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역사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영화는 역사다 - 한국 영화로 탐험하는 근현대사
강성률 지음 / 살림터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듯 읽히지 않는다. 자연스럽게 흡수되는 책도 아니거니와 책 제목에서 말하는 역사라는 단어가 재미보다는 실재 일어났던 사실에 주목하라고 말해주는 것 같아 공부하는 기분이 들게 만든다. 

우리나라에서 영화가 시작된 역사는 일제시대와 나란히 한다. 어느 시대나 그 시대의 사건을 다루고 있지만, 홍보를 위한 반공 혹은 순화를 위한 영화가 만들어 졌다. 반공이 국시이던 시대에 영화란 대중을 선동하고 그것에서 벗어나면 큰일이 난다는 식으로 위협해왔다. 국가와 손을 잡고 영화를 만들었다. 그에 비하면 2010년 영화는 다양한 소재들을 대상으로 카메라를 들이되고 있다.

역사는 사건의 기록이다.
영화를 보면서 사건이 일어난 것에 대해 알아야할 때가 있다. 겪어 보지 못한 시대를 한 두시간의 영화를 통해 만나는 것은 친절과 불친절일 수도 있다. 시대의 감시가 심한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영화에서 보여주지 못하고 은유적으로 보여주거나 권려과 결탁한다. 시간이 흐를수록 영화는 자유롭게 역사를 소재로 다룬다.

반공을 국시고 삼았던 이승만, 박정희 시대에는 결코 말할수 없었던 것들이 현재는 소재가 되고 만들어졌다. 해결되지 않고 있는 위안부 문제를 담은 영화, 조총련 조선학교를 다룬 우리학교 등은 다큐멘타리 영화로 고발한다. '21세기를 살고 있지만 아직도 우리는 19세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과거청산을 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가 미미하다며 안타까워한다.

영화가 사회를 반영한다.
영화자체가 사회적 산물로 대중들이 느끼고 생각하는 것들이 대중 영화속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한편으론 대중들의 욕망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표현되었는지를 반영한다. 1975년 바보들의 행진을 통해 대학사회의 문화와 낭만을, 1995년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을 통해 노동자의 고단한 삶과 생존기본권에 대한 사회를 고발한다. 1980년대 광주항쟁을 다룬 박하사탕, 오래된 정원, 꽃잎, 화려한 휴가, 그때 그사람들, 2000년대로 들어오면서 영화는 사회적 문제로 눈을 돌린다. 가족해체를 다룬 괴물, 살인의 추억, 세친구, 와이키키브라더스, 우리생애최고의 순간들이 있다. 

같은 영화를 보고도 사람마다 감동은 다르다. 영화를 보는 방법은 다양하고 반응 또한 다양해서 누군가에게 재미있는 영화가 누군가에게는 재미없는 영화가 되기도 한다. 이 책은 시대를 대변하는 영화를 통해 사회의 반영을 담은 영화들을 점검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