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은 왜 의미 있는가 - 속물 사회를 살아가는 자유인의 나침반
이한 지음 / 미지북스 / 2016년 1월
평점 :
"삶은 곧 고통이다. 단지 삶을 이어나가는 데에 너무 많은 주의와 수고가 요구된다는 것만이 아니다. 또 우리가 아무리 많은 주의와 수고를 기울이고 쏟아부어도 결국 어떤 운명적인 혹은 사회적인 불행의 일격(가난, 사고, 질병, 전쟁 등)이 우리를 쓰러뜨리게 되리라는 것만도 아니다. 이러저러한 노력과 행운 속에서 삶을 안정되게 하는 데 성공하더라도 우리에게 남겨진 것은 삶 그 자체 외에는 아무것도 없다. 모든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살펴진 건강한 삶에서 삶 그 자체를 반복하고 증식하며 길게 이어나는 것 외에 어떤 의미나 가치 혹은 목적이 있을까. 삶은 이어나가기에 수고롭지만 이어나가봐야 무의미하고 무가치한 부조리의 덩어리일 뿐이다. 종종 종교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위로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러한 주장도 참된 의미와 가치는 '삶 너머에' 있다고 다르친다는 점에서 삶 그 자체는 결국 무의미하고 무가치한 부조리의 덩어리일 뿐이다. 삶은 곧 고통의 덩어리다."(권희철,『당신의 얼굴이 되어라』 p.277)
"우리는 삶의 손아귀에 붙들려 죽음이 도착할 때까지 부조리의 소나기를 맞고 있는 중"이지만, 인생이 무의미하다고 해서, 우리가 우리의 삶을 돌보는 모든 행위들이 무의하다고 판단하는 것이 타당한 논증이라고 볼 수만은 없다. 이 회의주의 논증은 "인생이 유이미하다는 설득력 있는 논변이 없으므로 인생이 무의미하다고 추상적으로 규정한 다음 모든 개별적인 활동이 무의미하다는 결론으로 나아간다."
그러나 이 회의주의의 결론이 참이라고 치면, 그 대우명제도 참일 것이다. 그 대우명제는 다음과 같다. 모든 개별적인 활동이 무의미하지 않다면, 인생은 무의미하지 않다. 이 반대 논증을 유의미 논증이라 부른다면 이 유의미의 논증은 회의주의 논증보다 더 탄탄하다. "왜냐하면 논증은 더 확실한 것을 전제로 삼아 덜 확실한 것으로,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자료를 발판으로 삼아 접근하기 힘든 결론으로 나아갈 때 더 탄탄하기 때문이다."(p.58)
그러므로 "우리가 확실하게 접근할 수 없고 분명하게 파악할 수도 없는 인생의 총체적 규정을 근거로, 지금 확실하게 접근할 수 있고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가치를 가져오는 활동을 무의미하다고 말할 수 없다."(p.66) 우리는 우리 삶의 관찰자가 아닌 참여자이자 실천자로서 "구체적으로 경험하는, 도저히 부인할 수 없는 판단을 발판으로 인생 전체의 유의미성에 대한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삶에서 '가치'란 우리의 실천을 변경시키는 이유로서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 삶에는 가치를 부인할 수 없는 경험들이 있다. 그 경험들은 삶의 행위를 변경하는 이유의 힘을 갖는다. 인생의 전체 시간은 부분 시간의 합이다. 따라서 부분 시간을 보내기에 가치 있는 경험들이 결합되고 조합 되어, 전체 인생의 의미를 구성한다."(p.63)
어떤 가치들이 삶을 실천적인 차원에서 의미있게 만드는지는 저자의 탄탄한 논증을 따라가면 알 수 있지만, 어떤 가치가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둘 것인지 또한 저자만큼이나 각자가 '탐구'해야할 부분이다. 문제는 총체적인 부조리 속에서도 그러한 가치들을 따라 얼마나 기꺼이 순간들에 충실하며 살아가길 '의욕'하느냐는 것.
"삶은 곧 고통이다. 우리에게 주어진 한번의 삶 속에서 우리는 미처 매순간의 어떤 가능성들을 끝까지 밀어붙이지 못하고, 가능성들의 보석함은 미처 열리지 못한 채 무의미한 쓰레깃더미라는 듯 우리 곁을 스쳐간다. 그렇게 해서 우리에게는 부조리한 시간의 흐름만이 주어질 뿐이다. 그러나 우리에게 그 순간들이 다시 주어진다면 그때는 보석함을 여는 데 성공하고 거기에서 무엇인가를 찾아 꺼내볼 수도 있지 않을까? 우리 삶의 가능성들을 조금 더 밀어붙여 우리 삶을 보다 강렬한 것으로 만들 수도 있지 않을까?"(권희철,『당신의 얼굴이 되어라』 p.290~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