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나리아 - 제124회 나오키상 수상작
야마모토 후미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예문사 / 2016년 2월
평점 :
절판


야마모토 후미오의 제124회 나오키상 수상작 [플라나리아]를 비롯해 5편의 단편을 엮은 소설집이다. 저자의 문장을 좋아해서 책이 눈에 뜨일 때마다 읽는 편인데, 솔직히 조금 실망스럽다. 여성이라면 공감할 수밖에 없는 다양한 경험들을 가볍게 풀어 쓴 이야기가 오히려 더 깊이 와 닿는다고나 할까. 아무래도 문학상을 수상하려면 사회적 이슈나 심리적인 접근을 다룬 작품이 선정되기 마련이겠지만 그런 구태의연한 관습은 오히려 문학계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아닐는지. 그러나 작가의 필력이 작품 전반에 걸쳐 빛나고 있다는 것만큼은 분명해 보인다. 책장을 넘기며 밑줄 긋고 싶은 주옥같은 문장들을 마치 보물찾기처럼 발견하는 순간의 즐거움은 아쉬운 마음을 달래주기에 충분했다.

 

이 소설집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인생에서 약간의 어긋남을 경험하는 중이다.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이 지금까지와는 다른 길을 만나면서 느끼는 불편한 감정들이 섬세하게 그려진다.

 

<플라나리아> 평범한 회사원이었던 하루카는 유방암으로 유방절제술을 받고 변해버린 삶에 어찌할 수 없는 상실감을 떨칠 수가 없다. 잘라도 재생이 가능하니 죽음의 공포도 없이 아무 생각도 안하고 살 수 있는 플라나리아로 태어나고 싶다고 생각한다.

 

<사랑 있는 내일> 아내와 딸을 위해 헌신했다고 생각한 생활이 이혼으로 이어지자 삶의 의미를 잃어버린 남자는 직장을 그만두고 누구나 가볍게 들어올 수 있는 선술집을 차린다. 그곳에 자유분방하고 매력적인 여자 스미에가 찾아들고 그의 인생에도 새로운 바람이 분다.

 

<네이키드> 워커홀릭이던 이즈미는 이혼과 함께 백수가 되어버리자 모든 것이 귀찮기만 하다. 남아도는 시간을 죽이고만 살아가는 그녀의 변화를 보고 지인들 모두 걱정해주지만 아무래도 마지막 남은 자존심을 벗어버리지 못하고 모진 말로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고 만다.

 

<어딘가가 아닌 여기> 남편이 좌천당하자 부족한 생활비를 위해 동네 할인 마트에서 아르바이트를 시작한 주부. 남편은 착하지만 무능하고 대학생 아들은 제멋대로이며 고등학생 딸은 매일 같이 외박이다. 무엇이 잘못된 걸까. 어딘가가 아닌 여기에 항상 있었을 뿐인데.

 

<수인(囚人, 죄인)의 딜레마> 회사원 미토와 대학원생 아사오카는 오랜 연인 관계. 외동딸인 미토는 집에서 독립을 시켜주지 않고 아직 학생인 아사오카는 경제력이 없다. 서로 주도권은 갖되 약자가 되고 싶은 그들에게 결혼이라는 현실은 마치 죄인의 딜레마와도 같지 않은가.

 

흔히 힘든 일에 부딪친 사람들에게 ‘기운 내라. 떨치고 일어나야 하지 않겠느냐’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그런 응원이 과연 당사자가 듣고 싶어 하는 말일까 생각해 봤다. 그러고 보니 세상이 나를 저버린 것 같은 상황에서는 격려의 말들이 귀에 들어오지 않을 것 같다. 오히려 스스로 일어날 수 있을 때까지 내버려 두었으면 하는 마음이지 않을까. 결국 받아들이는 건 자신의 몫이니 말이다. ‘몰라서 안하는 게 아니라 알지만 안 되는 거야.’ 라고 쏘아 붙이고 싶은 적 많지 않은가. 그동안 섣불리 허울 좋은 소리만 해댄 나 자신부터 반성해야겠다. 어찌되었든 사람과 사람이 갖는 관계란 참 어려운 일이다.

 

 

모든 게 다 귀찮았다. 살아 있는 것 자체가 귀찮았고, 스스로 죽는 것도 귀찮았다. 그렇다면 병원 같은 데 다닐 것 없이 암이 재발해서 죽으면 되겠지만, 솔직히 말하자면 그게 가장 두려웠다. 모순. 나는 모순된 나 자신에게 지칠 대로 지쳤다.

전혀 위화감이 느껴지지 않는 타인이란 이 세상 어디에도 없는 거야. 나는 혼자가 되어 밤길을 걸으며 나 자신에게 그렇게 자꾸 되뇌었다. 이런 일로 기가 죽어서는 안 되는 거야.

거기에서 아무런 관계도 없는 인간들과 말을 하고 싶으면 하고 하기 싫으면 말고 그냥 함께 묻혀 술을 마셨다. 그게 내가 이상으로 삼는 가게였다.

내가 디디고 선, 그야말로 단단하다고 굳게 믿어왔던 대지가 그렇게도 간단하게 무너져버릴 살얼음이었다는 건 까맣게 몰랐었다. 그러나 얼음이 깨지면서 빠져든 물밑에서 이제 나는 꼼짝없이 얼어 죽는구나 했더니, 뜻밖에도 거기에는 ‘남아도는 시간’이라는 이름의 뜨뜻미지근한 물이 가득 차있었다. 거기에 흥건히 누워서 지내는 일은 내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편안하고 아늑했다. 더구나 나는 그 밑바닥을 박차고 솟아오를 어떤 동기도, 어떤 목적도 발견할 수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