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이 되면 괜찮을 줄 알았다 - 심리학, 어른의 안부를 묻다
김혜남.박종석 지음 / 포르체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마음을 정확하게 읽고 다독이는 치유의 심리학!

정신과 전문의이자 100만 독자의 마음을 위로한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의 저자 김혜남과 서울대학교 정신건강센터 전문의를 거쳐 비즈니스 현장 한복판에서 수많은 직장인들의 심리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정신과전문의 박종석의 탁월한 지식과 경험을 종합해 현대를 사는 이들이라면 누구나 겪을 수밖에 없는 마음의 고통과 아픔의 원인을 찾아 우리 자신의 마음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어른이 되면 괜찮을 줄 알았다』.

어른이라는 이름으로 살아가야 하는 우리들의 다양한 감정들, 상대방 때문에 때로는 자기 자신 때문에 마주하게 되는 일상 속 모든 고통과 아픔에 대해 내놓는 처방전으로, 아프고 불안해하느라 주어진 작은 행복조차 누리지 못하고 쓰러져 있는 사람들에게 다시 일어나 삶을 눈부시게 시작할 수 있는 위로와 희망을 전해준다. 두 저자가 진료실에서 직접 마주한 생생한 상담사례와 함께 독자들 스스로가 자신의 마음을 객관화해서 바라볼 수 있도록 돕고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을 일깨워준다.

-------------------------------------------------------------------------------------------

우울하다는것, 정신병원에 간다는건 더이상 정신병자 라느니 나약하다느니 하는 말을 들을 정도가 아닌, 현재 바쁘고 하루하루 매일매일이 달라지고 바뀌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있는 잠정적인 무언가가 아닐까 싶다.
마음속에 내재되어 있는 우울이란 감정은 누구에게나 있지만 그게 발현 되느냐 아니냐는 한끝 차이인것 같다.
마음이 아픈 마음의 병을 가지고 이러쿵 저러쿵 할수가 없는게 어느순간 나도 모르게 나도 걸릴수 있는 병이기 때문일 것이다.
감기가 걸리면 병원에 가듯 마음이 아프면 치료를 받기 위한 병원에 가는게 더이상은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취업할떄 불리하게 작용할수 있다는 걱정할일 없이 마음 놓고 병원에 다니고 치료를 받았으면 한다.
요즘 대기업 에서는 정신상담을 받을수 있도록 따로 부속병원이 있다던가 회사내에 그런 시설들을 설치하고 선생님들 두고 있는 것만 봐도 마음의 병이 얼마나 사회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사회에서도 마음의 병이 발현되지 않게 그리고 심해지지 않게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이 책에서 많은 사례를 읽으면서 많은 공감도 되었고, 이런 부분들에 있어서 조심해야 겠다는 생각도 많이 들었던것 같다.
나도 비슷한 상황인데 나도 이런 생각 가지고 있었는데 하는 사례들이 많이 있었고, 정말 아차 하는 순간 나도 깊은 우울감에 빠질수가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울증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그 우울증을 밖으로 내뱉고 분포하고 우울감이 쌓일 틈이 없게 운동을 한다거나 사람들을 만나서 이야기를 많이 한다던가 하는 방법으로 우울감이 쌓일 틈이 없게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한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회적으로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마음의 병을 책을 읽으면서 종류와 어떤 식으로 치료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그리고 많은 사례들을 대하는 선생님들의 이야기와 방법 등을 읽으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됐다.
나도 마음을 다스리고 조심해야지 싶고 또 주변에 사람들 특히 마음의 병으로 힘들어 하는 사람들에게 읽어 보라고 권해주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