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시끄러운 고독
보후밀 흐라발 지음, 이창실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세계의 종말을 목격하는 늙은 몽상가의 긴 명상!

현대 체코 문학의 거장 보후밀 흐라발의 장편소설 『너무 시끄러운 고독』. 저자 본인이 ‘나는 이 작품을 쓰기 위해 세상에 나왔다’고 선언할 만큼 그의 정수가 담긴 작품이며 필생의 역작이라 불릴 만한 강렬한 소설로, 많은 독자와 평단의 사랑을 받았다. 삼십오 년간 폐지 압축공으로 일해온 한탸라는 한 늙은 남자의 생애를 통해 책이 그저 종이쪼가리로 취급받게 된 냉혹한 사회에서 살아가는 한 인간의 정신 상태를 섬세한 문체로 그려내고 있다. 끊임없이 노동해야 하는 인간, 그리고 노동자를 대신하는 기계의 등장 이후 인간 삶의 방식의 변화, 인간성과 실존에 대한 고뇌 등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소설의 화자인 한탸는 어두침침하고 더러운 지하실에서 맨손으로 압축기를 다루며 끊임없이 쏟아져들어오는 폐지를 압축한다. 천장에는 뚜껑문이 있고 그곳에서는 매일 인류가 쌓은 지식과 교양이 가득 담긴 책들이 쏟아져내린다. 니체와 괴테, 실러와 횔덜린 등의 빛나는 문학작품들은 물론, 미로슬라프 루테나 카렐 엥겔뮐러가 쓴 극평들이 들어 있는 잡지들까지. 한탸의 임무는 그것들을 신속히 파쇄해서 압축하는 일이지만 그는 파괴될 운명인 폐지 더미의 매력에 이끌린다.

그는 쏟아지는 책들을 읽고 또 읽으며 ‘뜻하지 않게’ 교양을 쌓게 된다. 한탸는 마치 알코올처럼 폐지 속에 담긴 지식들을 빨아들인다. 귀한 책들은 따로 모으다보니 그의 아파트는 수톤의 책으로 가득차 있다. 여차하면 무너질 듯이 아슬아슬하게 쌓인 책들은 그의 고독한 삶에서 나름의 행복을 느끼게 해주는 유일한 즐거움이다. 마치 시시포스의 신화처럼 끊임없이 노동을 지속해나간다. 그 일을 견디려면 매일 수리터의 맥주를 마셔야 할 정도로 고되지만, 그는 삼십오 년간 그 일을 해왔으며, 퇴직하게 된다 해도 압축기를 구입해 죽는 그 순간까지도 그 일을 하기를 꿈꾼다.

-----------------------------------------------------------------------------

1장 2장 새로운 장이 시작될 때마다 시작하는 글이 비슷해서 같은 내용을 다른 글쓰는 방식으로 보여주는지 알았는데 시작 부분은 비슷하지만 새로운 장의 이야기가 시작될수록 시간이 흘러간다는걸 알 수 있었다.
종이 압축하는 일을 하지만 본인만의 감각으로 압축되어 나온 종이더미를 예쁘게 포장해서 내보내는 일에 나름의 만족감을 느끼면서 일을 하지만 더딘 작업속도 때문에 항상 혼쭐이 나는 그는 모든것이 기계화되고 더 빨라지는 세상의 속도에 맞춰 가기에는 나이가 너무 들어버렸다.
결국 그의 일은 다른 젊은이들로 교체되고 마지막에 설마설마 했지만 결국 그는 본인 나름의 본인이 제일 좋아하고 잘하는 것과의 혼연일체를 원하듯이 일을 벌인다.
그와 교체된 젊은이들도 기계화 혁명의 시대에 휩쓸려 일자리를 기계들에게 넘겨주게 되겠지
책의 제목에서처럼 읽는내내 고독스러 웠지만 그 고독이 나쁘지만은 그리고 싫지만은 않았다.
본인이 좋아하는 일에 고독스럽게 혼자서 조용히 집중하며 일을 하는 그의 모습이 왠지 짠해졌달까
수많은 종이들을 압축하며 무슨 생각을 했을지 보물찾기처럼 그 안에서 괜찮은 책들을 찾아 집에 가져다 두는 그의 마음은 어땠을지 그렇게 생각지도 못한 행운으로 우연치않게 지식들을 쌓은 그가 왜 이런 결말을 냈는지 안타까울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