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메시스
필립 로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아무런 근거 없이 우리 자신을 가혹하게 심판하기도 해. 하지만 잘못된 책임감은 사람을 쇠약하게 만들 수 있다네."(p.106)

 

어떤 책임감은 중요한 일을 해내게 만들지만, 잘못된 책임감은 사람을 쇠약하게 만든다. 둘의 차이는 무엇인가.

 

"자네는 양심이 있는 사람이고 양심은 귀한 것이지만, 그것이 자네가 자네의 책임 영역을 넘어선 것에까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하게 만들기 시작한다면 그건 귀한 게 아니게 되네."(p.109)

 

자신의 책임 영역을 넘어선 양심과 책임감은 그로부터 비롯된 행위가 숭고할 지언정 거기에는 어떤 뒤틀린 구석이 있다. 공동의 문제를 홀로 떠안으려는 저 숭고한 양심 속에는 영웅적인 결단이 아닌 해석의 오만이 깃들어있다.

 

 "그는 비극을 죄로 바꾸어야만 했다. 벌어진 일에서 필연성을 찾아야만 했다. 유행병이 생겼고 그에게는 그것을 설명할 이유가 필요하다. 그는 왜냐고 물어야만 한다. 왜? 왜? 그것이 의미 없고, 우연이고, 터무니없고, 비극적이라는 말로는 만족하지 못한다. 그것이 급격히 증식하는 바이러스라는 말로는 만족하지 못한다. 대신 그는, 이 순교자는, 왜에 미친 이 사람은 필사적으로 더 깊은 원인을 찾으며, 그 왜를 하느님이나 그 자신 안에서 발견하거나, 아니면 신비하게도, 불가사의하게도, 그 둘이 무시무시하게 합쳐져 생겨난 단일한 파괴자에게서 찾는다. 그가 그의 삶을 시들게해버린 고통들을 쌓아가는 것에 내가 아무리 공감한다 해도, 그것은 어리석은 오만, 의지나 욕망의 오만이 아니라 환상적이고 유치하고 종교적인 해석의 오만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p.266)

 

자신의 삶을 집어삼킨 고통이 어떤 의미도 없는 것이라는 사실을 누가 쉽게 견딜 수 있겠는가. 소설 속 화자가 '오만'이라 말했지만 그런 해석의 힘 없이 고통을 견디기란 어려운 일이다. 그렇다하더라도 우연을 필연으로 바꾸고, 비극을 죄로 번역하는 해석이 결코 구원이 될 수는 없다.

 

"그러나 세상에서 망가진 착한 소년만큼 구원하기 힘든 사람은 없는 법이다. 그는 너무 오랫동안 혼자 자신만의 상황 감각을 키워왔기 때문에 - 또 간절하게 갖고 싶어했던 모든 것을 갖지 못하고 살아왔기 때문에- 내 힘으로는 그가 자기 삶의 끔찍한 사건을 해석하는 방식을 몰아낼 수도 없고 그와 그 사건의 관계를 바꾸어놓을 수도 없었다.(……) 버키 같은 사람의 죄책감은 남이 보기에는 터무니없지만, 사실 불가피한 것이다. 그런 사람은 구제할 수 없다. 그가 하는 어떤 일도 그가 안에 품은 이상에는 이를 수 없다. 그는 자신의 책임이 어디에서 끝나는지 절대 모른다. 그는 절대 자신의 한계를 믿지 않는데, 다른 사람들의 고통에 체념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 엄격한 선을 천성적으로 짊어지고 있어, 자신에게 어떤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 반드시 죄책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이 불구인 남편을 얻는 것을 막는 데서 가장 큰 승리감을 맛보며, 그녀를 포기함으로써 자신의 가장 깊은 욕망을 부인하는 것은 영웅적 행동이 된다."(p.273~274)

망가진 착한 소년들은 낯설지 않다. 대부분의 소년들은 개인적인 관계에서 결국 폭력성을 분출하고 말기에 그들은 전혀 복잡하지 않으며 손쉽게 분류하고 비난할 수 있다. 그러나 버키는 복잡하다. 그는 대가를 치렀다. 그는 부조리를 자신이 저지른 큰 범죄로 해석했고, 자신이 한때 소유했던 모든 것을 내놓고 인생을 망쳤다.

 

이 복잡하게 망가진 인물이 그보다 덜 복잡한 독자를 혼란스럽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