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로 산다는 것 - 가문과 왕실의 권력 사이 정치적 갈등을 감당해야 했던 운명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저자 신병주 교수님은 '차이나는 클래쓰'를 보면서 처음 알게되었는데, 방송에서 강의를 굉장히 쉽고 재미있게 해주셔서 인상이 깊었다. 이번에 '왕비로 산다는 것'을 읽으면서 찾아보니 저자와 관련된 정보를 찾아보니 '왕으로산다는것', '참모로산다는것'이라는 책이 이미 나왔고 그 시리즈의 연장선으로 '왕비로 산다는 것'을 쓰신 것 같았다.

왕비의 삶은 어땠을까? 지금까지 나라의 중심이었던 왕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보고 공부를 했었는데, 왕비에 대해서는 역사공부를 할 때 왕 이야기의 부록 느낌으로 들어본 적 외에는 제대로 안 적도 공부를 해본 적도 없었다. 그나마 내가 알고 있던 왕비는 인수대비(소혜왕후)나 문정왕후, 명성황후와 같이 인기 드라마로 알려진 왕비 세 명 뿐이었다. 왕이 살기에도 호락호락하지 않았던 왕실에서 왕비로써 산다는 것은 어떤 것이였을까. 책의 표지에 적힌 문구처럼 가문과 왕실의 권력 사이에서 정치적 갈등을 감당해야했던 그들의 삶은 과연 행복했을까.

이 책을 읽어보니 왕비들의 삶은 행복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문정왕후처럼 수렴청정을 하며 왕실을 손에 쥐락펴락했던 왕비는 유일무이했던 것 같다. 많은 왕비들이 정치적 희생양이 되거나, 후궁들로인해 왕실에서 소외되어 서러운 세월을 보내기도 했다. 실제 간택을 통해 세자빈에서 왕비, 그리고 대비까지 된 왕비는 현종의 왕비 명성왕후 김씨뿐이 유일하다고 한다.

또한 조선은 장자에 적자 중심을 내세웠지만, 실제로 장자에 적자 출신의 왕은 문종, 단종, 연산군, 인종, 현종, 숙종 6명 뿐이었다고 하니 조선 왕실의 역사 자체가 얼마나 파란만장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이 책을 통해 내가 몰랐던 조선 왕실을 많이 알게되었고 그 덕분에 조선의 역사를 더 이해하게되었다.


조선의 첫 왕비로 인정받았지만 정작 조선 건국을 함께하지 못했던 태조의 첫번째 아내 신의왕후 한씨와 조선 건국 후 최초로 왕비의 자리에 오른 신덕왕후 강씨의 이야기를 통해 왜 왕자의 난이 일어났고, 이방원이 그런 선택을 하였는지에 대해 더 이해를 하게되었다. 또한 소혜왕후가 여성들이 모범적으로 성리학 규범을 준수하게하기위해 '내훈'을 집필할만큼 성리학 정착에 신경을 썼다는 배경을 통해 인수대비(소혜왕후)가 왜 폐비윤씨를 사사하는데 관여를 하게되었는지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비록 남편인 의경세자가 세자시절 사망하여 왕비의 자리에 오른 적은 없지만 아들 성종이 왕이되면서 왕실의 어른으로써 성리학 정착을 위해 노력했는데, 손자인 연산군이 폐륜을 저지르는 것을 보고 얼마나 힘들었을까.

집권세력과의 정치적 갈등과 역사의 운명 속에서도 자신의 길을 묵묵히 걸어가며 모든 풍파를 겪어야했던 왕비들의 삶을 알게되니 그들의 삶이 참 가여웠고 안타까웠다. 아무것도 모를 나이인 10대에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부모님과 떨어져 그 모든 것들을 외로이 감당하였을 조선의 왕비들...그들의 삶을 알게되고 안타까워하는 후손들이 있다는 사실이 조금이라도 위로가 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