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과황홀]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칼과 황홀 - 성석제의 음식 이야기
성석제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성석제의 음식이야기다. 황석영의 뒤를 잇는 이야기꾼이라는 얘기를 적잖이 들어온지라 언제가 성석제의 책을 한번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쭉 하고 있었다. 그래서 서점에 새 책이 나올 때 마다 한 번씩 뒤적여 보고는 했는데, 왠지 입에 잘 붙지가 않았다. 깊이 생각을 해 본적이 없어 딱히 이유는 모르겠지만, 황석영의 것도 그러했다. 개인적으로 치는 이야기꾼은 천명관이다. 그의 <고래>를 읽으면서 소설과는 조금 다른 의미로 이렇게 이야기를 잘하는 사람이 있구나하고 감탄했던 기억이 난다.

 

그런 과정을 거쳐 오다 이번에 성석제의 음식기행이라 할 수 있는 <칼과 황홀>을 읽게 되었다. 처음에는 앞서의 과정처럼 왠지 잘 읽히지가 않았다. 이야기꾼이라면 옛날 옛적에 하는 그 순간 그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의 귀를 쫑긋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나를 확 낚아채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몇 번을 펼치고 몇 번을 덮고 하는 사이에 점점 무슨 맛인지 알 것 같았다. 인공조미료에 중독되어 있다가 소금과 간장, 된장 등의 천연 조미료만으로 만든 음식을 먹으면 처음에는 무언가 밋밋하게 느껴지다가 그 맛에 혀가 적응될 즈음이면 몸 자체가 그 맛에 반응하는 것처럼. 성석제를 왜 이야기꾼이라고 하는지 그 이유를 조금씩 알 것 같았다.

 

이 책은 담백하지만 그 담백함 속에 다양한 맛을 느끼게 해 준다. 그래서 심심하지가 않다. 공간과 문화라는 날줄과 시간과 추억이라는 씨줄을 엮어 만들었기에 이야기가 허툰 것 없이 조밀하면서도 넓다. 음식과 지역의 이름에 얽힌 어원과 역사를 쫓다가도, MSG나 글루탐산과 같은 조미료의 화학성분을 이야기하고, 어느 순간에는 용궁반점과 펭귄반점의 대결을 이야기한다. 베를린에 체류하면서 다양한 다문화 음식들을 두루 살피고, 평범한 두부과자에 얽혀있는 진실을 이야기한다.

 

생명을 취하고 조리하는 도구인 ‘칼’로 만든 요리를 먹으며 우리는 ‘황홀’에 빠진다. 일상에 치여 무언가 허기를 채우고자 한다면 오랜 세월 기르고 거른 이 책을 먹어보라고 권해주고 싶다. 하지만 조심할 것은 분명 이 책에 나온 음식점들을 가보고 싶을 것이고, 가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나중에 이걸 먹어봐야지 하는 단순한 욕망이 지친 일상을 좀 더 힘차게 할 것이다. 책 곳곳에 있는 정훈이의 만화는 책을 읽는 동안 한 번씩 기분을 새롭게 해 준다. 그리고 책 마지막에 정리되어 있는 저자의 맛 지도와 추천 맛 집도 꽤 괜찮은 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