람은? 하는....

 

 

 

 

사랑한다면, 사랑하고 싶다면, 사랑했다면 ,

일본 소설속 사랑의 언어에 주목하라

그들의 말에는 사랑에 대한

헤아릴 수 없는 격찬이 흘러넘치므로....

 

 

 

 

일본에서 유명했던 소설속의 인용이라서 일본소설을 많이 읽으신 분들이면 이해가 빠를 것이고

또 앞으로 많은 일본소설을 읽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나름 좋은 일본서적의 선택서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작가의 글보다는 각 소설의 인용이 절반을 넘게 사용되어   혼란스럽고

각 문단마다 연결점이 없는듯 어수선한 ..그리하여 집중하기 조금은 어려운 책이였습니다

그러나 작가가 말하고자하는(아니 열광하고 있다고 보여지는 ) 각 사랑에 대한 탐구랄까

사랑의 속삭임의 중요성과 남자와 여자의 사랑에 대한 견해차이..

혹은 사랑에 대한 열정이나 사랑언어의 미학을 많이 배울 수 있는것 같아요

남자가 여자에게 해줄 많은 말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일으키는 대목들도 참 많았다는 점... 추천하고 싶습니다

문학적인 ? 연애에 대한 따뜻한 지침서로서 부족함이 없습니다

아마 작가는 사랑에 열광하고

사랑에 미치는 돌이킬 수 없는 사랑의 시절에 대해 아련히 그리워하면서

한편으로는 사랑의 언어에 흠뻑 빠지는

사랑보다 더 깊은 사랑의 언어에 도취된 그런 즐거운 기분을 주고 싶었나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