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무엇이 되었든, 바우하우스의 남성 문화적 우월성에 대한 성 관념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무의식적인 복제품이 아니라 신중하고 의식적으로 구축된 것이라는 점을 상기해볼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칸딘스키의 이론을 좀 더 살펴보자. 그의 색과 형태 이론은기본적으로 대립각에 근거한다. 색채를 이원론적 특성으로 구분하는것은 지각의 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의도적인 행위라 할 수 있다.
그는 노랑과 파랑을 뜨거움/차가움, 밝음/어두움, 적극적/소극적 등의 극단을 재현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처럼 색의 성질에대한 이원론적 구분은 색을 성별과도 연관 지을 수 있게 만든다.
칸딘스키는 빨간색은 남자다운 성숙함을 가진 색(사각형의색상)이며, 노란색(삼각형의 색상)은 능동적이고 앞장서는 남성적성향을 보여주고, 푸른색(원의 색상)은 수동적이고 후퇴하는여성스러운 특성을 지녔다고 보았다. 이러한 이분법적 해석은 결국 위계질서를 만들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컨대 물이 빠지는 욕조에 수돗물을 동시에 같은 속도로 채워 가는 것처럼 인생은 스크린을 채워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이 주제이고, 스크린과 색채는 그 속성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