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Ritournelle > * 리쾨르의 '번역론'과 리쾨르의 '주체론'

 

 

 

 

* 폴 리쾨르의 사후 1주년을 맞이하여 그의 두 권의 새로운 책들이 번역되었다. {번역론}과 {타자로서의 자기 자신}이 그것이다. 그의 {번역론}에 대한 신문기사는 중앙일보에서 다루어졌으나 {타자로서의 자기 자신}은 아직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듯 하다.

`번역론` 번역하느라 1년을 티격태격` [중앙일보]

번역학 전공 이향 박사
`번역자도 철학적 의미 고민해야`
서양철학 전공 윤성우 교수
`전문가용·대중용 다양한 버전 번역을`

철학과 번역학의 만남. 윤성우((右).한국외국어대 서양철학) 교수와 이향(한국외국어대 통역번역대학원) 박사가 만나 좋은 번역이란 무엇인가, 철학과 번역의 관계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김형수 기자

'좋은 번역'이란 무엇인가. 서양철학과 번역학을 각각 전공한 윤성우(39.한국외국어대) 교수와 이향(36.한국외국어대 통역번역대학원) 박사는 지난 1년간 이 문제를 놓고 씨름했다. 프랑스 현대철학자 폴 리쾨르의 '번역론'을 우리말로 잘 번역할 수 있는 방법을 놓고 이들은 팽팽한 샅바싸움을 벌였다. 그 결과물이 '번역론-번역에 관한 철학적 성찰'(철학과 현실사)이란 이름으로 최근 번역돼 나왔다. 1일 오전 이들을 만나 공동번역 과정에 얽힌 이야기를 들어봤다.


두 사람의 입장은 원문과 번역문 중 어디에 강조점을 둘 것인가를 놓고 갈렸다. 리쾨르 철학 전문가인 윤 교수는 원문의 형식에 충실하게 번역하자는 입장이었다. 이에 반해 이 박사는 원문의 형식을 다소 파괴하더라도 전체적 의미를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자고 맞섰다.

두 입장 가운데 어느 것이 좋은 번역의 기준이 될 것인가. 원문 한줄 한줄을 놓고 두 사람의 주장은 평행선을 그렸다고 한다. 비교적 적은 분량의 책인데도 1년이란 세월이 소요된 것은 그 때문이다.

이 향="우리처럼 조합이 된 공동 번역은 처음인 것 같아요. 공역 과정은 상대방을 설득하는 과정이었어요. 적정한 선에서 서로 양보해 번역어를 결정하는 일이 가장 어려웠어요. 철학적 개념어의 경우 철학 전공이 아닌 제가 봐도 이해할 수 있는 번역을 해야한다고 주장했어요. 개인적으론 해석학과 번역의 관계에 새롭게 눈뜨는 계기가 됐어요."

윤성우="원문에 충실할 것인가, 원문으로부터 자유로울 것인가. 무척 오래된 논쟁입니다. 어느 한 쪽으로 결론 날 가능성은 앞으로도 없다고 봅니다. 리쾨르의 책을 통해 생각하게 되는 것은 한 고전에 대해서도 다양한 번역본이 나오면 좋다는 것입니다. 번역의 우열에 대한 섣부른 판정을 내릴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공동작업을 통해 두 사람은 리쾨르가 '번역론'에서 제기한 "좋은 번역의 절대적 기준이란 없다"는 관점에 공감하게 됐다고 한다. 서로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각주가 실린 전문가용 번역과 가독성이 높은 대중용 번역이 모두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독자가 자신의 필요와 목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버전의 번역이 요청된다는 것이다.

'번역론'은 리쾨르가 90년대 후반부터 써온 글들을 모아 타계하기 1년 전인 2004년 프랑스에서 출간한 책이다. 부제는 '번역에 관한 철학적 성찰'. 리쾨르가 번역을 단순히 외국어 사이의 의사소통 수단만으로 보지 않는다는 것을 드러내는 부제다.

리쾨르는 번역을 철학의 영역으로 대폭 확장시키며 '번역=철학'이란 견해를 밝힌다. 어떤 사태와 의미에 대한 오해가 생길 수 있는 상황에선 늘 번역이 필요하다고 했다. 번역은 다른 문화와 세계관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대화를 풀어가는 철학 행위라는 것이다. 더군다나 리쾨르에 따르면 번역은 외국어 사이에서만 진행되는 것이 아니다. 모국어를 구사하는 동시대인의 문헌이나 대화를 타인에게 전달할 때도 번역 행위가 개입된다고 했다.

그렇다면 우리의 삶 자체가 곧 번역 행위라고도 말할 수 있겠는데, 이처럼 중요한 번역을 경시하는 풍조가 우리 사회에 만연된 까닭은 무엇일까.



윤성우="서양에선 20세기 초반부터 번역의 철학적 의미에 대한 논의들이 활발히 진행됐습니다. 일본의 경우 서양 근대문화를 수용할 때 번역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우리는 외국어를 주로 취직.승진 같은 실용적 측면에서 보기 때문에 번역의 철학적 의미에 관한 논의가 적은 것 같습니다."

이 향="번역과 철학을 연결시키는 일은 사실 실무 번역자들에게는 낯선 설명입니다. 번역자들은 실제 구체적 도움이 되는 것들을 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번역자들도 번역의 철학적 의미와 같은 본질적인 물음에도 소홀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이번에 깨닫게 됐습니다."



현재 또 다른 책의 공동번역을 진행하고 있는 두 사람은 논문쓰기보다 번역하기가 더 힘들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그리고 전문 번역서를 제대로 평가하는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23818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Ritournelle > * 리쾨르의 '번역론'과 리쾨르의 '주체론'

 

 

 

 

* 폴 리쾨르의 사후 1주년을 맞이하여 그의 두 권의 새로운 책들이 번역되었다. {번역론}과 {타자로서의 자기 자신}이 그것이다. 그의 {번역론}에 대한 신문기사는 중앙일보에서 다루어졌으나 {타자로서의 자기 자신}은 아직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듯 하다.

`번역론` 번역하느라 1년을 티격태격` [중앙일보]

번역학 전공 이향 박사
`번역자도 철학적 의미 고민해야`
서양철학 전공 윤성우 교수
`전문가용·대중용 다양한 버전 번역을`

철학과 번역학의 만남. 윤성우((右).한국외국어대 서양철학) 교수와 이향(한국외국어대 통역번역대학원) 박사가 만나 좋은 번역이란 무엇인가, 철학과 번역의 관계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김형수 기자

'좋은 번역'이란 무엇인가. 서양철학과 번역학을 각각 전공한 윤성우(39.한국외국어대) 교수와 이향(36.한국외국어대 통역번역대학원) 박사는 지난 1년간 이 문제를 놓고 씨름했다. 프랑스 현대철학자 폴 리쾨르의 '번역론'을 우리말로 잘 번역할 수 있는 방법을 놓고 이들은 팽팽한 샅바싸움을 벌였다. 그 결과물이 '번역론-번역에 관한 철학적 성찰'(철학과 현실사)이란 이름으로 최근 번역돼 나왔다. 1일 오전 이들을 만나 공동번역 과정에 얽힌 이야기를 들어봤다.


두 사람의 입장은 원문과 번역문 중 어디에 강조점을 둘 것인가를 놓고 갈렸다. 리쾨르 철학 전문가인 윤 교수는 원문의 형식에 충실하게 번역하자는 입장이었다. 이에 반해 이 박사는 원문의 형식을 다소 파괴하더라도 전체적 의미를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자고 맞섰다.

두 입장 가운데 어느 것이 좋은 번역의 기준이 될 것인가. 원문 한줄 한줄을 놓고 두 사람의 주장은 평행선을 그렸다고 한다. 비교적 적은 분량의 책인데도 1년이란 세월이 소요된 것은 그 때문이다.

이 향="우리처럼 조합이 된 공동 번역은 처음인 것 같아요. 공역 과정은 상대방을 설득하는 과정이었어요. 적정한 선에서 서로 양보해 번역어를 결정하는 일이 가장 어려웠어요. 철학적 개념어의 경우 철학 전공이 아닌 제가 봐도 이해할 수 있는 번역을 해야한다고 주장했어요. 개인적으론 해석학과 번역의 관계에 새롭게 눈뜨는 계기가 됐어요."

윤성우="원문에 충실할 것인가, 원문으로부터 자유로울 것인가. 무척 오래된 논쟁입니다. 어느 한 쪽으로 결론 날 가능성은 앞으로도 없다고 봅니다. 리쾨르의 책을 통해 생각하게 되는 것은 한 고전에 대해서도 다양한 번역본이 나오면 좋다는 것입니다. 번역의 우열에 대한 섣부른 판정을 내릴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공동작업을 통해 두 사람은 리쾨르가 '번역론'에서 제기한 "좋은 번역의 절대적 기준이란 없다"는 관점에 공감하게 됐다고 한다. 서로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각주가 실린 전문가용 번역과 가독성이 높은 대중용 번역이 모두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독자가 자신의 필요와 목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버전의 번역이 요청된다는 것이다.

'번역론'은 리쾨르가 90년대 후반부터 써온 글들을 모아 타계하기 1년 전인 2004년 프랑스에서 출간한 책이다. 부제는 '번역에 관한 철학적 성찰'. 리쾨르가 번역을 단순히 외국어 사이의 의사소통 수단만으로 보지 않는다는 것을 드러내는 부제다.

리쾨르는 번역을 철학의 영역으로 대폭 확장시키며 '번역=철학'이란 견해를 밝힌다. 어떤 사태와 의미에 대한 오해가 생길 수 있는 상황에선 늘 번역이 필요하다고 했다. 번역은 다른 문화와 세계관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대화를 풀어가는 철학 행위라는 것이다. 더군다나 리쾨르에 따르면 번역은 외국어 사이에서만 진행되는 것이 아니다. 모국어를 구사하는 동시대인의 문헌이나 대화를 타인에게 전달할 때도 번역 행위가 개입된다고 했다.

그렇다면 우리의 삶 자체가 곧 번역 행위라고도 말할 수 있겠는데, 이처럼 중요한 번역을 경시하는 풍조가 우리 사회에 만연된 까닭은 무엇일까.



윤성우="서양에선 20세기 초반부터 번역의 철학적 의미에 대한 논의들이 활발히 진행됐습니다. 일본의 경우 서양 근대문화를 수용할 때 번역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우리는 외국어를 주로 취직.승진 같은 실용적 측면에서 보기 때문에 번역의 철학적 의미에 관한 논의가 적은 것 같습니다."

이 향="번역과 철학을 연결시키는 일은 사실 실무 번역자들에게는 낯선 설명입니다. 번역자들은 실제 구체적 도움이 되는 것들을 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번역자들도 번역의 철학적 의미와 같은 본질적인 물음에도 소홀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이번에 깨닫게 됐습니다."



현재 또 다른 책의 공동번역을 진행하고 있는 두 사람은 논문쓰기보다 번역하기가 더 힘들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그리고 전문 번역서를 제대로 평가하는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23818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