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혜 갚은 꿩 이야기
이상희 지음, 김세현 그림 / 한림출판사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날에 한 선비가 과거를 보러 가기 위해 길을 나서게 된다..

강원도 적악산 험한 산길을 걷던 선비는

꿩의 비명소리를 듣게 되고 뱀에게 잡아 먹힐뻔한 꿩을 구해주게 된다.

 

꿩을 구해주고 길을 걷던 선비는 날이 어두어져 상원사 절에 들어가 잠이 들게 된다.

자다가 잠에서 깬 선비는 머리맡에 앉아 있던 노인을 보게 되는데

그 노인은 자신이 상원사 살림을 도맡은 화주승으로  

낮에 꿩을 잡아먹으려던 구렁이라며 자신을 소개한다.

노인은 자신이 구렁이가 된 이야기를 해주는데  

원래 종이 없던 이 절에 종을 만들기 위해 마을 집집마다 놋쇠숟가락이며 밥주발을 거둬  

종을 만들기로 했는데 쇠붙이가 많아지니 욕심이 생겨  

절반은 숨겨두고 절반만 가지고 종을 만들었다고 한다.

종을 완성해 처음으로 울리던날 마을 사람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종을 쳤지만  

소리는 안나고 하늘에서 소리가 났다고 한다.

'종이 울리지 않은 까닭을 아는 이가 구렁이가 되고,  

그 구렁이는 종이 제 소리를 내는 날에 구렁이 몸을 벗으리라'

그리고 나서 노인은 구렁이가 되었다고 한다.
  

노인은 없어지고 구렁이가 나타나 선비를 친친감아 잠아 먹으려고 한다.

구렁이는 선비에게 '해뜨기 전까지 저 바깥에 종을 울리게'라고 말을 한다.

선비는 구렁이에게 잡혀있으니 종을 울릴수도 없고  

결국은 구렁이에게 잡혀먹을 자신을 한탄하며 죽을때만 기다리고 있었다.

그런데 밝아오는 하늘을 고요히 흔들며 종소리가 울려퍼진다.

그 소리에 구렁이는 방을 빠져나간다...

 

누가 종소리를 울렸는지 궁금해 하며 종루에 나가 보니 핏자국이 보이고,

종밑에 죽어 있는 꿩을 발견한다..

선비를 살려 은혜를 갚느라 꿩은 자신의 몸을 던진 것이다.

선비는 꿩을 거두어 무덤을 만들어준다.

선비는 꿩을 살리고, 꿩은 선비를 살리고, 구렁이 벌 받은 몸을 벗게 해주었다.

꿩이 은혜갚은 일을 기리기 위해 이 산을 꿩이 은혜갚은 산이라 하여

치악산(雉꿩치岳큰 산山)으로 불렀다고 한다.

 

은혜갚은 꿩이야기는 어릴적 동화책으로 읽었다..

하지만 내가 알던 것과 조금 다른것은...구렁이의 존재였다...

구렁이는 그냥 꿩을 잡아먹으려다가 선비에게 죽게 되고,

그 원수를 갚기위해 다른 구렁이가 선비를 죽이려고 했다고 알고 있었다..

하지만 이 책은 구렁이의 존재와 치악산의 전설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전래 동화인만큼 어디서 내려오는 전설인지 알려준다면

아이들이 더욱더 재미있어 할거라 생각한다..

전래동화를 통해 옛날 모습과 생활상을 알려줄수도 있고, 교훈도 얻고

재미도 얻을 수 있다.

은혜갚은 꿩이야기를 통해 옛날 선비들이 과거를 치루기 위해 먼길을 걸어 한양까지 갔던 이야기,

쇠붙이를 거두어 종을 만든 이야기, 치악산이 어디에 있는지를 이야기 나누어 볼수 있었다.

 

선비가 구해준 꿩이 목숨을 다해 은혜를 갚는 이야기를 통해

남에게 도움을 받으면 갚을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하는 교훈을 주었다.

정말 재미있게 옛날이야기 한편 해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