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사 - 볼가강에서 몽골까지
피터 B. 골든 지음, 이주엽 옮김 / 책과함께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에서 배우는 역사는 크게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자국의 역사인 한국사, 서유럽과 미국 중심의 세계사 혹은 서양사, 그리고 중국과 일본 중심의 동양사다. 우리의 역사와 관련있는 나라와 지역을 중점적으로 배우다 보니 동남아시아, 인도, 중동,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동유럽 등지는 비중이 떨어지는 이른바 주변부 지역으로 전락한다. 앞서 언급한 지역들은 지리적, 문화적으로 한국이 속한 동아시아와 연관성이 떨어지기에 해당 지역의 역사가 낯선 것은 이해할 만하다. 


  그러나 한국과 그리 멀지 않은 중앙아시아는 어떤가? 중앙아시아는 지리적 인접성은 물론 한국의 역사에도 큰 영향을 미쳤던 나라들이 활동했던 지역이다. 그럼에도 우리가 정규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내용은 극히 제한적이었다. 국사를 배울 때 돌궐, 여진, 거란과 같은 북방 민족들을 빼놓을 수는 없다. 한국의 국경선은 역사적으로 변동이 자주 있지는 않았지만 지금의 압록강, 두만강을 기준으로 하는 자연 경계는 이들 유목 민족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서 비로소 형성되었다. 심지어 중국 역사에서 중원을 통일한 원과 청은 각각 몽골과 여진이라는 유목 민족을 기원으로 하는 국가다. 한국의 역사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친 원 간섭기, 원명 교체기, 명청 교체기, 조청 관계는 고려와 조선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역사의 흐름이었다. 그런데 이 나라들의 주무대였던 중앙아시아에서 일어난 일련의 사건들에 대해서는, 마치 커다란 구멍이 뚫려있는 듯하다.


  볼가강에서 몽골에 이르는 광활한 영토와 이곳에서 발생하고 소멸했던 수많은 국가들의 이야기를 이 책을 통해 접할 수 있었던 건 행운이었다. 평소 역사에 관심이 많고 가장 즐겨 읽는 분야 역시 역사책이지만 중앙아시아에 관해서만 서술한 책을 접한 건 처음이었기에 새로 알게된 내용들이 정말 많았다. 중앙아시아하면 실크로드가 으레 생각나듯, 동아시아와 중동, 유럽을 이어주던 가교 역할을 했던 중앙아시아의 역사는 한 단어로 설명하기 힘들 정도로 다층적이다. 역사적으로 하나의 지역이나 민족을 이룬 적이 없었고, 씨족, 부족, 신분, 종교가 더 두드러졌다. 특히 불교, 이슬람교, 조로아스터교, 동방 정교 등이 한데 어우러지면서 양상은 더욱 복잡해졌다.


  지금은 거의 폐기됐지만 한국어의 언어적 기원을 설명하기 위한 알타이어족과 같은 거대한 언어 개념으로 묶을 수 있는 중앙아시아는 우리 생각보다 훨씬 오래됐고, 그만큼 발전했던 곳이다. 특히 내 흥미를 끌었던 건 오아시스 정주민들과 유목 민족들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우리가 익히 아는 국가들이 출현했다는 설명이었다. 그러나 근대의 화약 무기가 이 넓은 초원 지대를 분할하는 데 큰 역할을 했고, 결국 청과 러시아라는 거대 제국 사이의 영향력에 놓이는 처지가 된다. 이번 학기 세계외교사 수업을 들으면서 19세기말 동아시아에 집중하고 있기에 책의 후반부에 있는 근대 중앙아시아 문제들에 관한 서술이 더욱 기억에 남는다. 그레이트 게임과 간도 협약 같은 다른 문제들로 관심사를 확대해서 조금 더 깊이 있는 독서를 해볼 요량이다.   



*. 책과함꼐 출판사의 서평단 활동으로 이 책을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