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옆의 작은 과학 2
나카가와 히로타카 지음, 오카모토 요시로 그림, 황세정 옮김 / 상상의집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상의 집 출판사에서 나오는 '내 옆의 작은 과학'시리즈 두 번째 도서인

상상의 집

 

세탁망,잠자리채, 배드민턴채,방충망 등

다양한 모습의 망을 살펴볼 수 있는 과학그림책.

벌레가 걸려져 있는 거미줄을 보며 이 이야기는 시작이 돼요.

꽁치를 잡는 어부 아저씩의 그물도 망으로 되어 있고

작은 벌레가 들어오지 못하게 막는 방충망도 망으로 되어있지요.

 

그런데 꽁치를 잡을때의 망의 구멍 크기와

방충망의 구멍 크기는 용도에 맞게 사이즈가 서로 다르지요.

벌레는 못 들어오게 하면서 바람은 통해야 하는 방충망.

야구장의 사방을 막고 있는 망도

야구공이 통과하지 못할 만큼의 크기이지요.

양봉을 하는 아저씨가 모자와 함께 둘러싸고 있는 망.

벌에 쏘이지 않게 망의 구멍 크기도 작고

망이기 때문에 숨쉬기도 쉽고 벌도 잘 볼 수 있지요. 

베란다 벽에 달라붙은 매미를 잡으려고

급한대로 아빠가 빗자루대에 철사로 비닐봉지를 묶은 이것.

이건 망이라고 할 수가 없었어요.

비닐이라 구멍이 없어서 공기를 잔뜩먹어 매미를 잡을수가 없었네요.

망이기에 직접 안을 들춰보지 않고서도 쉽게 속의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어요.

 

배드민턴채도 망으로 되어있기에 날아오는 셔틀콕을 쉽게 확인할 수 있구요.

 

 

'망'이 영어로는 'net'임을 알려주면서

비상연락망이라는 말도 그런 이유로 생겨난 것 같아요.

                             

우리 주변에 망이 꽤 존재해 있음을 알 수 있어요.

그냥 저마다 다른 이름이어서 연관성이 없는 줄 알았는데

모두 망이라는 공통분모가 있네요.

망의 원리를 쉽게 이해 할 수 있고

아이랑 읽어가며

우리 주변의 다른 망들을 찾아보는 재미가 있는 책.

소소한 주제지만

우리 일상 곳곳에 있는 소재로 과학을 접해볼 수 있는

아기자기한 과학그림책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