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 물었다 - 소중한 것들을 지키고 있느냐고
아나 아란치스 지음, 민승남 옮김 / 세계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브라질 완화의료 최고 권위자가 말하는 죽음에 관한 책이다.

완화의료라는 단어가 생소하여

네이버 검색을 해봤다.


완화의료

완화의료란 질병의 개선이 아니라 질병으로 인한 고통과 증상을 완화시켜, 보다 편안하게 삶을 유지하는데 목적을 둔 의료를 말한다. 완화의료는 질병보다는 환자와 가족을 중심으로 신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영적인 부분까지를 포괄적으로 다루며 치료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어린 시절의 저자는

말초동맥 질환을 앓아 절단 수술을 두 번이나 받은 할머니를 보며

완화의료라는 단어도 없던 시기부터

완화의료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된다.

죽음을 앞에 두고

마음 돌볼 여유도 없이

극심한 고통에 시달려야 했던

할머니의 상황이 이해되지 않았고

의사가 되기를 꿈꾼다.

의대에 진학 후 환자들을 돌보며

자신이 해줄 수 있는 게 없다는 좌절과

(아직 마약성 진통제 처방에 대한 시선이 좋지 않았다)

동료들의 '아픈 환자의 모습을 견디지 못하는 의사'라는 시선에

힘든 시기를 보낸다.

본격적으로 응급실 의사로 일하면서

저자는 완화의료에 힘쓰게 된다.





죽어가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후회 중

첫 번째가 ' 다른 사람들이 내게 기대하는 삶이 아니라 나 자신에게 충실한 삶을 살지 못한 것'이라 한다.

이렇게 살아야 한다는 걸 알면서도

이런저런 관계 속에서 나로 살기를 계속 미뤄왔던 것 같다.

좀 더 나답게 살 수 있는 용기를 가질 수 있기를 바라본다

또 다른 후회는

'더 행복한 사람이 될 수도 있었는데 그러지 못했다는 반성'이다.

흔히 행복을 기쁨과 즐거움이라 생각하지만

그보다 더 완벽한 행복은

시련과 좌절을 겪으며

다시 일어서는 과정들 후에 얻어진 것이라 한다.

스스로에 대한 단단한 믿음과

삶에 대한 충만함이 한층 더 두터워지는 경험에

고난은 필수조건이며

더 단단해진 자신이 기다리고 있다는 걸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이 됐으면 좋겠다.

책의 마지막 부분이

가장 인상 깊었는데

무엇을 지키고 무엇을 잃을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다.

삶에서 얻어낸 것들을 온전히 누리며 살기 위해서는

잃는 법을 알아야 한다고..!

그게 관계든, 직업이든, ....

상실을 극복하는 것은 애도의 과정과 비슷하다고 한다.

끝을 잘 매듭지어야 시작도 할 수 있다.

잘 살기 위해 잘 잃는 법에 대해서도 고민하기를

저자는 권한다.

오랜 세월 죽음과 가까운 곳에서

죽음에 대해 생각해 온 사람이

죽음을 통해 삶을 살아내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

책을 읽는 내내

죽음을 기억하라. 메멘토 모리가 떠올랐다.

현실을 충만히 살아가게 하는 많은 요소들 중

죽음을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삶에서 정말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할 수 있는 것 같다.

삶에 대한 이유, 기준이 흔들리고

불명확할 때

좀 더 나답고 충만한 삶을 살고 싶을 때

죽음에 대해 말하고 있는 이 책을 읽어보길 추천드린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