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 마음 - 뇌, 몸, 환경은 어떻게 나와 세계를 만드는가
앨런 재서노프 지음, 권경준 옮김, 허지원 감수, 권준수 해제 / 김영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는 우리 몸을 조종하는 지휘관인가

 

몸의 각 기관을 연결하는 플랫폼인가

 

'인간='라는 경향성을 뛰어넘어 몸과 마음을 새롭게 바라본 문제작

 

 

나는 평소 심리학과 정신분석학에 관심이 많은 편이다. 관련 책들도 종종 읽고 있다.

그러나 정작 그 모든 것의 근원(혹은 그렇다고 여겨지는)이 되는 기관인 뇌에 대한 과학책은 읽어본 적이 없었다. 뭐랄까- 이런저런 심리 현상 사례를 분석하는 것은 비교적 진입장벽이 낮고 재미있게 느껴지지만 ''라는 기관에 대한 본격적인 설명을 시작하려고 하면 뼛속까지 문과인 내 머릿속에서 일단 도망쳐야겠다는 사이렌이 윙윙 울렸달까. 그런 점에서 이번에 소개할 책 <생물학적 마음>을 독서한 것은 내게 있어서 하나의 도전이었다.

 

그 도전을 시작할 수 있게 한 건 그동안 회피하고 있었던 것을 마주하고 한 단계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가고 싶다는 지식욕, 그리고 소장욕구를 마구 불러일으키는 예쁜 표지였다(ㅎㅎ). 그리고 도전을 끝까지 완수할 수 있게 한 것은 이 책이 단지 어렵고 복잡한 과학적 지식만을 늘어놓은 논문이 아니라 나같은 사람도 충분히 흥미롭게 읽을 수 있게 친숙하고 재미있는 이야기로 구성됐기 때문이었다.

 

오늘날 뇌의 신비는 어떻게 존재하는가?

 

<생물학적 마음>은 크게 1, 2부로 나누어져 있다. 1부에서 저자는 오늘날 뇌의 신비가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묘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오늘날 신경과학의 주제들과 뇌의 유기적이고 통합적인 특성을 과소평가하는 신경과학의 대중적인 해석을 살펴본다.

 

저자는 뇌-몸 구분을 야기하고 뇌를 자연의 여타 영역을 넘어서는 위치로 격상시키려는 경향을 가진 다섯 가지 특정 주제를 거론한다. 과학적 근거를 가진 대안적 관점을 살펴보면서 뇌를 다시 현실적인 지위로 돌려놓으려고 시도한다. 이 때 첫 번째로 다루는 주제는 추상화로, 사람들이 뇌를 다른 살아 있는 개체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원리에 기반한 비생물적인 기계로 보려는 경향성이다. 두번째 주제는 복잡화로, 뇌를 분석이나 이해가 불가능할 정도로 매우 복잡한 것으로 보는 관점이다. 세 번쨰 주제는 구획화인데, 자세한 설명 없이 인지 기능의 국재화를 강조하는 관점이다. 네 번째 주제는 육체의 분리로, 뇌가 두개골 밖의 생물학적인 과정으로부터 최소한의 영향을 받으며 스스로 몸을 조정한다고 보는 경향성이다. 마지막 다섯번째 주제는 자율성으로, 뇌를 스스로 통어하는 것으로 여겨 환경을 받아들이지만 항상 제어하는 위치에 있다고 보는 견해다.

 

생물학적 접근의 중요성

 

2부에서는 생물학적으로 보다 실재적인 의견이 왜 뇌와 마음에 중요하며 어떻게 우리의 세계를 개선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 저자는 오늘날 뇌의 신비로부터 매우 강한 영향을 받고 있는 세 가지 영역 즉 심리학, 의학, 기술 분야를 살펴본다.

 

심리학에서 뇌의 신비는 뇌가 우리의 생각과 행동의 원동력이라는 견해를 조장한다. 인간 행동을 이해하려고 애쓸 때 우리는 종종 뇌와 관련된 원인을 먼저 염두에 두고 머리 바깥의 요인에 대해서는 주의를 덜 기울인다. 이로 인해 우리는 개인의 역할을 지나치게 강조학 사법제도부터 창의적 혁신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화적인 현상에서 맥락의 역할을 과소평가한다.

 

의학에서 뇌의 신비는 정신 질환의 낙인을 영속화하는 중대한 결과를 낳았다. 저자는 우리의 마음이 물리적인 기초를 가지고 있다고 인정함으로써 정신 질환을 도덕적인 결함으로 보는 전통적인 경향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기술적인 면에서 뇌의 신비는 미래에 대한 비전을 불러일으킨다. 그중 다수는 공상과학소설 수준에서 맴돌며 '뇌를 해킹'하여 지능을 향상시키거나 우리의 마음을 업로드하여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상상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상에는 여러 도덕적 문제가 따른다. 뇌에 대한 신화를 제거함으로써 우리는 삶을 개선하는 동시에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과학적이고 윤리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뇌가 우리를 만드는 방식을 이해한다면

 

우리의 자기 이해는 얼마나 확장될까?

 

뇌의 용도 가운데 하나는

 

이런 책을 읽는 것이리라.

 

_로쟈 이현우

 

 

*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