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로마 신화 3 : 헤파이스토스 아테나 포세이돈 헤스티아 - 정재승 추천, 뇌과학을 중심으로 인간을 이해하는 12가지 키워드로 신화읽기 그리스·로마 신화 3
메네라오스 스테파니데스 지음, 정재승 추천 / 파랑새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로마 신화는 다양한 매체로 탄생하여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열광하게 만드는 이야기 소재입니다. 완벽할 것이라 생각한 신들은 인간의 모습과 닮은 듯하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신의 능력을 발휘하며 물, 불, 바람을 지배하곤 하죠. 여러 신화의 이야기들이 있지만 파랑새 출판사에서 출간된 그리스·로마 신화는 키워드를 제시하고 신화 속 신들의 행동, 심리를 통해 인간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접근이 무척 흥미로웠습니다.

개인적으로 집사부일체보다 뇌과학자로 익숙한 정재승 교수님이 추천하신 책이라니 더욱더 기대가 되었고 나머지 책들도 벌써부터 출간이 기다려집니다.

<차례>

추천의 글

헤파이스토스

아레스

아테나

포세이돈

헤스티아

3권의 목차를 보고 1권의 목차를 찾아보았습니다. 1권은 세상의 탄생과 제우스, 헤라, 아프로디테인데요. 키워드는 <권력>이었습니다. 제가 읽어본 3권의 소개를 읽고 이 시리즈를 보실 분들은 1권부터 보시면 매끄럽게 연결시켜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명한 자는 영혼을 다스리고, 어리석은 자는 영혼의 지배를 받으리라.

갈등이 다툼으로 번지는 이유는 인간 내면에 자리 잡은 심리 때문이라고 합니다. 바로 '은혜는 은혜로, 원한은 원한으로'라는 라틴 격언이 그 의미를 대변해 주고 있는데요. 신들도 자신의 힘을 과시하며 끊임없이 전쟁을 일으키고 결국 영혼의 지배를 받아 스스로를 무너뜨린 아레스부터 자신의 능력을 조절하여 힘을 쓸 때와 자비를 베풀 때를 아는 아테나 이야기까지 읽다 보면 왜 영혼을 다스리는 자가 현명하다고 하는지 어렵지 않게 깨닫게 됩니다. 물론, 영원히 깨닫지 못하기 때문에 전쟁이 일어나고 스스로 파멸에 닿는 경우도 있겠죠.


3권은 헤라가 제우스와 결혼해 하늘의 여왕이 되어 첫아이를 가진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곧 태어날 아기에 대한 기대를 하던 헤라는 자기가 낳은 아이가 다리를 절고 못생긴 아이라며 하늘에서 던져 버립니다. 세상에! 너무나 끔찍한 이야기로 시작되었지만 이 아이는 바다의 여신들이 정성껏 돌보며 어른이 됩니다. 그 아이는 바다에서 자랐지만 물의 정반대인 불의 신 헤파이스토스가 됩니다. 그리고 가장 인간에 가까운 모습으로 자신을 버린 어머니 헤라에 대한 원한이 용서로 바뀌는 부분에서 저는 안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에 삽입된 그림들은 조각상처럼 표현한 신들의 모습과 단순한 의상, 디테일한 표정이 더해져 신화를 읽으며 그림을 보고 그림을 보면서 글을 다시 읽게 만들었습니다.





3권에 등장한 신들의 이야기는 갈등이 주제라서 그런지 자식을 버린 헤라의 이야기를 비롯하여 헤라에게 황금 왕좌와 어떤 신도 끊을 수 없는 투명 사슬을 선물했던 헤파이스토스, 헤파이스토스의 아내 아프로디테를 유혹했던 아레스, 한눈에 반한 암피트리테를 끝까지 찾아내 아내로 삼은 포세이돈.

신들은 끊임없이 다투며 비극의 종말을 맞이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책의 표지를 장식한 아테나는 달랐습니다. 손에 든 것이 무엇인가 했는데 바로 베를 짜는 아테나의 모습이었습니다. 아테나는 권력을 내세워 싸우는 인간들을 위해 조각, 건축, 그림을 가르치고 사람들은 그것을 아테나의 예술이라 부르며 오랜 시간 발전시켜왔습니다.





그리스 로마신화 3권에서 가장 아름다운 그림을 뽑으라면 전 바로 이 그림을 선택하겠습니다. 이 그림 속 주인공은 포세이돈과 암피트리테. 하지만 아름다운 그림과는 다르게 포세이돈은 암피트리테에게 첫눈에 반한 나머지 몰래 숨어있던 암피트리테를 데려와 아내로 삼았다고 합니다.

6학년 아이에게 인상 깊은 이야기를 물어보니, 신화 이야기들이라 이해가 잘 안되긴 했지만 재밌어요.라고 무미건조한 평을 합니다. 어쩌면 단순히 '재미'있는 신에 대한 질문보다 어리석은 선택을 했던 신은 누구이며, 갈등없는 선택을 했다면 인간은 예술을 발전시키며 진화할 수 있었을까에 대한 토론을 해야 하는 책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책의 작가님이신 메데라오스 스테파니데스를 찾아보니 1923년생으로 생존해 계신다고 하네요. 그리스 신화에 대해 오랜 기간 연구하여 출간된 책을 2022년을 살고 있는 우리가 함께 볼 수 있다니, 우리는 참 운이 좋습니다.



*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