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예술 주목 신간 작성 후 본 글에 먼댓글 남겨 주세요.

 

다시 쓰는 맑스주의 사상사 - 맑스에서 지젝까지, 오늘의 관점으로 다시 읽는 맑스주의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지은이) | 오월의봄 | 2013-04-10

 

지젝, 고진, 벤야민. 언제 저 영역에 손을 댈 수 있을까하며 주시하는 대상들이다. 이들과 직구로 승부하고 싶지만 적어도 타자에 대한 데이터는 간단히라도 알아가는게 투수의 의무 아니겠는가.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친절한 코치님이 될 것 같다.   

갓 대학을 입학했을 때는 맑스는 그저 하나의 책이었던 것 같다. <자본론>은 "추천고전 100"과 같은 목록에 항상 들어갔으니 말이다. 이것 좀 읽으면 책 좀 읽었구나라는 소리를 기대할 수 있는. 하지만 일을 하게 되면서, '이러니까 맑스를 읽지'하는 말이 나왔고, 일을 그만두고 다시 공부를 시작한 요즘에는, '맑스를 알아야 내가 어디에 발디디고 사는지 알겠구나'라는 생각을 한다. 내가 어디에 사는지도 모르면서 살았구나라는 생각과 함께. 맑스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은 너무나 자명하고 그를 오늘의 관점으로 다시 읽는 작업은 더더욱 절실해 보인다.  

 

 

 

성, 전쟁 그리고 핵폭탄 - 경제학으로 보는 전쟁의 역사

유르겐 브라우어 | 후버트 판 투일 (지은이) | 채인택 (옮긴이) | 황소자리 | 2013-04-25

 

며칠 전, 칼 폴라니의 <거대한 전환>을 소개한 간단한 글을 읽었다. 파시즘을 시장자본주의와 연결시키는 대목에서, 내가 읽은 것이 소개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전환>에 매혹되었다. 전쟁을 국제체제에서의 권력관계를 중심으로 생각했던 나에게, 곁다리로 존재하던 경제라는 원인을 보다 더 중요한 전쟁의 원인으로 생각하게끔 만들었다.

물론 이 책은 전쟁의 다양한 원인 중 경제적 원인을 부각시키려는 책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현대경제학의 경제원칙에 따라 전쟁을 재해석해보려는 시도인 듯 싶다. 전쟁을 경제학으로 분석해 낸다는 건 어떤 식일까? 우선 그걸 이해하고 적응하는 것이 이 책의 첫번째 고지이겠으나 도전해보고 싶다. 왠지 전쟁을 가장 정확하게 바라보는 건 역사학도 정치학도 아닌 경제학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노동자의 변호사들 - 대한민국을 뒤흔든 노동사건 10장면

오준호 | 민주노총 법률원 (지은이) | 최규석 | 미지북스 | 2013-04-10

 

내가 일을 할 때도 나는 내가 노동자라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냥 돈 벌려고 잠깐 일하는, 노동자로서의 의식을 요구하지 않았던 상황때문 아니었을까 싶다. 그리고 참 설기도 했다. '노동'이라는 단어가. 단순한 사전적 정의 이상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이 점철되어 있는 그 단어는 매우 조심스러운 것이었다. 그런데 얼마 전, 노동절을 맞아 연재된 한 특집기사에서 '노동이 삶의 영역'이라는 말이 굉장히 인상깊게 다가왔다. 사람은 평생 일하며 산다. 그 행위에 대해 심각하고 진지한 고찰이 없다는 것 자체가 이상한 일이다. 오히려 이런 과정이 보편적이지 않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정치적 문제라는 것이 불현듯 머리를 스쳤다. 그래서 그저 시사이슈로만 다가왔던 노동사건들을 이러한 관점에서 다시 한 번 보고 싶어졌다. 다양한 관점이 교차하는 지점이 노동이라는 것은 잠시 뒤로 하고, 노동을 노동으로서만 보는 것 말이다.

 

 

 

 의식과 본질

이즈쓰 도시히코 (지은이) | 박석 (옮긴이) | 위즈덤하우스 | 2013-04-08

 

며칠 전, 강유원의 <인문 고전 강의>를 읽었다. 고전이라는 이름 하에 배치된 것은 "논어"를 제외하며 모두가 서양의 고전이었다. 저자 또한 불균형하다는 것을 언급하면서도, 고전이 동서양을 막론하고 근본적인 차원에서는 마찬가지라고 했다. 한편으론 그런가보다 싶다가도 사상의 내용이 역사적 사건들과 함께 언급되는 것을 보면서, 서양사상이 내가 응당 진리처럼 깔고 들어갔던, 하늘에서 뚝 떨어진 대전제 같은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 것이라는 점을 좀 더 분명히 인식하게 되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동양이라는 땅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상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라는 질문을 갖게 되었다. <인문 고전 강의>를 읽으면서도 서양사상과 한국의 정서가 충돌되는 지점을 드문드문 목격했기 때문에 한국 혹은 동양의 정서나 철학을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그것'은 무엇인지 궁금해진다. 전체적인 흐름이나 통일성이 없다는 동양철학을 일본 역사상 전무후무한 천재라고 불리는 이 저자가 어떻게 꿰뚫고 나갔을 지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