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Who? 한국사 : 신사임당.허난설헌 Who? 한국사 27
다인 지음, 안광현.정병훈 그림, 최인수 정보글, 최태성 추천 / 다산어린이 / 202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오늘 읽어본 책은 who?한국사 신사임당,허난설헌편입니다.


 

 

 

조선시대에 가장 유명하고 존경받던 두명의 여인 이야기가 한권에 담겨 있어서 더 좋은거 같아요

신사임당과 허난설현의 대략적인 내용은 위인전으로 읽어봤던 아들인지라

학습만화로 더 잼있게 두명의 인물을 읽을 수 있어서  초집중해서 읽어 내려갔어요



워낙 유명하신 최태성 쌤이 선택한 who?한국사

QR코드를 통해 큰별쌤 최태성의 who?한국사 강의를 만나볼수 있어요

아직 초등학교 1학년이라 강의까지는 듣지 않았지만

고학년들은 최태성 쌤의 강의를 들어보면 좋을꺼 같아요 

 

신사임당하면 오만원권 지폐에 있어 훨씬 친근감이 있고

이이의 어머니로 어진 어머니로 알고 있으며

허난설현은 조선 시대 여성시인입니다.


조선사회에서 여성의 몸으로 예술혼을 꽃피기위해 신사임당과 허난설현이 어떤 노력을 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등장인물


조선의 여성화가 신사임당 (1504-1551)

신사임당의 남편이자 조력자 이원수 (1501-1561)

아홉번이나 장원 급제한 신사임당의 아들 이이 (1536-1584)


시대를 앞선 여성 시인 허난설현 (1563-1589)

부인의 재능을 못마땅해한 고지식한 선비 김성립(1562-1592)

누나의 재주를 아낀 자유분방한 선비 허균(1569-1618)

 

 

 

강원도 강릉세는 까마귀처럼 검은 줄기의 대나무가 자라 '오죽헌'이에서

다섯 자매 가운데 둘째로 태어났습니다.


사임당의 아버지는 딸의 비범함을 눈치 채고 종이와 붓을 주며

신사임당의 재주를 격려 했습니다.

그림을 가르쳐줄 스승도 없었지만 사임당은 아버지가 구해다 주신

안견의 <몽유도원도>를 똑같이 따라 그릴 정도의 실력을 갖고 있었습니다. 


신사임당의 워낙 유명한 일화인 치마에 얼룩을 가리기위해 그려낸 포도송이,닭이 그림에 있는 벌레를 쪼았을 정도로

그림실력이 뛰어 났지만 신사임당은 자만하지 않고 열심히 노력했어요


사임당이 남긴 작품으로는 자리도,산수도,초충도,연로도 등 40여 점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사임당은 그림만 잘그린것이 아니라 현모양처로 착한 아내, 어진 어머니였습니다.

혼례 후 시댁의 어려운 살림을 도맡아 가족과 하인들까지 알뜰하게 챙기며

 오랜 기간 과거를 준비하는 남편도 뒷바라지 했습니다.

 

4남 3녀를 낳은 사임당은 바쁜 가운데에도 아이들의 공부만큼은 직접 가르쳤습니다.

아이들의 재능에 따라 고육도 달리 했지요

글공부를 좋아하는 아이에게는 학문을,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아이에게는 예술을 가르쳐

재능을 보이는 자녀에게 필요한 맞춤형 교육을 해줬습니다.

이렇게 길러낸 아들이 열 세살의 어린 나이에 과거에 합격한 셋째 아들 이이입니다.

신사임당은 자녀들을 훌류한 학자와 예술가로 키워 낸 모범적인 어미니였습니다.

사임당은 그림그리는것도 게을리 하지 않았어요

사임다의 작품은 동시대 사람들에게 '신 씨의 그림'이라 불렸습니다.

누구의 부인이나 어머니가 아닌, 화가로서 당당히 인정 받았습니다.

 

 

 

 

허난설헌의 어릴적 이름은 초희랍니다.

초희가 살았던 시대의 여성들은 자류로운 삶을 살지 못했어요

여자는 글도 읽으면 안됐고 다른 사람에게 얼굴과 손을 제외한 맨살을 보이면 안 됐고,

늘 몸가짐을 단정히 해야 했어요

그래서 어머니는 자유로운 딸의 성격을 몹시 걱정 했지요

 

 

초희는 아버지의 지지로 학문에 빠져들수 있었어요

초희가 여덟 살 때 지은 <광한전 백옥루 상량문>은 어린 아이가 지었다고 하기에는

상상력과 표현력이 뛰어나 읽는 사람마다 감탄을 아끼지 않을 만큼 훌륭한 글입니다.


그리고 허난설헌의 동생 허균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소설인 <홍길동전>을 지었답니다.

 

 

 

​남성 중심의 보수적인 집안으로 시집을 간 허난설헌은

고된 시집살이와 외로움을 견디며 매일 밤 시를 썼습니다.


시어머니 대박입니다. 전 하루도 견디지 못했을꺼 같아요 ㅠ,ㅠ

8살 아들의 눈에도 시어머가 못되게 보였나봐요


"허난설현이 일찍 죽은건 시어머니가 못되서 그런거야."


고된 삶을 살다가 끔을 펼치지 못한 허난설헌의 인생이 너무나 안타까웠습니다.

 

 

 

  

허난설헌은 자녀를 잃은 슬픔으로 건강이 나빠져 스물일곱의 꽃다운 나이로 쓸쓸히 세상을 떠났습니다.

난설헌을 아꼈던 허균 덕분에 사라질 뻔했던 난설헌의 시를 모아 펴낸

<난설헌집>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여인의 힘겨운 일생살이를 아름다은 시에 녹여 낸 허난설헌은 조선 최고의 시인 중 한사람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who?한국사는 시대 돋보기를 통해 인물의 역사적 의미와 시대상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요

사회,과학,역사,문화 등 다양한 교과 연계 학습이 가능해서 한국사를 좀더 쉽게 접근할 수 있어요

고학년이 되면 연대표를 줄줄 외워야 한다던데...

저학년때부터 자연스런 노출로 많이 읽다보면

억지로 외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기억할 수 있을꺼 같지요

학습만화로 독후 활도 어렵지 않아요~


한국사 퀴즈도 풀어보고 역사 논술도 해보고

체험 학습을 읽어보고 신사임당처럼 멋지게 그림도 그려보고 시도 지어보면서

독후활동을 통해 책의 내용을 한번더 짚어 볼수 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꾸자꾸 화가 나요 괜찮아, 괜찮아 11
톰 퍼시벌 지음, 장우봉 옮김 / 두레아이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꾸자꾸 화가 나요

작가 톰 퍼시벌 / 출판 두레아이들

아이들을 위한 인성동화 ,' 괜찮아,괜찮아' 시리즈 11번째 이야기




책 제목을 보는 순간 요즘 우리집 아들이 딱 떠오르는건 뭔가?? 

이책은 무조건 읽어줘야겠다 생각했어요


요즘 집밖을 못나가니 짜증과 화를 너무 많이 내서 너무 힘든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어요

아이가 자신이 왜 화가 났는지...무턱대고 화를 내는게 아니라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인성동화를 통해 도와주고 엄마도 아이의 감정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고민의 시간을 가져 보고 싶네요

 

 

​주인공 레오는 집에서 가장 어리고, 키도 제일 작았데요.

심지어 비스킷도 레오보다 컸어요.


키가 작아 좋을때도 있고 때로는, 정말 가끔, 그렇지 않을 때도 있었어요


달리기에서 지거나

공원에서 숨박꼭질할때 레오는 한사람도 찾아내지 못했어요

놀이터에서는 구름다리가 너무 놓아서 손이 닿지 않았지요

통나무 징검다리는 너무 멀어서 건너뛸 수가 없고

커다란 미끄럼틀을 타고 싶었지만 키가 작아 탈수가 없었어요


아빠는  화가 나 있는 레오를 달래기 위해 아이스크림을 먹으러 가자고 합니다.

(저희 신랑도 아들 기분 달래주려면 꼭 아이스크림을 먹으러 가자고 제한하는데...

아빠들 모습이 참 닮아 있네요)

 

 

​하지만 늦게 도착한 레오앞에서 아이스크림이 떨어지고 말았네요

레오는 무지무지 화가 났어요

화가나서 이리저리 쾅쾅 뛰고 씩씩거렸지요

화를 참지 못한 레오는 결국 호랑이로 변했어요​

 

형은 레오를 달래려고 아이스크림을 건넸지만...소용없었어요

​호랑이 레오는 점점 자기가 하고 싶은데로 했어요

호랑이 레오는 그동안 하지 못했던 것들을 할 수 있어 좋았어요

급기야 모두 호랑이를 피해 달아났고

아무도 자기와 놀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호랑이 레오는 맨 처음에 무엇 때문에 그렇게 화가 났는지 기억이 나질 않았어요



"정말 죄송해요"

"이제 괜찮아! 미안하다고 말한 건 잘했어"


사과하는게 쉽지 않았을텐데...레오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가족들에게 사과를 했어요

가족들도 호랑이 레오를 야단치지 않고 기다려주는 모습에 저도 많이 반성하게 되네요

 

 

사실 이책을 읽은 날

아들과 별것도 아닌일로 다퉜거든요

저도 제 감정을 추스르지 못하고 씩씩거리다가

식탁에  있는 '자꾸자꾸 화가 나요'책이 저의 눈에 들어왔어요

그순간 아이에게 미안해서 화해의 의미로 이책을 소리내어 읽기 시작했어요


아들도...엄마랑 말하기 싫다고 울그락 불그락 하고 있었는데

제가 읽는 소리를 듣고 제 옆에 와서 한참을 듣더니...

자기 손에 있던 초코렛을 제 입에 넣어줍니다.


"엄마가 미안해"

"아니야, 내가 더 미안해"

아이도 어른인 저도 화가 났을때 감정을 어떤식으로 표출해야 하는지 서툴러서

늘 화만 내고 싸우곤 했어요

앞으로는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는데 더 관심을 갖고

아이가 감정을 표출할때 좀더 따뜻하게 안아줘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