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빼미 무덤
강희진 지음 / 은행나무 / 2016년 12월
평점 :
책소개글을 보러 갔다가 띠지문구를 보고 울렁거렸다.
외딴섬, 풍도, 삶과 죽음의 경계...
무슨 내용인지는 모르겠지만
분명히 뭔가 근질근질한 이야기가 나를 기다리고 있을 것만 같았다.
초등교사인 ‘나’는 눈에 비문증이라는 질병을 앓고 있다.
눈에 안개가 끼거나 종종 이상한 것들이 나타나는 증세가 심해져
도시생활을 정리하고 시골 분교장으로 지원해
남해의 외딴섬 풍도로 들어가고 있는 중이다.
배에서 만난 누나를 닮은 여인에게 끌리는 가운데
배 위에서 예쁘장하게 생긴 남성과 섬아낙들의 묘한 광경을 목격한다.
막상 도착한 섬 풍도는 ‘내’가 상상했던 곳과 전혀 달랐다.
외국인과 관광객들이 넘쳐나고 섬 곳곳 어디서나 인터넷이 빵빵터지는,
오지라는 말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곳이었다.
무덤을 쓰지 않고 시체에 이엉을 얹는 초분이란 장례가
내셔널지오그래픽에 소개되면서 관광객이 들끓자
섬은 초분마다 QR코드 영상까지 첨부시켜 마을사업으로 확장시키기 시작했다.
거기에 외국인 며느리라는 인적자원을 기반으로
초등교육을 비롯한 마을의 영어화로 외지인 유입을 위해
섬전체가 관광객몰이와 영어교육열로 술렁이고 있었다.
마을사람들은 스마트폰이니 아이패드니 하는
시골에 어울리지 않는 기기들은 저마다 손에 들고
풍도를 홍보하기 위해 SNS에 열중하며
관광객들의 댓글하나에 열을 올렸다.
섬에 들어서면 목이 없는 동상의 존재가 꺼림직하다.
관광객도 많이 드나드는 길목에 세워진 흉물스런 저 거대한 동상은 뭘까.
‘나’는 섬에 들어온지 얼마되지 않아
목 없는 동상에 얽힌 사연과 그에 얽힌 마을을 떠도는 괴리감을 깨닫는다.
섬에 와서 말을 잃은 여인과 마을에 등을 돌린 아이.
그리고 마을 사람들의 뭔가 석연치 않은 행동들로
전임 선생의 행방에 의문을 품게 된다.
그때 낯선 번호로 이상한 풍경사진들이 전송된다.
하지만 ‘나’는 이 사실을 누구에게도 말할 수가 없다.
외지인인 ‘나’에게 그 어떤 진실도 말해주지 않으며
‘나’ 또한 마을사람 누구도 믿을 수 없다.
마을사람들은 거대한 하나의 생명체를 이루며
서로의 눈과 귀가 되어 감시하고
비밀을 간직하고 거짓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옛날 집성촌의 고립된 섬사람들의 공포와 특이성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마을의 진실에 다가서는
‘나’의 시선은 불안하다.
눈의 이상은 지금 보고 있는 것이 과연 실제인지 허상인지
스스로도 불명확하기 때문에
사건의 파악은 더뎌지고 흐름은 알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간다.
그럼에도 이야기에 빠져드는 이유는
실제로 남해 어딘가에 존재하고 있을 것만 같은 풍도의 묘사 때문이다.
점점 가속화되는 섬의 무인도화와
저조한 조업활동보다 외지 관광객들에게 의지해야하는 경제상황에 더하여
외딴 섬이라는 한계에서 오는 근친혼의 부작용을 어우른 이야기들이 설득력을 높여주며
결국 한번쯤은 풍도라는 섬의 실제를 검색해보고 싶은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이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