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주목 신간 작성 후 본 글에 먼댓글 남겨 주세요.

메리 셸리

<최후의 인간>

 

세계 최초의 종말문학, 이라니 급격히 궁금해진다.
메리 셸리는 여러모로 비범한 작가이구나.

 

알라딘 책소개

<프랑켄슈타인>의 작가인 메리 셸리의 또 하나의 대표작. <프랑켄슈타인>이 최초의 공상과학소설이라면,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되는 이 책 <최후의 인간>은 세계 문학사상 최초의 종말 문학이라 할 수 있다. 21세기 후반의 가상 세계에서 원인과 감염 경로도 알 수 없고, 따라서 치료법도 없는 전염병이 발생해 사람들이 하나둘 죽어나가기 시작한다. 가족과 동료를 모두 잃고 그 자신도 전염병에 걸렸다가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후, 인간이 모두 사라진 세상에 홀로 남게 된 한 남자의 이야기를 그린 이 작품은 인간 멸종 또는 지구 종말을 다루는 '종말 문학'이라는 장르를 개척했다. "우리의 본성이 가지는 불가사의한 부분"을 다루고자 이 책을 쓰게 됐다는 저자 메리 셸리는 그리스 비극과 영국 낭만주의 문학의 전통 위에 괴기소설의 요소를 결합해, 종말 앞에 선 인간의 고독과 광기를 우아하면서도 충격적이고 환상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소설로 그려냈다. 그 후 아서 C. 클라크와 스티븐 킹 등 거장들의 작품들부터 <나는 전설이다>, <눈 먼 자들의 도시>, <로드> 등 인류의 멸종과 파괴를 배경으로 하여 창작된 수많은 소설과 영화 들이 바로 이 작품에 뿌리를 두고 있다.

 

 

에밀 졸라 <나나>

 

에밀 졸라가 '나나'라는 팜파탈을 어떻게 묘사하는지, 그녀를 가지고 결국은 파멸에 이를 사회적 실험을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다!

 

알라딘 책소개

<나나>는 프랑스 소설가 에밀 졸라의 자연주의 문학론이 집대성된 '루공마카르 총서' 스무 권 중 아홉번째 작품이다. <목로주점>, <제르미날>, <인간 짐승>과 더불어 총서에서 가장 큰 대중적 성공을 거둔 4대 역작 중 하나인 <나나>는 「르 볼테르」지에 연재된 소설이다. 이 소설은 파리의 신인 여배우 '나나'가 타고난 육체적 매력으로 파리 상류사회 남자들을 유혹해 차례로 파멸시킨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졸라는 이 소설을 쓰기 위해 일 년 반 가까운 준비 기간을 가졌다. 많은 자료 조사를 했고, 당대의 인기 여배우 블랑슈 당티니, 고급 매춘부 발테스 드 라 비뉴, 가수 오르탕스 슈나이더 등을 모델로 삼아 '나나'라는 주인공을 창조했다. 이 작품에는 화류계의 생활상과 그곳에 몸담은 사람들의 방탕하고 무분별한 행동들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어 19세기 말 프랑스 사회에 엄청난 화제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밀란 쿤데라

<무의미의 축제>

 

무조건!

(그런데 이 책은 밀란 쿤데라 전집에 포함되지 않는 거냐?

나중에 개정판 내서 포함시키지 말라고!)

 

알라딘 책소개

알랭, 칼리방, 샤를, 라몽, 네 주인공을 중심으로 다양한 이야기가 촘촘히 엮여 진행되는 이 소설은, 새로이 에로티시즘의 상징이 된 여자의 배꼽에서부터 배꼽에서 태어나지 않아 성(性)이 없는 천사, 가볍고 의미 없이 떠도는 그 천사의 깃털, 그리고 스탈린과 스탈린의 농담, 그에서 파생된 인형극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사유를 이어 가며 인간과 인간 삶의 본질을 탐구한다.

 

 

 

 

 

 

파울 니종 <슈톨츠>

 

'빈센트 반 고흐' 때문에 읽고 싶어졌다.

무기력, 무관심, 권태, 의지 결여 같은 말들을 한데 모아놓은 듯한 인물인 슈톨츠와 열정의 결정체인 고흐가 어떤 화학작용을 일으킬까?

 

알라딘 책소개

파리에 거주하며 독일어로 글을 쓰는 스위스 국적의 작가 파울 니종은 우리에게는 낯설지만, 유럽권의 유수의 문학상들을 휩쓸고, '오늘날 독일어권에서 가장 위대한 작가' 또는 '현재 가장 위대한 독일어의 마술사'라고 칭송받는 작가다. 삶에 대한, 삶을 위한 동기가 없는 20대 초반의 청년 슈톨츠의 방황을 그린 이 소설은 현대 서구 염세주의에 대한 사이코그래프라고 할 수 있다.

김나지움을 졸업한 슈톨츠는 규격에 맞춘 삶이 싫어 대학 진학을 거부하지만, 마땅한 대안도 없으며, 스스로 삶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거나 능동적으로 행동하지 않으면서 무언가가 일어나기만을 바란다. 그러던 중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을 보고 생애 처음으로 열정을 느끼게 된다.
자신의 글쓰기는 자신을 찾아가는 개인주의적인 작업이라고 말하는 니종은 이 작품을 40대 중반 파리에 처음 건너가 혼자 생활하던 '고독의 시기, 깊은 혼란의 시기'에 썼다고 한다. 니종의 자전적 역사와 겹치는 슈톨츠의 인생 여정, 많은 부분 인용되는 고흐의 편지글은 이 작품이 주인공 슈톨츠만의 이야기가 아님을 보여준다. 이 작품에는 20대 중반의 그리고 40대 중반의 니종의 전기와 고흐의 전기가 함께 녹아 있다.

 

 

찰스 디킨스

<두 도시 이야기>

 

펭귄클래식 번역본과 비교해서 읽고 싶다!

 

출판사 책소개

'단행본 역사상 세상에서 가장 많이 팔린 작품'이라는 진기한 기록을 가진 찰스 디킨스 소설. 찰스 디킨스는 똘스또이, 도스또옙스끼, 버나드 쇼우, 조지 오웰 등 내로라하는 작가들로부터 '19세기 최고의 문호', '셰익스피어와 더불어 영국을 대표하는 작가'라는 찬사와 존경을 받았으며, 당대 대중으로부터도 유례없는 열렬한 인기를 누린 작가이다.

한밤중 런던에서 빠리로 건너가는 우편마차 속 한 남자가 있다. 그는 18년간 무고하게 옥살이를 하며 죽은 자처럼 지내야 했던 한 의사가 ‘되살아났다’는 소식을 듣고 빠리로 향한다. 이처럼 은밀하게 빠리로 향하는 한 남자를 따라가며 시작된 소설은 프랑스 혁명 직전의 빠리로 옮겨가며 그곳 사회를 생생하게 묘사한다. 임계점에 다다른 민중의 비참한 삶과 그에 아랑곳하지 않고 태연자약하게 사치와 폭압을 일삼는 왕실과 귀족들, 그리고 곳곳에서 부글부글 끓어오르기 시작하는 소요의 열기. 성난 파도처럼 모든 것을 파괴하고 휩쓸어버리는 광기 속에서 한 여인과 그녀를 사랑하는 두 남자의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다양한 인물들 각자의 삶이 생생하게 마주치고 얽히는 현장으로 역사의 격랑을 세세히 그려나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