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빵 햄 샌드위치
찰스 부코스키 지음, 박현주 옮김 / 열린책들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아~~~나름 열심히 쓰던 글을 이렇게 한순간에 날리게 되는군...ㅜㅜ

 

큰 줄거리야 뭐 검색만 해도 바로 나온다. 이 작가는 주로 자신의 삶을 소설로 썼는데 중년기와 그 이후의 작품을 쓴 후 세번째로 쓴 책이 이 호밀빵 햄 샌드위치. 일본에서는 주먹밥, 우리에겐 양은도시락정도의 존재라는 이 제목은 그 후 하나의 상징적인 단어취급까지 받는다는데..

 

스토리는 어렵지 않고 400페이지 가량의 분량에도 챕터가 5~6페이지로 잘게 나누어져 있어 속도감이나 가독성이 나쁘지 않다. 번역도 괜찮은 것 같고.

 

1. 미국 1930년대 경제 대공황의 시기에 독일에서 이민온 가난하고 배우지 못한 부모.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겠지만 주인공의 부모는 대화를 폭력적 행동으로 밖에 못했다. 뭐 어린 주인공도 그렇게 타인의 호감을 사거나 이쁜 스타일은 아니었던 것 같지만. 우리나라도 그 시절 아버지들은 툭하면 밥상이 날라다니고 술 먹고 애들이나 부인에게 손찌검을 했던 것 같지만. 미국은 좀 느낌이 다르다. 엄마라는 존재가 자식에게 그다지 헌신적이지 않은 것도 그렇고 애들을 그놈의 가죽혁대로 때려대는 것은 정말 익숙해지지 않는다.

 

2. 작가의 삶 그대로라고 하니 그런가보다 하고 읽지만 기승전결로 이루어지는 소설이라는 형식이나 내용의 전개가 없다. 이 책보다 먼저 씌여진, 주인공의 그 후 청년기, 중년기, 장년기 인생에 대한 책이 있으니 그러려니 했지만 어떤 결말도 큰 사건도 모험이나 교훈, 눈에 띄는 성장의 계기나 상징도 없다. 미국의 그 시절을 살았던 사람들에게는 더 많은 향수와 생각을 불러일으키리라. 담담하게 행복하지는 못했던 어린 시절 미국의 상황, 가난한 동네의 사람들, 친구가 없던 상황, 청소년기부터 대상자를 자존감이나 연애로부터 멀어지게 한 피부병등. 작가의 어린 시절이 감정에 치우지지 않고 화려한 수사로 포장하지 않고 적혀있다. 어린 시절을 기억하고 담담하게 혹은 객관적으로 쓴다는 것은, 성인 이후의 시절을 반추하는 것보다 어려울 것이다. 감정적으로나 근거적으로나.

 

3. 그런데 이 작가. 자기 이야기말고는 쓸 게 없나? 글을 쓰는 사람이라면 본인을 한번 깊게 들여다보고 자각하는 시간이 필요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쓰기도 하지만..이 사람 정말 작품이 자신의 과거를 쓴 것 밖에는 없는 건가?

 

4. 작가가 잘 생기고 인기가 많은 이였다면 이 책은 토요일밤의 열기의 소설 버전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아주 빈민층도 아니면서 미국 주류도 아니고 친인적이 안전망을 잘 맺어져있지도 않은 대공황시기. 아주 미국적인, 2차 세계대전으로 미군과 쵸콜릿과 코카콜라와 롤러브레이드로 우리가 알게되기 전의 미국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5. 감동이랄 것도 모르겠고 교훈도 모르겠고 보는 동안 크게 힐링이나 카타르시스를 느낀 것도 아닌데, 나는 작가의 후속작을 읽을 것이다. 사는 것이 언제나 큰 사건이나 결말이 있는 것은 아니니까. 혹은 그 다음 이야기를 보며 이 비참한 청춘이 조금이라도 행복해지는 시간이 있길 바라며. 아니면 이 책을 보는 동안 그나마 나는 내 삶이 꽤 괜찮게 느껴지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