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작가실록 1 : 소설 - 작가로 보는 조선 고전 조선작가실록 1
박정란.서재인 지음, 유영근 그림 / 상상의집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로 보는 조선 고전

조선작가실록

1. 소설

상상의집

오랜만에 상상의 집 도서를 읽었어요.

삼국스타실록도 매우 흥미롭게 읽었는데

조선작가실록과 조선스타실록도 읽기 전부터 매우 기대가 되더라구요.

 

 

먼저

#조선작가실록

#1. 소설

초5인 아들이 너무나 재미있다고

퇴근해 들어오는 저에게 가방도 내려놓기 전 조잘조잘대더라구요.

얼마나 재미있으면 저리도 흥분했는지 ^^

 

 

두 번이나 완독했다해서

이 도서에 수록된 작가 중 '김만중'의 고전인 사씨남정기와 구운몽을 빌려다 놨어요.

간략하게 소개된 소설을 온전히 다 읽으면 좋겠다 싶어서요.

조선작가실록은 글의 성격에 따라 소설, 수필, 인문으로 나뉘어져 있어요.

첫번째 도서로 택한 조선작가실록 중 소설이에요.

고전은 가장 널리 알려져 있지만 잘 읽히지 않는 책이기도 하지요.

저도 마찬가지에요.

소설을 좋아하긴 하지만 왠지 고전은 따분하고 길고 끝까지 읽기에 너무나 어려웠던 적이 많았어요.

어른이 되어서야 고전의 가치를 알고 그 중요성을 알지만

아이들에게는 고전이 쉽지 않은것만은 분명해요.

하지만 이 도서를 통해 고전을 짧게나마 접하면서

고전이 전하려는 메시지와 더불어 고전이 탄생한 그 시기의 사회상도 엿볼 수 있었어요.

#조선작가실록 중 작가로는

김시습, 김만중, 허균,박지원이 소개되어 있어요.

김시습과 만복사저포기, 김만중과 사씨남정기, 허균과 홍길동전, 박지원과 양반전, 그리고 작가를 알 수 없는 박씨전과 흥부전까지

조선의 고전에 발을 담그게 해주는 작가와 소설의 내용이 간략하게 담겨 있어요.

 

한글을 사랑한 선비였던 김만중은 한자가 아닌 한글로

[사씨남정기]를 써냈어요.

한글소설로 '사씨가 남쪽으로 간 기록'이라는 뜻을 담고 있는 제목이며

10쪽에 걸쳐 사씨남정기의 간략한 스토리를 읽어 볼 수 있어요.

어려운 단어들은 하단에 뜻풀이를 해주고 있어서

초등학생도 읽기에 어렵지 않은 도서 같아요

 

소설의 내용이 끝나면 역사적으로 고전과 작가를 다루고 있어요.

사씨남정기는 조선 숙종때에 만들어진 소설이며 유학의 가치관을 담은 이야기로

착한 본부인 사씨와 나쁜 첩 교씨간의 갈등을 보여줌으로써,

악한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교훈을 심어 주었어요.

그런데 이 소설에 또 다른 의도가 있다고 해요.

이 소설의 작가인 김만중이 살았던 시대는 붕당 사이에 권력 다툼이 매우 심했던 시기인데 숙종이 왕위에 오를 다잇 조정은 남인과 서인으로 갈라져 있었고

과거에 급제한 김만중은 벼슬길에 오르지만 붕당 간 싸움에 휘말려 세 차례나 유배를 갔다고 하네요.

 

사씨남정기에서 지조없는 변덕쟁이 유한림은 숙종과 닮아있고

착한 사람인 사씨는 장희빈은 농간에 폐위되었다가 복위된 왕비인 인현왕후와 닮았고

교활한 교씨는 권력을 차지하려 자신의 아들을 세자로 만든 장희빈과 닮았더라구요.

중국을 배경으로 소설이 만들어졌지만 그 당시 조선상황을 날까롭게 풍자하려했던

김만중의 [사씨남정기]

 

 

소설과 작가 소개가 끝날때마다 주어지는 <아특대>코너도 재미있더라구요.

인터뷰식으로 꾸며져 있어서 음성지원이 되는 듯한 느낌~^^

가을이라 책 읽기에 너무나 좋은 계절인데

이 도서를 계기로 고전으로 독서를 확장하면 더 바랄게 없겠어요.

모두 독서하며 이 가을 만끽하시길 바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