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둔감하게 살기로 했다 - 초조해하지 않고 나답게 사는 법
와타나베 준이치 지음, 정세영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경쟁이 치열하고 피상적인 관계들 속에서 매일을 시달리며 성공에 목마른 현대인들에게 다양한 인생 성공전략서들이 인기입니다.

또한 반대급부로 좌절와 회복, 치유에 관한 내용에 많이 관심이 가는 것도 당연하고요.

친구의 추천으로 외과의사이자 유명 작가인 와타나베 준이치의 2007년 저서 <둔감력>의 새로운 출판 <나는 둔감하게 살기로 했다>를 읽게 되었습니다.

자존감이 중요시되고 타인을 의식하기 보다는 자신에게 집중하라는 저서들이 각광받는 요즘~

기존에 읽었던 <인생에 지지않을 용기> <미움받을 용기> <나는 뻔뻔하게 살기로 했다>와 비슷한 면도 많습니다.

둔하다는 말에 일단 부정적인 의미가 먼저 떠오르는데, 긍정적인 의미의 둔감력을 이야기하는 내용이 흥미롭습니다.

자존감, 타인을 의식하지 않기라는 표현보다는 좀더 부드럽고 다소 소극적이지만 주변과 무난하게 잘 화합하는 대처로서 편안하게 느껴지네요.

저자의 삶을 통한 깨닫음을 담은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된 둔감력의 중요성이 느껴지는 주변들의 다양하지만 평범한 사례들이 공감가네요.

책머리의 나의 둔감력 체크리스트를 해보고 어느정도는 생각했었지만 예민 경보 발령 수준일줄은 몰랐는데, 책을 읽어나가며 나 자신을 되돌아 보게 하는 점이 좋았습니다.

크게 보면 둔감력의 중요성, 둔감력이 가져온 긍적적인 결과, 여성의 강함, 그리고 세상살이 모든것에 영향을 미치는 둔감력의 저력!

이렇게 요약할 있을 것 같네요.


책 전반을 정리하는 핵심은 책 말미의 

『민감하거나 날카로운 것만이 재능은 아닙니다.

사소한 일에 흔들리지 않는 둔감함이야말로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재능이죠.

예민함이나 순수함도 밑바탕에 둔감력이 있어야 비로소 진정한 재능으로 빛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입니다.


또한 첨언으로 둔감력을 기르는 것에는 부모의 영향이 절대적임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칭찬과 격려로 둔감력이 강한 아이로 길러야 겠네요. 


험난하고 다양한 환경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만능키와도 같은 둔감력!

개개인의 특성도 있겠지만,  마음가짐과 상황에 대한 대처에 달렸음을 깨닫고 세상을 좀 더 밝고 인생을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둔감력을 키워야 겠다고 다짐하게 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