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레오마가린 왕자 도난 사건
필립 스테드 지음, 에린 스테드 그림, 김경주 옮김, 마크 트웨인 원작 / arte(아르테)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들의 작가, 미국의 셰익스피어 마크 트웨인이 남긴 마지막 이야기

100년이라는 시간을 거슬러 우리 앞에 나타난 작품

폭스 영화사, 카렌 로제펠트 제작 영화화 예정!

인간들이 어쩌다 한 번만이라도 진심을 담아 이렇게 말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너희들을 알게 되어서 정말 기뻐”

“도무지 인간들은 들을 생각이 없어.

그래서 인간은 굉장히 무지하고 성장도 더디고, 외롭고도 슬픈 존재야.”

돈과 현실적인 평안이 중요한 ‘이곳’

가난하지만 우정과 진실한 친구가 중요한 ‘그곳’

미국의 셰익스피어, 마크 트웨인이 남긴 단 한 편의 동화

-------------------------------------------------------------------------------------------

또 얼마나 흥미롭고 재미있는 동화 세상이 펼쳐질까 궁금했다.
처음 내용은 약간 잭과 콩나무 같은 느낌인데 동화라 비슷 비슷 한건가 싶었지만, 읽어 갈수록 전혀 다른 방향으로 내용이 흘러 가기에 읽을수록 결말이 더욱더 궁금해졌다.
동화책 답게 많은 동물들과 상상속의 동물들이 나오기도 주인공인 소년은 동물들의 말을 알아듣고 어른들에게 통역까지 해주는 모습을 보고 순수한 아이들만이 동물들과 말이 통한다거나 혹은 요정을 본다거나 하는 이야기들이 생각 나기도 했다.
순수한 아이와 동물들의 모습을 보다가 왕과 왕자를 만나는 순간 왜 이들이 이렇게까지 거만하고 별로인지 게다가 왕이 지칭하는 거인이라는 단어가 정말 거인을 뜻하는 단어가 아닌 키가 작은 본인의 자격지심 이라는걸 안순간 더더욱 별로인 캐릭터라는 생각이 들었다.
왕과 왕자는 너무도 닮았지만 그나마 왕비는 제대로 된 사람이어서 주인공인 소년에게 용기가 충만하도록 혹은 여행길에 외롭지 않게 춥지 않게 하기 위한 목도리를 짜서 선물로 주는 모습을 보고 이렇게까지 편견없이 사람들을 대하는 모습에 신기하기까지 했다.
힘들게 찾은 왕자가 왕과 너무도 닮아 있어 행동이나 말하는것 등이 조금 별로 였지만, 그래도 결국 소년과 친구들은 본인들에게 주어진 일을 해결하게 되어서 좋았다.
가끔씩은 이런 동화같은 이야기들을 읽는게 나에게 있어서도 그리고 쉬어가는 타임으로 딱 좋다는 생각이 든다.
가끔은 잃어버린 순수성을 찾기도 하고 현실적으로 본다면 사자와 소년이 함께 여행을 떠나는 순간 여행은 끝이 나겠지만, 이렇게 동심의 세계로 아이들의 눈으로 책을 읽고 생각할수 있다는건 참 좋은 기회인것 같다.
사회에 찌들어 있고 앞으로도 더더욱 찌들어갈 나에게 단비같은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