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과 교토의 1만 년 - 교토를 통해 본 한일 관계사
정재정 지음 / 을유문화사 / 2016년 8월
평점 :
일본에서 우리나라의 경주와 비슷한 위치인 천년 고도라 불리는 교토와 이 도시에 얽힌 역사를 알게 되다면 언젠가 한번은 일본을 여행할 때 도움이 될 것이라는 단순한 생각에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물론, 위안부 문제 등 많은 갈등이슈가 제대로 해결되지 않는 상황에서 한일관계사를 읽다보면 처음 책을 집었을 때 어떤 생각을 가졌던, 임진왜란부터 시작된 일본의 우리나라의 수탈에 대해서와, 현재까지 호위호식하고 우리나라에서 권력을 유지하는 친일파 문제, 그리고 위안부 문제 등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한국인으로서 당연하다고 생각되고, 여러 이유로 이 책은 불편한 감정 없이는 읽기 힘든 것 같다.
사드나 위안부의 문제가 중국에 대비하기 위한 미국의 요구에 의한 것이라는 것은 어느 정도 알려져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왜 미국을 비롯한 서방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민족 감정같은 것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우리나라를 침략한 일본과 우리를 묶어서 생각하는 것에 대한 의구심이 예전부터 있었는데, 이 책에 실린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글을 통해 이에 대한 서구인들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것 같은데, 그는 한국과 일본을 ‘유년기를 함께 보낸 쌍둥이 현제’로 비유했다. 우리나 일본사람이나 모두 이야기에 몸서리를 치면서 부정할 것 같긴 하지만, 두 나라만큼 서로 문화적 영향을 준 나라가 세계역사에서 그리 많지 않은 것도 사실인 듯하다.
천년고도라는 표현을 했지만 화재 등으로 고대 유적 등은 남아있는 것이 없고, 현재 남아 있는 유적들은 조선을 침범한 토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개발이 시작되었다고 보면 될 듯하다. 임진왜란과 관련하여 우리가슴을 가장 막막하게 하는 것은 정유재란 이후 일본군의 공적 확인을 위해 학살하고 베어온 조선 양민의 코와 귀를 묻은 무덤인 이총이다. 저자도 지적하였지만,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쌍방간의 대립이나 충돌이 원인이 아닌) 일방적인 침략과 학살의 증거를 번화한 대로변에 산더미처럼 묻어놓고 자랑하는 일본인들의 역사 인식이나 사고방식은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할 수 없는 듯하다.
교토에는 메이지유신의 상징인 메이지 천황의 무덤도 있다. 우리와는 30~40년 정도 서양문물에 대한 개방하는 시점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한 나라는 보잘 것 없는 동양의 한 군주국에서 열강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근대제국으로 성장하고, 한 나라는 몇 번에 걸친 개혁의 기회를 놓치고 5백년 사직을 지키지 못했는데, 이 책에서는 메이지천황이 상당한 역할을 한 것으로 소개하였다. 한국인의 입장에서 그를 침략자로 단정하고 비난만 할 것이 아니라, 세계열강의 틈바구니 속에서 조선왕조와는 다른 선택을 한 그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2016년을 사는 우리에게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이 외에도, 윤동주 시인이나 정지용 시인의 한글 시비가 이들이 공부한 교토에 소재한 도시샤대학 구내에 있는데, ‘윤동주 시비 건립 취지서’를 보면 이성적이고 양심적인 일본인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데, 그 뭉클한 내용을 소개하면서 글을 마치고자 한다.
전쟁과 침략이라고 하는, 입에 담기조차 무서운 말이, 성전 혹은 협화라는 이름으로 미화되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무고한 사람들을 죽음으로 내몰았고, 빛나는 미래를 꿈꾸고 있던 수많은 청년들의 귀중한 생명을 앗아 갔습니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하고 읊었던 시인 윤동주도 그 가운데 한 사람이었습니다. 시인이 공부했던 도시샤의 설립자 나지마 조는 "양심이 전신에 충만한 대장부들이 궐기할"것을 말했습니다만, 시인의 생전 모습이 바로 그러했습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라고 하면서 양심이 명령하는 바에 따라 그는 살았습니다. 그 치열한 삶의 모습을 우리는 흉내조차 낼 수 없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못을 부끄러워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잘못을 반복하는 어리석음을 저지르지 않는, 혹은 저지르지 않게 하기"위해서라도, 시인의 말을 가슴에 새기고 싶은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