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점에서는 자본세의 개념이 낫습니다. 그리고 자본세는 동물, 식물, 인간 그리고 미생물(왜냐면, 보세요, 자본의 역사와 관련해서 발효와 질병은 근본적이고 중요합니다. 발효 문제를 빼고 2차 대전에 대해 무슨 말을 할 수 있겠어요!) 들 중 어떤 집단 이, 어쨌든 자본세에서의 행위자들은 최소한으로 말해도, 상황 속에 있는 식물, 동물, 인간, 미생물, 그러니까 이 모든 것들의 안팎을 가로지르는 다중적 층위의 기술들인 거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쎄, 포스트휴먼이 아니라 퇴비 compost가 되어야 하는 거 아닐까!" (둘 다 웃음) 그러니까 구호가 필요하다면 이런 게 있겠죠. "포스트휴머니즘이 아니라 퇴비다!" "끝내주는 퇴비를 만들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러니까 잉여의 죽임과 잉여의 죽음이 유례없이 퍼진 시대에 산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런 시도들은 전형적인 문제가 하나 있었습니다. 대문자의
"삶/생명Life"을 무비판적으로 긍정하는 형태가 되어버리는 것이었죠. 푸코의 유명한 선언인 "저항은 삶의 편이다."를 LSD [환각제] 알약 위에 붙이고 아무에게나 막 나눠주는 것처럼…. (둘 다 웃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H : 진짜요! 저랑 제 개, 제 친구들과 친구들의 개가 함께 게임을 하면서 같이 우리라는 무언가가 되어가는데, 이 "우리"는 대체 누구인가를 밝혀내려고 하는 거죠. 정말로, 이 "우리‘란 누구인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