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탄력성]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김주환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살아가는데 필요한 자세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단연코 빠질 수 없는 것은 아마도 대인관계능력일 것이다. 특히 사회가 점점 더 소셜 네트워크를 중요시하는 현대에는 그 능력의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이다. 이 책은 '회복탄력성'이라는 낯선, 그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단어에서 시작한다. 회복탄력성이라고 하면 상처에서 얼마나 빨리 회복될 수 있는지, 그 탄력성 정도를 말하는게 아닐까 예측했었는데 실제로도 그런 뜻으로 저자는(그리고 심리학계에서는) 그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회복탄력성이 무엇인지 대충은 감이 온다. 그리고 얼마나 중요할지도 알겠다. 그러나 과연 회복탄력성은 어떠한 능력의 결합인지, 또 어떻게 그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무지하다. '회복탄력성'이라는 단어만 전면에 내세운 이 책은 그러한 질문에 대해서 상세하게 답해주는, 회복탄력성에 대해서 총체적인 설명을 담고있는 책이다.  

이 책에 따르면 회복탄력성은 자기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기조절능력은 감정조절력, 충동통제력, 원인분석력으로 구성되며, 대인관계능력은 소통능력, 공감능력, 자아확장력이라고 말한다. 자, 어떠한가. 회복탄력성이라는 비교적 낯선 개념이지만 그것을 이루는 요소들은 실생활에 꼭 필요한 능력들이 아닌가. 회복탄력성은 단순히 실패를 하였을 때 그 실패를 딛고 일어나는 능력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사회생활을 하는데, 무언가를 해내고자 노력할 때에 필요한 그런 능력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회복탄력성이 높다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이 책에서 비교적 자세히 설명해준다. 게다가 무려 뜬구름 잡는 식의 얘기가 아닌 실제로 적용해 볼 수 있는 부분을 콕콕 집어서 얘기해준다.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은 책을 읽어서 깨달아가는 즐거움을 위해 남겨두기로 하겠다.  

 

더욱이 이 책은 단순히 눈으로만 읽어가는 책이 아니다. 실제로 나의 회복탄력성은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는 테스트도 들어가있으며 나의 강점을 발견하기 위한 설문지도 들어있다. 그래서 책을 깨끗이 읽는 것을 숭상하는 나도 볼펜을 들고 하나하나 체크해가며 책 속으로 빠져들었었다. 실제로 상상하던 내 모습과 책 속의 테스트를 통해 발견하게 된 내 모습에는 몇 가지 대비되는 점이 있었다. 그래서 더욱 나 자신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되었고 그로 인해 남들에게 보여지는 내 모습이 어떠할지도 예측해볼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나를 좀 더 잘 알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으며 그것은 이 책이 탄탄한 연구를 바탕으로 추출한 문제들로 구성된 테스트를 제공해주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그래, 탄탄한 연구에 대한 언급도 빠트릴 수 없다.  

이 책은 어떻게 보면 굉장히 객관적인 글이다. 책을 읽으며 내가 좋아하는, 방대한 연구 자료들과 예시, 통계로 책을 풀어나가는 말콤 글레드웰이 생각났을 정도로 객관적인 자료와 예시들이 풍부하게 그리고 적절히 삽입되어있다. 그래서 저자가 이끌어주는 여정을 아무런 비판없이 믿고 따라갈 수 있었으며, 저자의 유려한 문장력의 도움으로 도출된 결론들을 직접 실천해보려는 마음이 먼저 앞섰다.  

  

결론적으로는 인생의 허들을 가뿐히 뛰어넘는 내면의 힘의 위대함이 무엇인지 알고 싶은 사람, 혹은 이미 알고있어서 그 능력을 키우고자 하는 사람에게 추천한다. 사실 아무런 기대없이 우연한 계기로 읽게 되더라도 얻는 것이 분명히 있을 책이라서 그 누구를 콕 집어서 추천하기는 어렵다.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이라고 풀이하는 '회복탄력성'은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그리고 소중한 가치이고 그것을 높이는 것은 인생에 있어서 행복을 높이는 것과 같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책의 추천 독자는 인생을 즐겁게 살고자 하는 사람이라고 해둬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