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 MBC 느낌표 선정도서, 보급판
J.M 바스콘셀로스 지음, 박동원 옮김 / 동녘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릴 적, 만화가 이희재님의 그림으로 처음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를 접했었고 그 후 책으로 2번 정도 더 읽었던 것 같다. 다른 책들은 한 번 더 읽으면 재미가 반절로 줄어드는데 이 책은 읽을 때마다 눈물이 났다. TV 프로그램에서 이 책이 선정되었다길래 옛날 생각이 나서 다시 한번 읽어볼 생각으로 구입하게 됐다. 새로나온 책이어서 그런지 깔끔하고 제제처럼 귀여웠다.

어릴 적에 읽었을 때엔 그저 매를 맞는 제제가 불쌍하고 뽀르뚜가 아저씨가 죽은 게 슬퍼서 울었던 거 같은데 어른이 되어 다시 읽으니 전혀 다른 느낌으로 다가왔다. 또래보다 조숙하고 영리했지만 그만큼 더 빨리 슬픔을 알아버린 제제가 철이 드는 과정이 눈물겹다. 이 책에서 작가는 철이 든다는 걸 어린아이의 순수함을 벗어던지고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게 된다는 조금은 슬픈 일로 표현했다고 생각한다. 똑똑하지만 예민했고 늘 사랑을 받고 싶어했던 제제는 뽀르뚜가 아저씨의 사랑으로 늘 귀여운 5살로 남아있을 것 같았는데 아저씨의 죽음으로 가난한 현실로 다시 돌아오고 이제 제제만의 동물원, 카우보이, 그리고 라임 오렌지나무도 잃어버리게 된다.

이 책을 초등학생들만 읽는 책으로 알고 있는데, 성인이 된 후 읽으면 그 나름대로 감동이 있다. 어린 시절 마음 속에만 품었던 못된 생각들, 짖궂은 장난, 많은 건 모르지만 어린 내가 바라보던 세상, 하나씩 세상일을 알게 되는 과정들... 많은 걸 생각하게 만드는 책이다. 제제는 슬픔을 일찍 알았지만 그만큼 아이들의 마음을 더 많이 이해하는 어른이 되었을 거라고 생각한다. 뽀르뚜가 아저씨와 글로리아 누나가 사랑을 준 것처럼 자신도 아이들에게 사랑을 베풀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