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옷장을 열다 - 옛사람들의 옷 이야기 우리 고전 생각 수업 4
조희진 글, 오연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시대 옷장을 열다>>

우리 고전 생각 수업 4번째 옛사람들의 옷 이야기



 

세상에는 다양한 옷들과 다양한 스타일이 있습니다. 옷은 우리 현대인들의 필수품이지요. 그리고 우리에게 떼어놓을 수 없는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우리는 옷으로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도하고 새로운 스타일의 옷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옛날  조선시대에서는 어떠한 옷들이 있었을까요? 그리고 그 시대 때 유행했던 악세서리는 무엇일까요? 조선시대의 옷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이 책을 강력 추천합니다.

그렇다면 조선시대로 떠나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래된 옷장 속에 잠든 역사 깨우기


옛 기록들을 살펴보면 옷에 관련된 이야기들이 은근히 많이 나와있습니다. 쓰개를 달라고 조르는 철없는 왕실의 종친, 나날이 사치스러워지는 백성들의 옷때문에 속을 썩고 속상한 왕들, 변방의 군사들에게 종이옷을 보낸 인조, 멋을 부리기 위해 법을 어기는 것에도 아랑곳하지 않은 사대부들까지, 옷에 관련된 이야기가 역사 속에 가득합니다.

이렇게 옷 이야기가 많은 것은 사람과 옷이 결코 떨어질 수 없는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관계입니다. 옷을 탐구한다는 것을 사람의 역사를 다른 각도에서 살펴보는 일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옷에 관한 이야기를 살펴보면서 역사책 너머로 숨어 있던 옛사람들의 생생한 삶과 생각들을 이 책을 통해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함께 옷장 문을 열고, 오래된 옷더미 사이에서 그간 잠들어 있던 옛사람들의 생각과 삶을 깨워보도록 해요. 보물만큼이나 진귀하고 재미있는 옛사람들의 이야기가 우리 앞에 펼쳐질 것입니다.


 


이 책을 보면 옷에 관한 다양한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담겨져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 속에서 역사에 대해 옛사람들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습니다.

위 그림처럼 책에는 도움이 될 만한 그림들이 많아서 책을 읽는데 결코 지루하지 않습니다.

<조선시대, 옷장을 열다>에서는 크게 신분과 질서를 담은 옷 배려와 축복을 담은 옷, 외국인도 놀란 우리 옷의 지혜, 마음과 예절을 담은 옷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각 이야기들 에는 우리나라의 역사이야기도 담겨져 있어서 옷에 관한 재미있는 역사책을 읽는 느낌도 듭니다.  물론 다양하고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많이 있었지만 저는 그 중에서도 세종대왕이 신하에게 갖옷을 벗어 준 내용이 가장 기억에 남았습니다.

갖옷은 굉장히 따뜻하고 귀한 가죽옷인데 세종대왕께서 집현전에서 연구를 하고 있는 한 학자분께 드렸다고 합니다. 그만큼 옷에서 신하를 위하는 왕의 감정을 느낄 수 있었던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이렇게 재미있고 흥미로운 한편으로는 안타깝기도 한 내용이 담겨져 있습니다.

책을 읽는 내내 전혀 지루할 틈이 없고 오히려 읽으면 읽을수록 더 재미있고 흥미롭습니다.

저도 옷에 관심을 많이 갖는 편인데 조선시대의 옷에 관해서는 관심을 가져본 적도 호기심을 가져본 적도 없습니다. 그런 저에게 조금 더 다양한 분야의 옷에 관해서 관심을 갖게 해준 책인 것 같습니다. 특히 앞에서 말했던 세종대왕의 부분이나 인조가 종이옷을 보낸 부분이 흥미롭고 감명 깊었습니다.

종이옷은 추운 겨울에 주로 입는 옷입니다. 종이로 어떻게 옷을 입나 궁금하시죠? 저도 처음에는 어떻게 종이로 옷을 만들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종이옷은 추운 겨울에 두꺼운 천 속에 종이를 넣어서 보온효과를 높히는 그런 옷입니다. 아주 휼룡한 지혜가 담겨져 있는 옷이라고 할 수 가 있습니다. 이처럼 읽는 내내 지루할 틈이 없고 새로운 분야에 관심을 갖게 해주는 좋은 책 <조선시대, 옷장을 열다>를 읽어보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