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트는 도련님
백가흠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를 처음 알게 된 것은 꽤 오래됐다.

이 책이 2011년 파주북소리에 갔다 사온 책이니 말이다.

작가에게 관심이 생긴 것은 얼마 전의 일이다.

작년 여름쯤 알게 된 사람이 워낙에 이 작가를 좋아하는 통에 나는 드문드문 작가의 소식과 함께 그의 사상을 접하게 되었다.

나는 『나프탈렌』을 먼저 읽었다.

그러니 이 책을 읽으면서는 ‘이 작가 성장했구나!’하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나프탈렌의 글이 훨씬 안정적이고, 작가의 모습 또한 객관적으로 형상화 되어있다.(힌트는 도련님- 「그래서」의 백, 「힌트는 도련님」의 도련님, 「P」의 P. 나프탈렌- 백용현 교수. / 그의 책을 두 권밖에 읽지 않은 나로서는 짐작하는 일이지만, 채플린만큼은 아니더라도 히치콕처럼 카메오로 자신의 작품에 들어 가는 것을 즐기는 것 같다.)

뭐 아직 싹도 못 틔운 습작생 주제에 기성작가에게 되바라진 얘기일진 모르겠으나.

나로서는 ‘나도 성장해야지’라며 두 주먹을 불끈 쥐게 한 작품집이었다.

내가 무엇보다 작가를 높이 사게 된 건 ‘평론과 후기’였다.

대개의 경우, ‘사람’은 하는 만큼 받는 법이다.

그래서 나는 칭찬일색인 평론 따위 어느 순간부터 신용하지 않게 되었다.

그런 글을 받는 작가는 그런 글밖에 받아들이지 못하는 부류일 가능성이 높다.

대신, 책에 대한 조망과 함께 작가에 대한 넘치지 않는 기대와 조용한 응원을 보내는 평론에 주목한다.

그런 글을 받는 작가는 자신을 겸허히 돌아볼 줄 알기 때문에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도가 지나친 추측이라 할 수도 있지만, 진시황의 진나라도 결국 신하의 사탕발림에 넘어갔다.

언젠가 내가 기성작가가 되었을 때 염두에 두어야 할 부분이라 생각하고 있다.

먼 미래의 일이긴 하지만. 아무튼 백가흠 작가는 내가 주는 평론 점수에서 합격점이다.

후기에서 담담히 말하는 부모님과의 얘기는 사랑 받으며 참 잘 자란 사람이란 생각이 들게 한다.

돈이 생기면 천천히 집을 짓고, 상대를 꼼꼼히 배려해 집을 짓는 부모를 둔 사람이니 ‘인간에 대한 사랑이 담긴 글을 쓸 수 있겠다’라는 짐작이다.

대개의 경우, ‘사랑’을 받은 사람이 사랑할 줄 안다.

(작가는 소설 쓰기에 대해 말하기 위해 사용한 일화지만 독자는 이렇게 읽고 있다. 역시 독자에 의해 책이 다시 써진다는 말이 옳다!)

하지만, 힌트가 도련님이라니…….

‘힌트’건, ‘도련님’이건 둘 다 별로 친한 단어는 아니다.

책을 사면서도 디자인이 잘 된 책이라 하여 산 것이지 솔직히 내용을 염두에 두고 산 책은 아니었다.

그게 300쪽 남짓인 책을 1년 반 동안 숙성시켜 읽은 까닭이다.

소문, 가난, 폭력, 문학, 소설가, 소외, 강압, 전쟁, 자유, 속박, 왜곡, 사회, 운동 그리고 소설.

하나의 이야기가 하나의 시사점만을 주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한다는 점에서 읽을 가치가 있는 이야기들이었다고 생각한다.

왜곡된 사회의 모습이 현실과 좀 떨어져 있는 주인공이 아니라 주위에서 친숙하게 만날 수 있는 주인공의 이야기로 형상화된 것이 의미있었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요즘 관심 있는 ‘소문’이란 소재와 ‘동물원’을 배경으로 한 작품(그때 낙타가 들어왔다)이 있다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담담한 묘사와 서술 시간의 변주(통痛) 등은 공부하는 입장에서 따라해 보고 싶은 마음이 들기도 했다.

그러나 소설가의 이야기가 너무 많이 나오는 것은 아쉬운 점이다.

총 8편의 단편 중에 3편이 소설과 문학, 소설가에 관한 얘기다.

소설에 관한 이야기가 일반 독자들에게 어떤 의미를 줄 수 있을까.

종종 글쓰기의 어려움에 대해 써진 에세이나 소설들을 읽게 된다. 물론 글쓰기는 쉬운 일은 아니다.

무엇을 쓸까 생각하는 과정부터 시작해, 다듬고 다듬는 퇴고의 과정까지 어느 하나 쉽게 넘어가는 부분은 없다.

그러나 세상에 어려운 일이 어디 글쓰기뿐일까.

글 쓰는 사람은 대개 누가 시켜서 한다기보다 ‘하고 싶어서’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은 쓰기 힘들다’라고 써진 글을 볼 때면 지식인의 ‘자아도취’나 ‘허영’으로 읽히는 경우가 많다.

일반 독자 중에 뒤에 말을 하는 독자가 없으란 법이 없다. ‘그렇게 힘들면 쓰지 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