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풍경의 감각 - 파리 서울 두 도시 이야기
이나라.티에리 베제쿠르 지음, 류은소라 옮김 / 제3의공간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풍경의 감각>-이나라, 티에리베제쿠르 지음

서울 여자와 파리 남자가 관찰한 도시와 사람

파리, 서울 두 도시 이야기

 

 

대부분의 나라관련 책들은 딱딱하게 문화와 사실 그 자체만 이야기하기 마련이다.
아니면, 한국사람들이 여행을 가며 쓴 여행책 그 정도 일것이다.

책을 받아들고 너무 설레었다. 한창 빠져서 읽던책이 권기봉저자의 <다시 서울을 걷다> 였는데,
두번째 최고로 애착이 가는 책이 생길 것 같았기 때문이다. 책을 받자마자 펼쳐 읽기 시작했다.

서울에서 살면서도 "서울"에 대한 애착이 많다. 아직까지도 현재 진행중인 서울 사랑이다.
또한 다음학기 유럽여행을 꿈꾸고 있던 나는, 한국사람이 바라본 "파리"라는 도시에 대해 어떻게 이야기 할 지 궁금했다.
 내가 애착을 많이 가지고 있는 도시와 앞으로 애착을 가지고 여행갈 도시.
두 도시의 조합은 충분히 나를 설레게했다.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하고 서울여자가 '파리'에대해, 파리남자가 '서울'에 대해 글을 쓸 수 있었을지
서울여자와 파리남자는 어떤 접점이 있는 사람들일지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다.
 그런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평소라면 잘 읽지 않을 <들어가며>부분의 글까지 읽기에 이르렀다.
 
 이 책의 저자인 이나라, 티에리 베제쿠르는 부부 사이이며, 함께 발견하는 일의 기쁨을 누리고 싶어했다고 한다.
또한, 서로에 대해 발견하거나 함께 발견하는 일의 기쁨을 누리고 싶어했다고 한다.
<들어가며>를 읽으며 정말 멋있는 부부라고 생각했다. 책장을 넘기는 것이 기대되었다.

  

  책은 Part 1, Part 2 로 나누어져 있고, "파리의 눈으로 본 서울"로 시작한다.
사실 책 이름도 <풍경의 감각>이기 때문에, 내용이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느낌을 담았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티에리 베제쿠르의 서울에 대한 글은 서울에 사는 나보다 더욱더 많은 지식과 경험이 묻어났다.
정말 거짓말 안치고 첫장을 넘긴 후 '이게 진짜, 파리 사람이 쓴 글이라고?' 놀라며 앞 페이지로
돌아가 몇분간 멍하게 티에리 베제쿠르 이름을 쳐다보기에 이르렀다.

 

.

.

.

생각해보면 파리에의 창공을 침범하는 것은 높고 낮은 건물들과 우뚝 솟은 에펠탑뿐이였던 것 같다.
프랑스어에 '등산'이 없다는 것이 놀라웠고, 한국에는 산이 서로서로 얽히고설켜있다는 것을
책을 읽으며 "진짜 그렇구나~"라고 감탄해서 더 놀라웠다.
  파리남자가 쓴 '서울'을 읽으며 다른 관점에서 서울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유명한 말 중에 "익숙함에 속아 소중함을 잃지말자."라는 말이 있다.
'서울'이라는 익숙함에 속아 서울에 대해 잘 몰랐던 것 같다.

.

.

.

 

서울여자가 본 파리 부분은 파리에 빗대어 서울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이야기 해줬다는 점에서 너무 좋았다.
"파리 하면 뭐가 떠올라?"라는 질문에 많은 사람들은 "에펠탑"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p.243 中
에펠탑은 파리에 있지만 에펠탑 이전에 이미, 그리고 지금도 파리라는 장소, 파리라는 삶의 방식, 파리의 사람들. 파리라는 영혼,
파리라는 보행로가 파리의 정체성을 만들고 있다. 파리의 사람들이 유별난 것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이더라도 사람은
모두 자신의 장소를 모르는 사이에도 만들어가고, 그 덕에 가꾼 공간에는 언제나 보일 듯 말듯한 질서가 자리잡는다.

이 부분에 대해 적극 공감했다.
다른 나라의 랜드마크들은 대부분 "이 곳을 랜드마크로 정할꺼야!"라고 대놓고 이야기하지도 않았지만
많은 이들이 찾아주고, 랜드마크로 인정해준다.
하지만, 서울은 어떠한가? 랜드마크를 만들기 위해 국민의 세금을 이용해 여러가지 조형물들을 만들고 있다.
"랜드마크"를 지정할 것이 아니라 공동체적인 마음으로 도시를 가꾸고, 사랑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서울의 색깔은 무엇인가?
파리의 색깔은?
하늘은 파란색, 숲은 초록빛인데,
도시는 어떤 색을 띠는가?

 

 

 오래된 도시는 저마다 하나 내지 여럿의 도시 고유의 색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하나의 정치적 도구로서 색이 이용된다고 하지만,
나에게 있어서 도시를 하나의 색으로서 기억한다는 것이 매력적이게 다가왔다.




서울 여자와 파리 남자가 천천히 걸으며
관찰하고 수집한 매력적인 도시 탐방기

서울 여자와 파리 남자가 만나 도시를 걷는다.
파리와 서울을 걸으며 남자는 우리에게 익숙한 서울을 낯선방식으로 스케치하고,
서울과 파리를 걸으며 여자는 현대 도시적 삶의 일상과 공동체에 대한 감각을 돌아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