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과 교육 민음의 시 260
송승언 지음 / 민음사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들의 마음속에 잿더미가 쌓여 있다. 이것이 나의 생각이다. 나는 생각을 헤쳐 나간다. 램프를 들고, 흔들리는 램프 안에 불이 흔들린다. 이것이 너의 표정이다. 너의 표정은 죽어 가는 사람의 숨결처럼 아득하게 퍼져 나간다. 램프를 들고 복도의 잿더미를 헤쳐 나가면 잿더미의 복도에서 램프를 들고 다가오는 사람. 그는 나에게 비어 있는 한 손을 내민다. 악수할 수 없는 손을.

램프 전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늑대의 은신처, 그곳에 다다랐지, 한층 주의해야 했어. 그날밤의 제1과, 내 귓전에 들리는 늑대의 숨소리, 사랑 시였어.
나는 동이 틀 때까지 요동치는 그의 모피를 붙잡고 늘어졌어,
어찌 어떤 소녀가 그 늑대를 끔찍이 사랑하지 않겠어?
그런 다음 나는 늑대의 엉겨 붙은 무거운 두 발 사이에서 미끄러져 나와 살아 있는 새를 찾아 나섰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미러에 종종 당신 얼굴 비친다
더 비참할 게 남은 사람처럼
아무리 운다고 하여도 아무리 주저앉는다 해도
땅과 하늘을 다시 꿰맬 순 없다.
ㅡ <더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럼에도 우리는 연인 간의 사랑에 관해서는 너무 쉽게 완성품을 얻고 싶어 한다. 사랑이 삶 속에서 누릴 수 있는 가장 창조적인 활동이라면 그건 끊임없이 변화하고 움직이는, 서로 다른 존재들의 향연이기 때문이다.
사랑은 게으른 자에게 태어나지 않는다. 상상력이 부족한 자에게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행 슬로보트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샌프란시스코 베수비오카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