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에 읽었던 '쇼코의 미소'에서도 표지 인물의 얼굴이 보이지 않았는데 이번에 읽은 '82년생 김지영'도 표지 그림의 얼굴이 보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표지 인물보다 검고 큰 그림자가 더 깊게 다가옵니다. 뒷짐을 지고 서 있는 여인. 무얼 생각하는지 어디를 보고 있는지 알 수는 없지만 그 옆의 검은 그림자는 인물의 혹은 인물이 처한 상황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정의당 노회찬 의원이 청와대 방문 당시 문재인 대통령에게 선물해서 더 화제가 된 책 '82년생 김지영'.

'한국 사회에서 여자로 살아가는 일. 그 공포, 피로, 당황, 놀람, 혼란, 좌절의 연속에 대한 인생 현장 보고서'

뒷표지에 있는 문구이면서 이 책을 가장 압축적으로 표현하는 말이 아닌가 싶습니다. 한국이라는 나라에 살면서 남자로 태어난 게 다행이다라는 생각을 가져보지 못한 중년 남성은 없을 것입니다. 그만큼 이 나라는 철저하게 남성 중심의 사회로 이어져왔고 앞으로도 꽤 오랜 기간 이어질 것입니다. 이 책에는 그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한 여인이 약 35년간 겪어온 차별과 억압의 기록이 마치 르포처럼 펼쳐져 있습니다. 내용도 길지 않고 가독성도 좋아서 다 읽는데 채 3시간도 걸리지 않았습니다. 제가 책을 빨리 읽는 편이기도 하지만 책의 흐름이 예상가능한 것도 있고  무엇보다 당사자인 여성이 아닌 남성이기 때문에 심각성을 인식하자 못하고 읽어서 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책을 읽는 내내 이렇게도 다양하고 세부적인 부분까치 차별이 미치고 있구나 하는 새삼스러운 깨달음을 얻기도 한 책입니다.

 

'82년생 김지영의 주인공은 익숙하다. 특수성이 아니라 보편성을 추구하는 것이 이 소설의 특수성이다.'(179쪽) 선뜻 동의하기는 어려운 문장이지만 소설의 핵심을 정리하는 문장이기도 합니다. 소설을 읽다보면 82년생 김지영 씨가 겪는 그 수많은 경험과 차별이 익숙합니다. 주위에서 충분히 봤고 들어봤던 내용들입니다. 물론 그렇지 못한 내용들도 많지만... 그렇기 때문에 김지영이란 인물은 익숙합니다. 하지만 소설 자체가 익숙함(일상성) 속에서의 구체적이고 특수한 인물의 형상화를 목표로 한다고 생각한다면 이 소설을 결코 잘 써진 소설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보편성을 추구하는 것이 특수성이라는 문장은 소설의 약점을 교묘하게 감추는 수사가 아닌가 하는 개인적 생각입니다. 더구나 소설+르포의 형식적 특성을 취하고 있기에 수많은 각주와 통계 자료를 적시하는 듯한 문장의 딱딱함도 소설로서의 약점을 드러내고 있는 장치가 아닌가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소설에서 제기하는 여성 차별, 한국사회의 많은 문제점들을 외면하거나 축소하려는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다만 이 소설이 소설적 형상화의 측면에서는 다소 부족하지 않나 하는 생각일 뿐...

 

'우리 주변의 많은 여성들이 김지영처럼 눈을 감아 버리고 입을 닫아 버린다. 하고 싶은 말을 하면 무슨 일이 생길지 예상할 수 있고 그 일은 피로와 무력으로 되돌아올 것이기 때문이다.'(186쪽)

대한민국 여성의 현실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문장입니다. 누가 뭐래도 대한민국은 여전히 여성에 대한 경시와 차별, 불평등이 만연한 사회입니다. 무엇을 말하고 행동해도 무시되어 버릴 것이라는, 심리적 장벽 혹은 무용론이 여성의 의식을 지배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보니 분명 차별을 받고 있고 무시당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현실 속에서는 참고 넘겨버리는, 어쩔 수 없이 회피되고 회피해야만 하는 현실의 반복입니다. 책을 읽다 보면 정말 많은 장면에서 김지영 씨는 눈을 감아버리고 입을 닫아 버리고 있습니다. 남성으로서 당연히(!) 누리고 향위하는 현실에서의 지위와 영향은 결국 여성의 눈물 위에서 가능했던 것입니다.

 

엄마의 뱃속에서부터 또다른 엄마가 되어서까지 여성의 차별 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아니 차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씁니다. 유리천장은 조금도 균열이 가지 않고 견고한 벽을 쌓아올렸습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내각의 관료를 30%이상 여성으로 채우겠다고 했는데 이것이 유리천장에 가하는 묵직한 펀치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우리 사회 전체에 만연한 남성 중심의 사고가 혁신되어야 할 것입니다. 책을 읽다보니 너무나 당연하게 남성으로서의 권리 아니 권리를 누리고 있었다는 자책감이 들었습니다. 남성이기에 당연시여겼던 것들이 그 맞은편 여성의 입장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사고와 행위였습니다. 그러고 이것들은 자연스럽게 몸에 배어 쉽게 고칠 수 없는 고질병같은 것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책의 마지막에 명쾌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불안한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는 것 역시 우리 사회의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됐습니다. 여성의 주체적 사고와 행동, 남성의 내려놓기 혹은 역지사지의 자세가 결합될 때, 여성의 차별과 불평등은 점진적으로 해소될 것입니다.

 

아프게 읽었습니다. 대한민국 여성보다 남성이 먼저 읽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변화의 시작은 공감과 이해에서부터가 아닐까 싶습니다. 성으로서 인간의 역할과 지위를 나누는 것이 아니라 인간 자체가 모든 판단의 기준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 논의의 본격적인 시작을 소설 '82년생 김지영'이 던져주는 것은 아닐까요?

 

‘우리 주변의 많은 여성들이 김지영처럼 눈을 감아 버리고 입을 닫아 버린다. 하고 싶은 말을 하면 무슨 일이 생길지 예상할 수 있고 그 일은 피로와 무력으로 되돌아올 것이기 때문이다.‘(18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