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야행 1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 태동출판사 / 200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히가시노 게이고의 열혈 독자를 자부함에도 불구, 그의 대표작이라는 <백야행>은 쉽게 인연이 닿지 않았다. 보고싶을 땐 책을 구하지 못했고, 한번은 구했다가 끝까지 못읽고? 덮은 기억이 난다. 하지만, 영화<백야행> 소식이 들리고, 주연이 한석규-고수-손예진 라인이라니, (너무 맘에 들잖아!) 어떤 이야기인가 궁금증을 참지 못하고, <백야행>을 다시 열었다.
19년전의 사건으로부터 시작한다. 사사가키 쥰조라는 형사의 시점에서 시작되는 이야기는 중반까지도 누가 주인공인지 알 수 없도록 사건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주인공이 서서히 물밑에서 떠오르는 기분이랄까. 많은 사람의 목소리와 시점에서 이야기가 쏟아져 나오는 가운데, 독자는 그 모든 이야기가 가리하라 료지 혹은 니시모토 유키오와 관계되어 있는 것을 "발견한다" 그때의 전율이라니. 그 두 사람은 19년의 사건과 관계된 인물 둘이다. 료지는 19년전 살해된 기리하라 요스케의 아들이고, 유키오는 요스케의 정부로 추측되었던 후미요의 딸이다.
이야기보다 나를 매료시킨 것은, 이야기의 구성이다. 히가시노 게이고는 이런 식이다. A와 B가 관계된 사건이 있다고 치자. 그렇다면 A가 B를 이야기해서 그 관계성을 직접 드러내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A가 C를 언급하고, C가 자신의 이야기를 서술하는데에 B가 연류된 방식이다. 맙소사. 마치 막다른 길에서 예상치못한 적수를 만난 듯한 기분! 이야기 골목골목마다 놀라운 인물과 사건, 단서들이 독자를 이야기 속으로 빨아들인다. (일본어 이름이 많이 나와 헷갈리지만... 뭐 그정도 쯤은 감수할 수 있다!)
히가시노는 원래 구성을 잘 이용하는 작가다. (<악의>나 <회랑정 살인사건>에서의 충격을 떠올려보라!) 그는 구성 자체만으로도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특히 <백야행>은 위에서 언급한 구성이, 주인공 두 사람의 관계를 드러내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 마치 태양처럼 고고하게 빛나(보이)는 여자 유키오. 어두운 곳에서 그 태양 주변을 늘 맴도는 검은 위성 료지. 이 두 사람은 소설 속에서 단 한번도 만나지 않는다. 하지만 시종일관 이어져있다. 그것은 때론 인물로, 때론 사건이나 소품(RK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야기 구성 역시 두 사람의 관계를 직접 언급하는 거의 없지만, 독자는 후반부로 갈수록 점점 짙어지는 두 사람의 인연의 자국을 발견하게 된다.
"이상한 러브 스토리. 그러나 세상에는 이런 사랑도 있다."
이 책의 타이틀이다. 두 사람은 만나지도 않는데, 이게 어떻게 러브 스토리냐며 투덜거렸지만, 마지막 장을 넘겼을 때 남는 그 긴 여운이란. 어떻게 이런 사랑이 있을까 싶은 안타까움. 이해할 수 없을것만 같지만 그럴 수는 있을 것 같은 마음.
19년 전, 한사람의 욕망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상처받고 아프게 했나. (이건 결코 소설속의 이야기만은 아닐 것이다..) 료지와 유키오의 삶도 안쓰러웠지만, 그 둘에게서 뻗어나간 여러 인연장의 인물들을 생각하니 안타까웠다. 료지와 유키오 주변의 좋은 동료들. 사랑들. 좀 더 그들에게 사랑을 줄 수 있었던 그 사람들에게 료지와 유키오는 그저 상처를 주고 받는 것으로 일관할 뿐이었다. 그럴 수 밖에 없었지만, 그랬기 때문에 또 안타까웠다.
히가시노는 공대 출신 아니랄까봐 현란한 컴퓨터 지식 및 공학적 지식을 마음껏 뽐낸다. 그런 천재성을 매번 히가시노의 소설 속 악인들이 물려받는다. 그들은 대게 공학,수학 천재들이다. (용의자 X의 헌신, 레몬...) 그래서 늘, 저 똑똑한 머리를 좋은데 썼으면 쯧쯧, 싶게 만드는데 이 작품에서 료지 역시. 하지만 그들 앞에 놓인 비극을 상상하면 (비록 소설이지만) 정말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마음이 먹먹해진다.
P.S 책을 읽고 드라마도 챙겨보고 싶었는데, 영상으로 만나는 <백야행>의 후폭풍이 두려워(ㄷㄷㄷ) 감히 도전을 못하겠다. 어둠 속을 걷는 고수와 손예진. 그리고 그들을 추적하는 한석규! 어서 만나보고 싶다. 아마 이야기는 중간이 생략되고 처음과 끝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추측해본다. 거기다가 인디 영화계의 히어로(!) 임지규군이 (역시) 도모히코로 출연한다는 소식! 미성숙된 소년, 용기는 없지만, 의리는 있는 도모히코! 정말 적역이다. 다카미야 마코토 역의 박성웅 배우도 맘에 든다. 부디 <백야행>의 아득하고 먹먹한 매력을 잘 살린 영화를 만날 수 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