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을 위한 철학]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건축을 위한 철학 - 세상에 단 하나뿐인
브랑코 미트로비치 지음, 이충호 옮김 / 컬처그라퍼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엄밀하게 말하자면, 이 책은 그다지 건축과 연관성이 없어보인다. 철학에 대해 무지한 공학도의 입장에서도 그렇게 보인다. 다만 핀트를 조금 수정해서 이렇게 바라보면 어떨까. 건축이 아니라, 생각하고 사고를 '지어올리는' 과정에 대한 철학론과 역사에 대해 다룬 책.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김광현 교수는 추천사에서 이렇게 말했다. 

 

하이데거의 '짓기, 거주하기, 사고하기' 사람은 '짓지 않으면' 거주를 사고할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집을 '짓는 것'이 인간 존재에 이렇듯 중요하다. 

 다만 여기서 '집'이라는 존재를 '개념'과 '생각'으로 해석한다면 이 책은 훨씬 더 받아들이고 요리하기에 좋은 책이 된다. 조금 더 나아가 적용하자면, 건축 및 건축 이론 문제에 있어 어떠한 철학적 마음가짐으로 해석해야 할 지에 대한 소양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철학은 '다른 사람들의 견해와 무관한 믿음을 얻는 데 사용하는 합리적 논증과 이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의 견해, 즉 '사고'는 독립적일 수 있는 것일까? 

 

책 전반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에 집중한다. 즉, 사고는 언어를 바탕으로 하는 것일까? 그렇다면 언어가 현실을 조각해 우리의 사고 대상으로 빚어내는 것인가? 혹은 더 나아가, 우리는 모든 지식을 경험을 통해 습득하는가, 아니면 일부 지식은 선천적인가?  간단해보이지만 이는 철학자들 사이에서는 매우 오래된 중요한 문제이다. 

 

이렇듯, 어떻게 사고가 유래하며, 우리가 사고를 지어올리는 과정에 대한 질문은 건축에 있어서 비슷한 맥락으로 전해진다. 건축 이론에서 존재론적 문제는 '건축 작품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건축 작품에는 미와 같은 어떤 속성들이 있을 터인데, 그런 것들은 과연 무엇일까?

 

논의는 중반부를 지나면서 '개념'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어진다. 우리가 생각함에 있어서 어떤 '개념'을 포섭하여 대상을 해석하는가? 라는 질문으로 대표되는 이 문제는 칸트에 의해 조명된다. 예를 들면 우리는 어떤 것을 지각하면서 그것이 초록색이고 의자임을 인식한다. 다시 말해, 그 대상을 초록색이라는 개념과 의자라는 개념에 포섭하는 것이다. 하지만 칸트의 견해에 따르면, 미는 개인이 아름답다고 판단하는 사물과 연관 지을 수 있는 어떤 개념과도 독립적이다. 따라서 그의 의견에 다르면, 개념은 사물의 미에 아무 기여도 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미의 판단은 순전히 어디서 유래하는 것인가? 칸트는 순전히 주관적이라고 보았다. 더 나아가, 하이데거는 사물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사전에 가지고 있던 이해에 의해 '항상 미리'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의 견해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의 언어 속에 '거주'한다. 노르베르크-슐츠는 그의 저서 '건축에서의 의도'에서 건축 작품의 지각은 우리가 지각하는 사물에 대해 가진 기존의 지식과 분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사고와 생각의 근원에 대한 철학의 흐름에 따라 모든 건축 역시 순전히 그 자체의 시공간적 성질만을 바탕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고 여겨져왔다. 즉, 건축이 그 시대에 적합한지를 판별할 기준이 필요한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앞으로 10~20년 사이에 건축 이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철학은 어떤 종류가 될 지 기대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9mon 2013-04-28 0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a9mon 2013-04-28 0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지막 문구를 빼먹었네요!ㅠㅠ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