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cm 첫 번째 이야기 - 매일 1cm만큼 찾아오는 일상의 크리에이티브한 변화 1cm 시리즈
김은주 글, 김재연 그림 / 허밍버드 / 201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1cm 일 센티 첫 번째 이야기는  2008년 생각의나무 출판사에서 나온 "1cm"가 원제였다.

절판되었던 책이 1cm+의 인기에 힘입어 허밍버드에서 재출간되었다.

 

1cm+ 는 인생에 필요한 1cm를 찾아가는 크리에이티브한 여정을 담았다.

짧은 몇줄의 문장으로 감정의 변화와 끄덕거리는 공감을 일으킨다.

카피라이터와 아트디렉터의 만남은 신선했다.

바쁜 현대인에게 두툼하고 긴 소설의 여운을 대신해 마음을 달래주고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었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단 생각이 든다.

 




 

 

1cm는 절판된 이후 많은 사람들이 소장하고 싶어했던 책이라고 한다.

절판으로 만나지 못하는 책이기에 더욱 만나보고 싶게 만드는 책이었을 것이다.

처음 1cm 첫번째이야기가 1cm가 재출간되었다는 것을 몰랐을 때는 1cm+의 후속작이란 생각이 들었었다.

표지와 제목이 유사해서 그런 느낌이 들었던 거 같다.

 

그런데 절판된 도서가 다시 재출간된 것이란 걸 알았을 때는 예전의

2%부족함을 그대로 담았다면 더 좋았겠단 생각이 들어 아쉬움이 남았다.

분명 이 책이 먼저 등장한 책임에도 불구하고! 1cm+의 힘에 밀려 표지가 비슷하게 바뀌어버렸기 때문일까?

1cm와 1cm 첫번째 이야기, 1cm+ 모두 김은주 카피라이터의 글이다.

1cm와 1cm+의 아트디렉터는 다른 작가이다.

같은 작가의 글을 서로 다른 아트디렉터가 서로 다른 느낌으로 담는 맛을 느낄 수 있었을텐데

예전 절판된 책과는 다르게 비슷하게 바뀐 지금의 책 표지가 아쉽다.

 

분명 2008년도의 책이기에 지금과는 다르게 세련미보다는 2% 부족한 느낌으로 다가오겠지만

그 부족함이 더 끌리는 순간이다.


얼마전 무라카미 하루키의 절판된 노르웨이 숲이 절판되었다가 다시 재출간되서 너무도 그다렸었는데

예전 상하권으로 나눠진 초록과 빨강의 책이 아닌 일반적 표지의 단권으로 재출간되서 너무나도 아쉬웠던 기억이 떠오른다.

그 아쉬운 기억때문인지 절판된 책들은 조금은 부족하더라도 절판된 책 그 자체로 그대로 재출판되면 좋겠단 생각이 든다.





 

 


심한 고양이 알레르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70%의 물과 고양이"라는 말로 자신을 소개하는 저자가 무척 궁금해졌다.

거주하고 생활하는 모든 공간에서 고양이 소품들과 꼭 함께 한다는 아트디렉터.

그래서인지 책 곳곳에서 고양이 그림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요즘 웹툰만화를 통해서 고양이의 매력에 푹 빠져있기에 더욱 궁금해지는 아트디렉터였다.

 

일 센티라고 검색해보니 그녀의 블로그가 있었다.

그리고 1cm 이 책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만날 수 있었다.

재출간되면서 다시 그려진 그림들이 어떤 것인지도 알려주고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연예인 누구를 따라한 것인지도 알려준다.

보아와 정준하를 보고 그렸다는 캐릭터들을 다시 찾아보는 것도 쏠쏠한 재미를 주었다.

블로그에 소개된 비하인드 스토리를 읽다보니 이 부분들이 책의 부록부분에 실렸다면 더 좋았겠단 생각이 들었다.

절판된 책에서는 이런 느낌의 그림이었는데 어떤 부분이 왜 바뀌었는지 담아내고

1cm의 그림들이 어떻게 탄생되었는지를 알 수 있었는데 재출간된 책에서 이 부분을 담았으면

더욱 재미있고 특색있는 책으로 탄생했겠단 생각에 정말 아쉬웠다.

 

 

 

 

 

" 매일 반복된 일상에서 어떻게 하면 벗어날 수 있을까.

1cm만큼의 사랑이, 지혜가, 여유가, 위트가, 교감이, 열정이,
믿음이 좀 더 있다면 우리이 삶은 또 다른 모습으로 업그레이드된다."


1cm. 인생이 하나의 긴 자라면 누구나 1cm씩 부족한 부분이 있다.

그 1cm를 찾는 것이 곧 자신의 삶을 완성하는 것이다란 메세지를 담은 1cm 일 센티 첫 번째 이야기.

짧은 한 문장 정도의 글이지만 읽으면서 문득 문득 아 이 부분은 정말 공감간다는 말이 절로 나오게 했다.

요즘은 이런 형태의 카피라이터 책들을 많이 접해서그런지 글 자체에선 굉장히 신선하다!라는 느낌은 받지 못했다.

하지만 아트 디렉터의 작업을 담을 블로그를 찾아갔다가 책 속 일러스트를 그리면서 코끼리를 그리면서

펜 하나를 다 썼다는 이야기들이라던지 몬스터가 등장하게 된 배경들을 읽는 재미가 참 좋았다.

그러고보니 그 내용들도 이 책에 함께 담겼다면 더 좋았겠단 생각이 든다.

책만 읽을 땐 몰랐다가 작가의 블로그를 통해 비하인드 스토리를 읽고나니 재미와 흥미가 더 했기에 더욱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