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의 발견 - 공자에게 길을 묻다 뉴아카이브 총서 5
장주식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논어의 발견

 

많은 사람들이 '논어'라 하면 아직까지도 공자가 쓴 책이라고 알고 있거나... 무슨책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

나도 전자에 속해서 논어를 공자가 집필한 책으로 알고 있었다.

논어는 공자가 사망한뒤 제자들이 그동안의 공자의 어록을 가지고 만들어진 주관적인 책이라고 할수있다고 한다.

논어에 관한 책도 수없이 많이 편찬되어진것으로 알고있다.

한자의 특성상 한글자 한글자에도 여러가지 의미가 함축되어 있고 뜻을 가지고 있는 문자이기 때문에 어떤사람이 어떤 각도로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의미가 매우 크게 달라진다고 한다.

그래서 여러가지 논어책에서 약간씩 뜻을 다르게 해석하는 경우가 많이 나오는것 같다.

공자는 우리의 국사책에서 많이 나오는 유학의 시조이다...그때문인지 우리 주변 애덜은 공자하면 도덕, 예의, 충, 효와 같은 단어들이 머리속으로 막 떠오를것이다.. 나도 공자하면 '삼강오륜'이 제일 먼저 머릿속에 떠올랐으니..

이책에서는 논어 20편을 다 해석한 책이 아니다..

논어의 내용을 여러가지 분야(?)로 나누어서 내용을 설명한 책이다... 아마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만 발췌해서 해석한것 같다.

구성은 총 7개의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마당은 살아가는 즐거움, 배우는 재미 '호학'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자는 여기서 남을 위해 배우지 말고 나를 위한 배움의 즐거움을 강조한다.

나를 위한 배움이란, 내가 배우는 즐거움이 있어야 하며 나의 내면을 풍족하게 살찌울수 있다고 말한다.

나도 '호학' 즉 배우는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매우 재미있게 읽었다.

특히 안회는 평생 가난하게 살았지만 배우는 즐거움에 근심과 걱정을 즐기면서 공부했다고 한다.. 정말 보통 사람이라면(나라도) 하지 못할 정말 대단한분이다.

둘째 마당은 고르면 가난이 없다. 균무빈의 세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자는 고르게 하면 가난이 없다고 했다. 재물을 고르게 갖게 한다면 빈부 때문에 상대적 박탈감을 줄일수 있고 모두가 행복해지는 보편적 복지를 주장하였다. "나누면 가난이 없다"라고 강조하지만 솔직히 균무빈의 세계는 조금 어렵다고 느껴졌다.

셋째 마당은 따뜻한 방석에 앉은 사람, 인자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자는 인이라는 것이 사람살이에서 가장 귀하게 여겼던 경지이면서 인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한적이 없다고 한다.

우리는 대게 사람들이 따뜻하거나 자상할때 인자하신분이라고 생각한다.

공자가 생각하는 인은 '논어'에서 공자가 하는 말을 가지고 인이 무엇인지 짐작을 하게 만든다.

넷째 마당은 말할 수 없는 것에 침묵하라며 언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자는 "말이란, 뜻이 통하면 그만이다" 라고 말한다.

전달하고자 하는 뜻이 통하면 되는데 화려하게 말을 꾸미지 말고 말의 내면을 보라고 강조한다.

또 "군자는 말은 어눌하고자 하고, 행동은 민첩하고자 한다" 라고 말하며 말보다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난 이 말이 너무 좋아서... 외어두었다가 회사에서 동료들에게 사용했는데 사람들은 웃기만 했다...

아무래도 요즘 시대에 군자라는 단어 선택이 재미있었던 모양이다...

다섯째 마당은 어찌 공중에 매달린 뒤웅박이랴, 벗을 사귐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자가 말한 벗에 대한 이야기중에 가장 마음에 닿는 구절이 있다.

다른사람들이 내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 시키지 말라는 뜻인 "내가 하고자 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말라" 였다.

친구사이를 지탱해주는 여러 요소중에 배려심이 정말 크다고 할수있다.

내가 하기 싫은것을 자꾸 친구가 시킨다면 정말 그 사이도 오래가지 못할것이다.

여섯째 마당은 종이 한 장 차이 또는 추호의 차이, 군자와 소인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부분에서 해석의 차이는 있겠지만 재미있는 부분이 있었다.

벗을 사귐에 대해서 설명할때 공자는 이익이 되는 벗과 손해가 되는 벗이 세명이 있다고 설명했다. (물론 바로 뒤에서 공자의 사귐에 대한 참뜻은 따로 있다고 설명하지만) 사람을 가려서 사귀라는 뜻으로 해석 될수도 있는데 여섯째 마당에서 "군자는 두루두루 사귀고 패거리를 짓지 않는다"라고 설명한다. 약간의 모순이 발생되는 것이다.

다시 본론으로 들어가면 공자는 군자에서 대해서는 여러가지 정의를 내린다. '의로움'을 바탕으로 예에 맞게 행동하며 가슴에 '덕'을 품고 너그럽고 태연하며 교만하지 않다 등 이 있다...물론 나는 위에서 말한 "군자는 말은 어눌하고자 하고, 행동은 민첩하고자 한다" 가 가슴에 가장 크게 와닿지만 말이다..

일곱째 마당은 믿음과 편안함과 품어주기, 제자들과 함께 가는 삶에 대해서 설명한다... (해석한다가 맞을수도 있다)

공자와 함께 했던 여러 제자들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다.

'호학'에서 나왔던 가난하지만 인자의 풍모를 잃지 않았던 안연(안회), 개인적으로 이책을 읽으면서 제자들중에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가 된 자로...(정치에 능력이 있다고 하고 용맹하다라고 하지만 좀 뭔가 부족한것같고 단순한것 같아서 정감이 간다)

언변이 뛰어나고 재물을 늘리는데 뛰어난 자공...(공자의 시묘살이를 다른 제자들이 3년을 하였지만 6년을 하면서 공자의 묘를 지킨 자공..)

나머지 재아, 염유등이 나오지만 비중이 높지 않았다...

이책을 읽다보면 어떤 구절들은 매우 자주 나온다... 읽으면서도 '어~ 이거 본 문장인데' 하면서 보게 된다..

아무래도 강조를 하기 위해서 나오는것 같다.

어려운 한문책인 논어를 재미있게 읽었다...

이책을 읽었다고 논어를 다 읽었다고 할수는 없지만 그래도 논어의 핵심에 대해서는 많은 배움이 있었던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