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조, 서정시로 새기다 ㅣ K-포엣 시리즈
맹사성 외 지음, 고정희 외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19년 6월
평점 :

아시아 출판사의 신간 '시조, 서정시로 새기다'.
책을 받고 첫 느낌은 책이 너무 작고 예뻤다.
시조를 '서정시'로 새겼다는 책의 제목답게 서정적인 표지와 오돌토돌한 종이 질감이 잘 어울렸다.
대부분의 시집은 이렇듯 작고 얇은데, 한 손에 딱 들어오는 그 느낌이 좋다.
시조 원문과 영어 번역본이 나란히 실려있는 책으로,
한국과 영국의 두 학자가 한국의 고전 시조를 영문으로 옮기는 작업을 착수하고
몇 년 간의 진통 끝에 세상에 빛을 보게 된 책이다.
학창시절, 국어시간에 배웠던 시조를 떠올려 보면,
시조를 구성하는 가장 큰 부분이 형식이었던 것 같다.
3-4-3-4를 반복 후 마지막 행은 3-5(6/7)-4-3의 패턴.
긴 도입부에서 번역가는 이런 형식이 내재된 문학인 시조를 어떻게 번역할지
고민이 길었던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실었다.
이 책을 접할 때 내가 가장 궁금했던 부분도 '시조의 형식에 대한 재현' 부분이었다.
영어 언어의 특성상 글자 수의 패턴을 유지하기는 힘든 일이다. 이것은 한글로 옮기기도 불가능한 일이라고 생각 든다.
결국 두 학자는 시조의 율격은 파괴하는 대신, '서정시'의 부분을 좀 더 보강한 쪽으로 시를 옮기기로 했다.
책은 4개의 목차로 나눠서
1부 사대부들의 고전적인 시조/ 2부 시조 장르의 정점/ 3부 사대부들의 전원 시조/ 4부 기생과 중인 남성들의 가객 시조
로 나눠 담았다.
특히 3부는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전문을 실었다.
책에 실릴 시조를 선별한 고정희 교수는 윤선도의 어부 사시사를 시조 장르의 정점에 선 작품이라고 평했다.
그러기에 따로 한 목차를 나눠서까지 전문을 실었다고 한다.
시조에 대해 문외한이지만,
책에 실린 시조들을 보면 낯익은 작품들이 꽤 보였다.
맹사성의 강호사시가, 이황의 도산십이곡, 정철의 장진주사, 황진이의 청산리 벽계수야~.
학창 시절에 배웠던 시조들을 보니 반갑다. 몇 구절들은 익숙하지만 내용은 거의 까마득하다.
학교에서 배울 때는 시조를 현대 국어로 번역된 버전과 함께 공부했다.
그만큼 현대의 글과는 많이 달라서 곧이 이해되지 않는다.
그래서 시조의 뜻을 이해하지 못해, 영어 번역본을 보고 반대로 뜻을 유추하면서 읽었다.
영어 번역본은 주어 동사 서술어가 있는 일반 문장의 형식을 띄고 있어서 되려 해석하기가 쉬웠다.
옛 시조를 좀 더 가깝게 느낄 수 있었던 것도 있지만,
율격에 갇힌 시조를 다른 형식, 그것도 외국어로 번역할 시도 자체가 높은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시조는 대부분 사대부들이 지었는데 자연을 찬양하거나, 왕에 대한 충성심을 표현하는 시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왕에 대한 충성심을 표현한 시조도 자연에 대한 찬양의 형식을 빌렸다.
자연의 아름다움, 계절의 변화에 귀를 기울인 시조를 읽으니, 마음이 참 맑아지는 느낌이다.

책에 실린 시조의 목록들이다.

원문과 영어 번역 버전을 나란히 실어서 비교하면서 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