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국이란 이름의 기억 ㅣ 테익스칼란 제국 1
아케이디 마틴 지음, 김지원 옮김 / 황금가지 / 2025년 7월
평점 :
아케이디 마틴의 <제국이란 이름의 기억>은 우주의 중심인 테익스칼란 제국에서 변방 출신 외교관 마히트 디즈마르가 겪는 이야기입니다. 주인공 마히트는 '르셀 스테이션'이라 불리는 소규모 우주 정거장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제국을 동경하며 자랐습니다. 어느 날 테익스칼란 제국에서 신임 외교관이 필요하다는 요청이 옵니다. 제국의 문화와 언어에 능숙한 마히트는 르셀의 새 외교관으로 뽑혀 제국을 방문합니다.
작가는 제국 수도를 ‘에큐메노폴리스’라 지칭합니다 (수도는 이름이 없습니다. 세상 하나뿐인 수도는 고유 명사가 필요없으니까요). 에큐멘은 어슐러 르귄의 연작 소설 헤인 사이클에서 범 우주 인류 연합체를 의미하니, 고전에 대한 존경과 계보를 잇겠다는 야심이 동시에 보이는 명칭입니다. 특히나 책은 헤인 사이클 중에서 최초로 '에큐멘' 개념이 등장한 <어둠의 왼손>과 비슷합니다. 세계 밖에서 온 외교관 주인공이 군주정 세계에 방문하고, 세계를 다스리는 군주 대신 현지의 수행원이라고 할 법한 인물이 세계를 대표하여 주인공을 안내합니다. 주인공은 현지인과 여러가지 갈등을 겪지만, 나중에는 문화 차이를 뛰어넘어 서로를 의지할 수 있을 만큼 가까워집니다. 여기에 덧붙여 <제국이란 이름의 기억>은 자체로 명문인 <어둠의 왼손>의 서문에 아주 잘 어울립니다.
“SF는 예언하는 것이 아니라 묘사한다. … 모든 소설은 은유이다. SF는 은유이다. SF가 기존 소설과 다른 것은, 우리 동시대 삶에서 커다란 지배력을 가진 것들, 즉 과학, 모든 과학과 기술과 상대주의적이고 역사적 견해들로부터 가져온 새로운 은유를 사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 소설에서 미래란 은유이다. 그렇다면 무엇을 은유하는 것인가?”
테익스칼란 제국 시리즈 역시 인류의 미래를 예언하지 않습니다. 거대한 제국도 지금의 인간 사회의 어떤 요소를 보여주기 위해 만든 무대일 뿐입니다. 그렇다면 저자는 무엇을 말하기 위해 이런 세계를 만들었을까요? 친절한 작가는 책의 맨 앞에 답을 적어두었습니다. "자신의 문화를 집어삼킨 문화를 사랑해 본 적 있는 모든 이에게 이 책을 바친다"고요. 헤인 사이클이 인류를 대표하는 '에큐멘'의 눈으로 변방의 문화를 관찰하는 이야기였다면, '에큐메노폴리스'를 지닌 테익스칼란 제국은 변방의 문화권에서 세계의 중심을 경험하는 이야기입니다. (테익스칼란 제국은 중남미 아즈텍 문명에서 모티브를 따왔다던데, 현대에 흔적만 남기고 사라진 문화를 우주의 중심으로 설정한 점도 재미있습니다.)
'체험할 수 있을 뿐 체화할 수 없는' 타국 문화의 은유는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집니다. 하나는 소설의 주인공 마히트가 겪는 이야기이고 다른 하나는 소설을 읽는 독자의 경험입니다. 마히트의 수난사는 스포일러이니 후자만 쓰겠습니다.
작가는 의도적으로 독자가 테익스칼란에 익숙해지기 못하게끔 이야기를 풀어냅니다. 서평단에 선정된 저는 책을 읽으며 틈틈이 이웃 서평단의 트윗을 구경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책 옆에 종이를 두고 메모를 하며 읽고 있었습니다. 저는 그렇게까지 성실한 독서가가 아니었지만, 그럼에도 앞 페이지로 여러 번 돌아가 사건을 확인해야 했습니다. 사건이 많고 복잡하기도 했지만 테익스칼란의 독특한 이름도 한 몫을 했습니다.
테익스칼란 제국인의 이름은 숫자와 보통명사의 조합으로 이루어집니다. 제국 황제의 이름은 '여섯 방향', 마히트의 수행원의 이름은 '세 가닥 해초'인 식으로요. 반면 테익스칼란 외 사람들은 마히트, 데카켈, 골라에트처럼 발음은 이상해도 평범(?)합니다. '숫자+보통명사' 조합은 작가가 만든 우주의 법칙이 아니라 테익스칼란 제국만의 문화인 셈입니다.
그런데 이 이름들이 이야기를 더 어렵게 만듭니다. 황제의 최측근은 누구였고 과학부 장관은 누구였는지 헷갈립니다. 러시아 소설을 읽을 때처럼 한참을 헤매고 나서야 인물이 그려집니다. 이상한 일입니다. 따지고보면 '숫자+보통명사'는 러시아 사람 이름보다 훨씬 간단합니다. 독자는 테익스칼란 세계를 따라가며 '아는 단어로만 이루어져있는데 외우지 못하는' 기이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르셀 스테이션의 인물인 '마히트'나 '데카켈'을 기억하는 것과는 다른 경험입니다. 이외에도 테익스칼란 제국을 낯설게 만드는 요소는 많습니다. 아즈텍 문자를 닮았을 그들의 상형문자도, 그 문자로 이루어졌을 시도 독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습니다.
재미있게도 주인공 마히트가 테익스칼란에서 겪는 일이 독자의 고생과 다르지 않습니다. 마히트는 고향을 대표하는 외교관으로 뽑힐만큼 테익스칼란에 빠삭했지만, 막상 테익스칼란에 가서는 테익스칼란 어린이만도 못합니다. 마히트는 항상 정보에 굶주려 있으면서도, 새롭게 알게 된 정보를 믿지 못합니다. 테익스칼란의 문화양식은 르셀에서 배웠던 것과 다르지 않지만, 외국어로 배운 지식만으로는 테익스칼란인 사이에 낄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마히트는 나아갑니다. 왜냐하면 그는 고향인 르셀 스테이션의 운명을 짊어진 사절이며, 동시에 타향인 테익스칼란을 너무나 사랑하기 때문입니다.
산전수전을 겪은 마히트가 테익스칼란을 상대할 수 있게 될 즈음이면 독자도 테익스칼란에 익숙해집니다. 새로운 인물이 나와도 관계도 사이에 채워넣을 수 있고, 전에 나온 고유명사가 다시 나와도 앞 페이지를 뒤적이지 않아도 이야기를 따라갈 수 있게 됩니다. 지도 없이 한 발짝도 나가지 못했던 여행지도 하루이틀 지나 앞마당처럼 누비게 되는 것처럼요. 슬슬 세계에 익숙해졌나 싶은 그 때, 테익스칼란은 마히트와 독자를 배신합니다. 남의 문화는 결코 내것이 될 수 없다는 작가의 메시지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