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말엔 무슨 영화를 볼까?> 11월 1주

이 시대에 전화는 문명의 상징이자 소통의 도구로 확실히 자리매김 하고 있다.

소설가 신경숙씨는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를 연재하면서 다른 문명 도구들을 철저히 배제하였지만 전화만은 인간 간의 소통의 도구로 그 역할을 잘 그려내었다. 직접 마주보고 이야기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문자 하나 메일 한 통 보다 그리운 것은 역시 사람의 목소리이다. 목소리는 비단 음성 그 자체만은 아니기에 사람들은 늘 전화벨 소리에 목말라 하는 것은 아닐까.

그저 코믹드라마라고만 생각하고 보게 된 불량남녀는 서로의 전화를 끊임없이 울려댄다는 점에서 위의 소설을 생각나게 했다. 사실 소설의 제목은 최승자 시인의 '끊임없이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에서 차용한 것이다. 이 영화는 시의 원제와 썩 잘 어울린다. 그렇지만 막상 소설의 제목이 생각나니 소설의 여운이 곧 샘솟았고, 그래서 그저 웃으면서 집중하지는 못했다. 물론 이 영화와 소설은 전화가 주인공들 사이의 주요 도구로 등장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혀 다르다. 하지만 작가와 감독이 전화의 중요성을 간파했다는 점에서 나도 다시금 전화기, 그 때로는 너무 잔인한 무기가 되고, 때로는 사랑의 메신저가 되는 이중성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이 영화의 등장 인물 간의 관계 변화도는 또한 엽기적인 그녀와 내 깡패 같은 애인을 생각나게 했다. 원수 혹은 남남이 애인 사이로 변하게 된다는 설정 때문이기도 하지만, 불량남녀 엔딩 장면의 택시 호출기를 사용한 대화와 엽기적인 그녀에서 지하철 방송 마이크를 사용한 대화가 비슷한 절정을 도출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 속의 정말 영화와 같은 장면들 때문에 사람들은 숨을 죽이고 몰입하게 되는데, 이런 극적인 순간들이 이 영화의 매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서로에게 미움과 불만으로 시작된 관계가 애인으로 발전한다는 점에서 내 깡패 같은 애인을 생각나게 하였고.  

또 곰곰히 생각해 보니 세 편의 영화 남녀 구도에서 여자가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2001년 엽기적인 그녀의 등장은 여인천하 시대를 예고하고 있었는데, 그 후로 여성전성시대를 방불케 한 많은 이야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전의 순종적이고 정말 멍청하다시피까지 한 여성성에서 진화된 것은 이해하겠는데, 좀 '엽기적인' 것으로 그 변화 양상이 획일적이 되는 것은 아쉽다. 개인적으로는 최강희와 같은 '사차원' 같은 캐릭터도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각설하고, 불량남녀의 사랑 고백을 본 주위 사람들이 서로의 전화기를 꺼내 들고 그 누군가에게 전화를 하는 것처럼, 이 영화를 보고 난 후 서로의 전화기를 울려 줄 누군가에게 연락해 본다면 좋을 것 같다. 참고로 내 전화기는 바보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